$\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성적 경험을 위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Interior Design of Fully Autonomous Vehicle for Emotional Experience: Focused on Consumer's Consciousness toward In-Vehicle Activity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1 no.1, 2018년, pp.17 - 34  

권주영 (연세대학교 기술과디자인연구센터) ,  주다영 (연세대학교 글로벌융합기술원 기술과디자인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스로 완벽하게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시대가 가까운 미래에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자동차 산업은 1800년대 후반에 자동차가 탄생한 이래 큰 변화를 꾀해야 할 중대한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수단의 개념을 넘어 생활공간으로 정의되어지며, 앞으로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큰 변화가 나타나게 될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으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에 대한 기존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활공간이라는 개념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근본적인 디자인 요소인 실내행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소비자들은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내에서 '수면 및 휴식', 'TV 및 영화 시청', '음악감상' 등 개인 중심 행위 중에서도 휴식 및 감상 활동과 관련된 실내행위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 니즈(needs)를 정량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한 선도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ra of fully autonomous vehicles which can travel to their destination completely, is expected to arrive in the near future. The automobile industry will face a huge change in the near future. It makes the industry in the midst of a major turning point, since the automobile was born in the la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동차 실내공간은 빠르면 2020년부터 출시되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탄생으로 큰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변화가 쉽게 예측되지 않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사용자 중심의 편리한 공간으로 디자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완전 자율 주행 자동차에 대한 개념과 개념에 따른 실내공간 디자인을 고찰하였다. 또한 자동차에 대한 개념 변화와 실내공간의 변화를 자동차 탄생 이후부터 고찰하여 향후 실내공간 변화 방향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소비자 중심적인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을 위해 변화된 실내공간에 대한 개념과 소비자의 감성적 경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내행위를 중요한 요인으로 바라보고 완전 자율주행자동차에 적합한 실내행위를 도출하여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정량적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소비자 중심적인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을 위해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조사하였으며, 정량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에 대한 연구개발이 시급한 가운데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한 선도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본 연구는 시장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에 대한 연구이며, 현재까지 이론적 기반이 부족한 연구 주제이므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s) 방법론을 적용하여 최대한 연구자의 주관성을 배제하고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헌고찰을 통해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를 생활공간의 개념으로 정의하여 생활공간으로서 나타날 수 있는 실내행위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구글(학술) 검색, RISS, KISS, NDSL, DBpia 등의 인터넷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관련 연구 및 자료 수집을 위해 문헌 검색을 수행하였다. 문헌자료 중 내용 검토를 통해 본 연구 범위에 해당하는 문헌을 선정하였으며, 선정한 문헌자료를 통해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실내행위를 동일한 위계로 도출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 소비자 니즈(needs)는 새로운 제품을 탄생시키는 핵심 요인이 되어야 하므로(Kim & Kim, 2014), 본 연구에서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내에서의 감성적 경험을 위해 지원되어야 할 실내 행위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을 파악하고 이해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자동차 개발 및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소비자 대상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감성적 경험 중심 디자인 요소의 근본이 되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조사하였으며,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니즈(needs) 분석을 통해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행위에 대해 단편적인 측면에서 소비자 니즈(needs) 설문조사 결과만을 제시한 조사 자료는 국내에서 극소수로 존재하지만(Motorgraph, 2014), 본 연구는 자동차 제조사에서 추구하는 미래자동차 방향성에 대한 고찰과 선행연구 및 문헌자료를 통해 실질적으로 발생 가능한 실내행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니즈(needs)를 정량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한 선도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는 생활공간으로서의 개념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측되므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것과 같은 안락한 환경을 제공하고 친숙한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소비자의 감성적 경험을 중요하게 바라보고, 감성적 경험에 있어 일차적으로 실내행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접근을 통해 생활공간으로서 최적화된 공간을 조성하고, 보다 소비자 중심적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설문조사 대상 선정을 위해 본 연구는 운전 경험이 있는 면허 취득 대상자로 한정하였다. 이는 기본적으로 수동 주행에서 운전 주행 방법에 대한 기능을 학습하여 수동 주행에서의 운전자 상황을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상황에서 실내 행위에 대한 전반적 의식을 응답한 결과를 얻고자 함이며, 이를 통해 보다 더 소비자 니즈(needs)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 공간 디자인을 하기 위함이다. 설문조사는 2017년 9월에 2주 동안 운전면허 취득자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116부를 수거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생활공간으로서의 의미를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바라보고, 생활공간이라는 개념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근본적인 디자인 요소인 실내행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감성적 경험 중심 디자인 요소의 근본이 되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조사하였으며,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니즈(needs) 분석을 통해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행위에 대해 단편적인 측면에서 소비자 니즈(needs) 설문조사 결과만을 제시한 조사 자료는 국내에서 극소수로 존재하지만(Motorgraph, 2014), 본 연구는 자동차 제조사에서 추구하는 미래자동차 방향성에 대한 고찰과 선행연구 및 문헌자료를 통해 실질적으로 발생 가능한 실내행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니즈(needs)를 정량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한 선도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이를 통해 생활 공간으로서 안락함과 편리함이 추구되는 다양하고 참신한 실내 공간 디자인 고려가 필요하지만, 이뿐만 아니라 동시에 실질적으로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실내 행위가 무엇인지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이 실내 공간 디자인 방향 설정에 있어 바탕이 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감성적 경험과 만족도 향상을 위해 일차적으로 이해되어야 할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 행위에 대한 필요도 조사를 진행하여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 공간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소비자 중심적인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을 위해 변화된 실내공간에 대한 개념과 소비자의 감성적 경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내행위를 중요한 요인으로 바라보고 완전 자율주행자동차에 적합한 실내행위를 도출하여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정량적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 공간을 소비자 중심적인 공간으로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를 대상으로 요구되는 실내 행위 조사뿐만 아니라 평소 주행 시 탑승자가 필요했던 실내 행위에 대한 의식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단순 이동 목적 외의 실내 행위에 대한 요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설문 대상자의 평소 주행 시 실내 행위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조사하였다. 실내 행위가 필요한지에 대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20개의 세부적인 실내 행위에 대한 필요도는 중복 응답으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소비자 중심적인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을 위해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조사하였으며, 정량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에 대한 연구개발이 시급한 가운데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한 선도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이에 본 연구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생활공간으로서의 의미를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바라보고, 생활공간이라는 개념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근본적인 디자인 요소인 실내행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감성적 경험 중심 디자인 요소의 근본이 되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조사하였으며,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니즈(needs) 분석을 통해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
  •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감성적 경험 디자인에 있어 감성 요소 중심으로 계획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감성과 인지의 반응을 일으키는 행위 중심의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을 감성적 경험 관점에서 응용하여 보다 인간중심적이고 편리하게 하여 소비자에게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발생 가능한 실내행위를 분석하여 보다 확장된 개념의 역할과 기능을 충족 하는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자동차 실내공간은 빠르면 2020년부터 출시되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탄생으로 큰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변화가 쉽게 예측되지 않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사용자 중심의 편리한 공간으로 디자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완전 자율 주행 자동차에 대한 개념과 개념에 따른 실내공간 디자인을 고찰하였다. 또한 자동차에 대한 개념 변화와 실내공간의 변화를 자동차 탄생 이후부터 고찰하여 향후 실내공간 변화 방향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소비자들은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내에서 어떤 행위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는가? 이를 위해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소비자들은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내에서 '수면 및 휴식', 'TV 및 영화 시청', '음악감상' 등 개인 중심 행위 중에서도 휴식 및 감상 활동과 관련된 실내행위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 니즈(needs)를 정량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한 선도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어떻게 제언하는가? 첫째, 본 연구와 연장선상에서 후속 연구에서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행위에 대해 성별, 연령 등 소비자의 특성별로 니즈(needs)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디자인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둘째,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내에서의 실내행위 분석과 함께 실내행위를 지원하는 실내공간 구성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내행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간공학적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를 구성하는 실내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진행 시 조사대상자의 완전 자율 주행 자동차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결과적으로 분석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실험 환경을 구축하여 연구하는 방법이 활용될 필요가 있다.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생활공간으로서의 경험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하여 실내공간을 디자인해야 하는 이유는? Koo(2016)에 따르면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에 나타나게 될 변화 중 공간 활용에서 감성적 요소 비중이 증가하게 되는데,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감성적 경험의 요소를 충족시키는 방법에 따라 소비자들이 느끼는 만족감에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Moon, 2013),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생활공간으로서의 경험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하여 실내공간을 디자인 필요가 있다. 감성적 경험 요소를 중심으로 실내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해 생활공간으로서의 실내공간 개념과 앞으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나타날 실내행위에 대한 일차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uto Insurance center (2017). What are respondents most likely to do while in a self-driving car?. https://www.autoinsurancecenter.com/what-wouldyou-do-in-a-self-driving-car.htm.2017.01.22. 

  2. Choi, J. K., & Ji, Y. G. (2015). Investigating the importance of trust on adopting an autonomous vehicl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31(10), 692-702. DOI: 10.1080/10447318.2015.1070549 

  3. College of Engineering at Carnegie Mellon University (2015). What would you do in a self-driving car?. https://www.ece.cmu.edu/news/story/2015/02/whatwould-you-do-in-a-self-driving-car.html. 2017.02.25. 

  4. Corwin, S., Vitale, J., Kelly, E., & Cathles, E. (2015). The future of mobility: How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social trends are creating a new business ecosystem. from https://www2.deloitte.com/insights/us/en/focus/future-of-mobility/transportation-technology.html.2015.9.24. 

  5. Diels, C. (2015). Design guidelines to minimise self-driving carsickness. Automated Vehicles Symposium, At Ann Arbor, Michigan. 

  6. Filo, P. & Lubega, I. (2015). Design of interior for a self-driving car: Propose a conceptual design from a body & trim perspective that can be implemented in future self-driving cars, Master's dissertation. Chalmers University, Gothenburg, Sweden. 

  7. Fraedrich, E., Cyganski, R., Wolf, I., & Lenz, B. (2016). User perspectives on autonomous driving. Berlin: Arbeitsberichte. 

  8. Jeon, S. J., Lee, S. J., & Kim, J. W. (2016). A study on physicle embodied conversational agent in autonomous vehicle. Extended Abstracts of HCI Korea, 343-344. 

  9. Jung, K, M. (2017). The future of autonomous driving as a major company concept car. https://www.kookmin.ac.kr/site/ecampus/new/press/6059/2017.06.21. 

  10. Kim, H. C., & Kim, S. S. (2014). Design categories. Gyeonggi: Dasanbooks. 

  11. Kim, K. et al. (2016). A fundamental research on public perceptions on ethics, legal, and social acceptance of autonomous vehicle. Korea Transport Institute. 

  12. Kim, Y. M. (2014). A study of automotive interior space design according to the unmanned vehicle technology.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2014(5), 79-80. 

  13. Koo, B. R., & Ju, D. Y. (2017).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autonomous driving levels from user perspectiv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2), 351-359. 

  14. Koo, S. (2016). Changes in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d autonomous vehicle design Global Auto News Column. 2016.08.24. 

  15. Koo, S. (2017). Recent changes of vehicle interior styling design with digital technologies. Auto Journal, 39(9), 31-33. 

  16.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3). Automobile usage survey, 74-75. 

  17. Kwon, J. Y., & Ju, D. Y. (in press).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in-vehicle activity based on literature study for interior design of fully autonomous vehicle.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13(2). 

  18. Lee, J. I., Lim, C. L., Kim, N. E., & Kim, J. W. (2016). A study on driver experience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grounded theory approach. Proceedings of HCI Korea, 178-185. 

  19. Lee, J. I., Kim, N. E., & Kim, J. W. (2017). The effects of feedback in an automated car. Proceedings of HCI Korea, 669-672. 

  20. Lee, J. M., & Ju, D. Y. (2018). Prioritization analysis for contents sensibility evaluation of the future mobility.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21(1), 1-14. 

  21. Lim, Y. B., & Na, G. (2015). A Study on the Emotional Value about Car Design Oriented in User Experience- Focusing on Analysis about Female Owner Driver's Emotional Vocabularies and Activiti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1(3), 589-603. 

  22. Lipson, H., & Kurman, M. (2017). Next Mobile. Seoul: The Quest. 

  23. Markus, M., Gerdes, J. C., Lenz, B., & Winner, H. (2016). Autonomous driving: technical, legal and social aspects. Springer Open. 

  24. Moon, E. A. (2013). An analysis on emotional experiencecentered design and its application strategies: focused on ceramic kitchenwa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9(3), 261-279. 

  25. Nielsen Company (2016). What's driving tomorrow's driver?. An uncommon sense of the consumer, 8-9. 

  26. Park, H. J. (2016). UI/UX design for shared autonomous vehicle. Mas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7. Park, K. C., & Jung, E. C. (2017). A Study on Driver Experience for Autonomous Vegicles in 2030. Proceedings of HCI Korea, 376-379. 

  28. Park, N. C., & Jeong, S. W. (2013). Extraction of Representative Emotions for Evaluations of Tactile Impressions in a Car Interior.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6(2), 157-166. 

  29. Pettersson, I., & Karlsson, M. (2015). Setting the stage for autonomous cars: a pilot study of future autonomous driving experiences. IET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9(7), 694-701. DOI: 10.1049/iet-its.2014.0168 

  30. State Farm (2016). Autonomous vehicles.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1-14. 

  31. Zagato, G. G. (2017). Autonomous driving cars will kill the auto industry, http://news.joins.com/article/21439604. 2017.04.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