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색옥수수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리파아제 저해활성 및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의 지방분화 억제효과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Activity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Treated with Purple Corn Husk and Cob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3 no.2, 2018년, pp.131 - 139  

이기연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홍수영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김태희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김재은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박아름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노희선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김시창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박종열 (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 ,  안문섭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정원진 (지유본초) ,  김희연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검정하고자 지방분해효소 저해활성을 평가하고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분화억제 효과를 검정하고자 수행되었다.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결과,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100, 500, $1,000{\mu}g/mL$ 농도처리구에서 양성대조군인 orlistat 보다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배양하여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추출물은 모든 처리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화된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시킨 대조군은 lipid droplet의 형성이 활발하게 유발되었으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lipid droplet의 형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al-time PCR과 Western blot을 실시하여 $PPAR{\gamma}$$C/EBP{\alpha}$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시킨 대조군에서는 $PPAR{\gamma}$$C/EBP{\alph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추출물 처리에 의해 $PPAR{\gamma}$$C/EBP{\alph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pancreatic lipase 활성 및 지방전구 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킴으로써 항비만 활성 기능성 물질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ur review begins with the maize hybrid for grain, called 'Seakso 1,' which was developed in 2008 by the Gangwo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Korea, and subsequently registered in 2011.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lipid metabolic enzyme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검정하고자, 지방분해효소 저해활성을 평가하고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분화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자색옥수수 색소 1호의 항비만 활성 기능성 식품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검정하고자, 지방분해효소 저해활성을 평가하고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분화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자색옥수수 색소 1호의 항비만 활성 기능성 식품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Value are mean ± SD (n =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도한 지방의 축적은 어떤 문제와 질병을 일으키는가? 대사 증후군 중 비만은 과도한 에너지 섭취, 포화 지방식이로 인한 지방 섭취량의 증가 및 신체 활동 감소와 같은 에너지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지방이 축적되는 상태를 말한다1,2). 과도한 지방의 축적으로 인한 지방 세포 수와 크기의 증가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고중성지방 및 지방간 등의 이상 지질 혈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3,4). 고지방 식이로 인한 비만은 조직과 혈액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을 증가시키며 이것은 신체 조직의 산화적 손상과 항산화 방어 시스템의 불균형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비만의 정의는? 경제 성장과 식습관 변화로 인해 비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및 동맥 경화와 같은 대사 증후군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 대사 증후군 중 비만은 과도한 에너지 섭취, 포화 지방식이로 인한 지방 섭취량의 증가 및 신체 활동 감소와 같은 에너지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지방이 축적되는 상태를 말한다1,2). 과도한 지방의 축적으로 인한 지방 세포 수와 크기의 증가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고중성지방 및 지방간 등의 이상 지질 혈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3,4).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품종의 시료를 전처리하는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에 사용된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품종은 2016년도에 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에서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재배되었다. 재배된 색소 1호를 수확하여 수염과외피를 제거하고 건조하여 포엽과 속대를 분리한 다음 분쇄하여 추출시료로 사용하였다.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건조분말시료 500 g에 0.1% citric acid가 함유된 30% 에탄올을 10 L씩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상온 교반하여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농축하고 부형제로 30% dextrin을 첨가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cyanidin 3-O-glucoside (C-3-G) 함량분석용,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 및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검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Kopelman P. 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6778), 635-643 (2000). 

  2. Kang W. Y., Kim M. Y., Jin J. Y., Yang H. K., Hong H. J., Kim D. G., Han C. H., Lee Y. J.: Anti-obesity effects of onion juice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Korean J. Vet Res., 50(1), 1-10 (2010). 

  3. Kissebah A. H., Vydelingum N., Murray R., Evans D. J., Hartz A. J., Kalkhoff R. K., Adams P. W.: Relation of body fat distribution to metabolic complications of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54, 254-260 (1982). 

  4. Krotkiewski M., Bjorntorp P., Sjostrom L., Smith U.: Impact of obesity on metabolism in men and women. Importance of regional adipose tissue distribution. J Clin Invest., 72, 1150-1162 (1983). 

  5. Ginsberg H. N., Le N. A., Gibson J. C.: Regulation of the production and catabolism of plasma low density lipoproteins in hypertriglyceridemic subjects. Effect of weight loss. J Clin Invest., 75, 614-623 (1985). 

  6. Jeon S. M., Bok S. H., Jang M. K., Lee M. K., Nam K. T., Park Y. B., Rhee S. J., Choi M. S.: Antioxidative activity of naringin and lovastatin in high cholesterol-fed rabbits. Life Sci., 69, 2855-2866 (2001). 

  7. Wang H., Eckel R. H.: Lipoprotein lipase: from gene to obesity.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97, 271-288 (2009). 

  8. Braun J. E., Severson D. L.: Regulation of the synthesis, processing and translocation of lipoprotein lipase. Biochem. J., 287, 337-347 (1992). 

  9. Heimburger D. C., Lucas C. P., Robbins D. C., Chung J., Heymsfield S. B.: Weight control and risk factor reduction in obese subjects treated for 2 years with orlista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m. Med. Assoc., 281, 235-242 (1999). 

  10. Choi H. Y., Kim G. H.: Inhibitory Effects of Allium senescens L. methanol extracts on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and lipid accumulation during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Korea J. Food Sci. Technol., 46(4), 498-504 (2014). 

  11. Lee O. H., Kwon Y. I., Hong H. D., Park C. S., Lee B. Y., Kim Y. C.: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2, 70-75 (2009). 

  12. Halliwell B.: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 Rev. Nutr., 16, 33-50 (1996). 

  13. Yamashita A., Soga Y., Iwamoto Y., Asano T., Li Y., Abiko Y., Nishimura F.: DNA microarray analyses of genes expressed differentially in 3T3-L1 adipocytes co-cultured with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in the presence of the tolllike receptor 4 ligand bacterial endotoxin. Int. J. Obesity, 32, 1725-1729 (2008). 

  14. Moreno D. A., Ilic N., Poulev A., Brasaemle D. L., Fried S. K., Raskin I.: Inhibitory effects of grape seed extract on lipases. Nutrition, 19, 876-879 (2003). 

  15. Ntambi J. M., Kim Y. C.: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J. Nutr., 130, 3122-3126 (2000). 

  16. Davidson M. H,. Hauptman J., DiGirolamo M., Foreyt J. P., Halsted C. H., Heber D., Heimburger D. C., Lucas C. P., Robbins D. C., Chung J., Heymsfield S. B.: Weight control and risk factor reduction in obese subjects treated for 2 years with orlista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m. Med. Assoc., 281, 235-242 (1999). 

  17. Yao F., MacKenzie R. G.: Obesity drug update: The lost decade? Pharmaceuticals, 3, 3494-3521 (2010). 

  18. Lee M. R., Oh D. S., Wee A. J., Yun B. S., Jang S. A., Sung C. K.; Anti-obesity effects of Lentinus edodes on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2), 194-199 (2014). 

  19. Li C. Y., Kim H. W., Won S. R., Min H. K., Park K. J., Park J. Y., Ahn M. S., Rhee H. I.: Corn husk as a potential source of anthocyanins. J. Agric. Food Chem., 56, 11413-11416 (2008). 

  20. Kim S. L., Kim E. H., Son Y. K., Song J. C., Hwang J. J., Hur H. S.: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black waxy corn kernels. Korean J. Breed, 31, 408-415 (1999). 

  21. Kim S. L., Hwang J. J., Song J., Song J. C., Jung K. H.: Extraction, pur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nthocyanins in colored rice, black soy bean and black xaxy corn. Korean J. Breed, 32, 146-152 (2000). 

  22. Lee K. Y., Kim T. H., Lim S. H., Park J. Y., Kim K. H., Ahn M. S., Kim H. Y.: Proximate, free sugar, fatty acids composition and anthocyanins of Saekso 2 corn kernels J. Food Hyg. Saf., 31(5), 335-341 (2016). 

  23. Lee K. Y., Kim J. E., Hong S. Y., Kim T. H., Noh H. S., Kim S. C., Park J. Y., Ahn M. S., Kim H. Y.; Effect of Saekso 2 corn kernels and cobs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in rats fed high fat-cholesterol diet. J. Food Hyg Saf., 31(6), 399-405 (2016). 

  24. Kim J. T., Son Y. B., Lee J. S., Baek S. B., Woo K. S., Jung G. H., Kim M. J., Jeong K. H., Kwon. Y. U.: Effects of particle size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in purple corn seed powder. Korean J. Crop. Sci., 57, 353-358 (2012). 

  25. Lee J. S., Son B. M., Kim J. T., Ku J. H., Han O. K., Baek S. B., Moon J. K., Hwang J. J., Kwon Y. U.: Change of total anthocyanin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urple waxy corn inbred lines and hybrids during grain filling. Korean J. Breed Sci., 44, 290-300 (2012). 

  26. Duan X. W., Jiang Y. M., Zhang Z. Q., Shi J.: Antioxidant properties of anthocyanin extracted from litchi (Litchi chinenesis Sonn.) fruit pericarp tissues in relation to their role in the pericarp browning. Food Chem., 101, 1365-1371 (2006). 

  27. Chung M. G., Lim J. D.: Antioxidant, Anticancer and Immune Activation of Anthocyanin Fraction from Rubus coreanus Miquel fruits (Bokbunj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 259-269 (2012). 

  28. Kim J. H., Kim H. J., Kim C. Y., Jung H. Y., Kim Y. O., Ju J. Y., Shin C. S.: Development of lipase inhibitors from various derivatives of monascus pigment produced by Monascus fermentation. Food Chem., 101, 357-364 (2009). 

  29. Lim C. L., Son H. J., Cho I. Y., Kim G. W., Choi S. J., I. S., Han K. Y., Choi J. Y., Noh B. S.: Physiological functionality and cytotoxic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noble wine, Samhaeju, and commercial rice wine on various tumor cell lin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6), 687-693 (2009). 

  30. Choi J. H., Park Y. H., Lee I. S., Lee S. P., Yu M. H.: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3), 356-363 (2013). 

  31. Lim H. J., Seo J. E., Chang Y. H., Han B. K., Jeong J. K., Park S. B., Choi H. J., Whang J. N.: Anti-obesity effects of Jeju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 x ponkan) Peel extracts in 3T3-L1 adipocy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1), 1688-1694 (2014). 

  32. Fuleki, T., Francis F. J.: Quantitative methods for anthocyanins. 1.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total anthocyanin in cranberries. J. Food Sci., 33, 72-77 (1968). 

  33. Lee J. W., Lee H. H., Rhim J. W., Jo J. S.: Determination of the conditions for anthocyanin extraction from purplefleshed sweet potat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790-795 (2000). 

  34. Rhee H. I.: Development of high anthocyanin corn cultivar.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on Report, Jeonju, Korea, pp. 20-49 (2008). 

  35. Pascual-Teresa S., Santos-Buelga C., Rivas-Gonzalo J. C.: LC-MS analysis of anthocyanins from purple corn cob. J. Sci. Food Agric., 82, 1003-1006 (2002). 

  36. Ahn H. C., Jhung R. N., Choe E. O.: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alpha}$ -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everal Korean Sanchae. Korean J. Food Sci. Technol., 47(2), 164-169 (2015). 

  37. Kim Y. J., Kim B. H., Lee S. Y., Kim M. S., Park C. S., Rhee M. S., Lee K. H., Kim D. S.: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with antiobes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221-226 (2006). 

  38. Choi J. H., Park Y. H., Lee I. S., Lee S. P., Yu M. H.: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3), 356-363 (2013). 

  39. Cornelius P, MacDougald O. A., Lane M. D., Regulation of adipocyte development. Annu. Rev. Nutr., 14, 99-129 (1994). 

  40. Rosen E. D., Spiegelman B. M.: Molecular regulation of adipogenesis. Annu. Rev. Cell Dev. Bi., 16, 145-171 (2000). 

  41. Wang N. D., Finegold M. J., Bradley A., Ou C. N., Abdelsayed S. V., Wilde M. D., Taylor L. R., Wilson D. R., Darlington G. J.: Impaired energy homeostasis in C/EBP alpha knockout mice. Science, 269, 1108-1112 (1995). 

  42. Lee C. W., Park Y. I., Kim S. H., Lim H. K., Chung M. J.: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ies of bread containing corn silk, Job's tears, Lentinus edodes, and apple peel in 3T3-L1 preadipocy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5), 651-663 (2016). 

  43. Morrison R. F., Farmer S. R.: Hormonal signaling and transcriptional control of adipocyte differntiation. J. Nutr. 130, 3116S-3121S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