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극성 I형 장애 환자와 발병하지 않은 일차 친족에서 인지조절의 비교
Comparison of Cognitive Controls in Patients with Bipolar I Disorder and Their Unaffected First-Degree Relatives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5 no.1, 2018년, pp.9 - 15  

윤혜림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우선진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상원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진보현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우정민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원승희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deficits of cognitive control among patients with bipolar I disorder and their first-degree relatives, and identify the possibility of cognitive control as an endophenotype of bipolar disorder. Methods The study included three groups: euthymic states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인지조절의 결함을 가장 잘 평가한다고 알려진 AX-CPT 검사를 이용하여 양극성 1형 장애 환자와 발병하지 않은 그들의 일차 친족을 대상으로 인지조절 결함의 정도와 내적표현형으로서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X-CPT를 사용하여 인지조절을 평가하는 절차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고안된 연속수행검사의 AX 판은 지속적 주의력, 선택적 주의력, 작업기억, 실행기능의 활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인지조절의 평가에 유용하다.26)27) 피험자는 컴퓨터 모니터상에 하나씩 연이어 제시되는 선행글자(cue)와 탐색글자(probe)의 조합을 표적신호(target signal)와 비표적신호(non-target signal)로 구분하여 가능한 빨리 컴퓨터 자판에 있는 응답 버튼을 눌러 반응한다. 선행글자로는 영어 알파벳 A와 B(A 이외의 모든 알파벳으로 제시되는 글자)가 제시되고, 탐색글자로는 X와 Y(X 이외의 모든 알파벳으로 제시되는 글자)가 제시된다. 대상자는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선행글자와 탐색글자의 조합 중 선행글자가 A이고 탐색글자가 X인 경우에만 표적신호로 인지하여 ‘네’ 버튼을 누르고, AX 조합을 제외한 모든 조합(AY, BX, BY)으로 제시되는 경우에는 비표적신호로 인지하여 ‘아니오’ 버튼을 눌러야 한다
양극성장애란 무엇인가 양극성장애는 특징적으로 조증이나 우울증과 같은 기분 삽화가 반복되는 만성적인 기분조절의 장애로서, 기분의 변화뿐만 아니라 신경인지의 결함은 오래전부터 관찰되었고 임상에서도 흔히 경험할 수 있는 증상이다.1) 기분 증상이 관해된 상태에서도 일부 신경인지에 결함이 관찰되었고, 신경인지의 결함은 삽화의 재발 또는 입원 횟수와 관련 있다는 초기의 선행연구2)가 알려지면서 양극성장애에서 신경인지의 결함이 주목받게 되었으며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신경인지 기능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1) 그동안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신경인지의 결함이 모든 연령대의 양극성장애 환자에서 관찰되고, 신경인지의 전 영역에 걸쳐 있으며, 급성기뿐만 아니라 관해기에서도 나타나고, 발병하지 않은 일차 친족에서 관찰된다는 것이다.1) 신경인지 기능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는 신경인지의 저하가 양극성장애 환자들의 치료 반응, 예후, 전반적인 기능,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므로 장기적인 예후를 예측하는 데 주요 인자로 작용하기 때문이다.1)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Won S, Je YM. Are there cognitive dysfunctions in bipolar disorder? In: Bahk WM, Jun DI, editors. Bipolar Disorder. Seoul: Sigma Press;2014. p.284-298. 

  2. Tham A, Engelbrektson K, Mathe AA, Johnson L, Olsson E, Aberg-Wistedt A. Impaired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in euthymic patients with recurring mood disorders. J Clin Psychiatry 1997;58:26-29. 

  3. Martinez-Aran A, Vieta E, Reinares M, Colom F, Torrent C, Sanchez-Moreno J, et al. Cognitive function across manic or hypomanic, depressed, and euthymic states in bipolar disorder. Am J Psychiatry 2004;161:262-270. 

  4. Martinez-Aran A, Vieta E, Colom F, Torrent C, Sanchez-Moreno J, Reinares M, et al. Cognitive impairment in euthymic bipolar patients: implications for clinical and functional outcome. Bipolar Disord 2004;6:224-232. 

  5. Balanza-Martinez V, Rubio C, Selva-Vera G, Martinez-Aran A, Sanchez-Moreno J, Salazar-Fraile J, et al. Neurocognitive endophenotypes (endophenocognitypes) from studies of relatives of bipolar disorder subjects: a systematic review. Neurosci Biobehav Rev 2008;32:1426-1438. 

  6. Glahn DC, Almasy L, Barguil M, Hare E, Peralta JM, Kent JW Jr, et al. Neurocognitive endophenotypes for bipolar disorder identified in multiplex multigenerational families. Arch Gen Psychiatry 2010;67:168-177. 

  7. Bora E, Yucel M, Pantelis C. Cognitive endophenotypes of bipolar disorder: a meta-analysis of neuropsychological deficits in euthymic patients and their first-degree relatives. J Affect Disord 2009;113:1-20. 

  8. Kim D, Kim JW, Koo TH, Yun HR, Won SH. Shared and distinct neurocognitive endophenotypes of schizophrenia and psychotic bipolar disorder. Clin Psychopharmacol Neurosci 2015;13:94-102. 

  9. Miller EK. The prefontral cortex and cognitive control. Nat Rev Neurosci 2000;1:59-65. 

  10. Buschman TJ, Miller EK. Top-down versus bottom-up control of attention in the prefrontal and posterior parietal cortices. Science 2007;315:1860-1862. 

  11. Casey BJ, Tottenham N, Fossella J. Clinical, imaging, lesion, and genetic approaches toward a model of cognitive control. Dev Psychobiol 2002;40:237-254. 

  12. Rotaru DC, Lewis DA, Gonzalez-Burgos G. The role of glutamatergic inputs onto parvalbumin-positive interneurons: relevance for schizophrenia. Rev Neurosci 2012;23:97-109. 

  13. Richard AE, Carter CS, Cohen JD, Cho RY. Persistence, diagnostic specificity and genetic liability for context-processing deficits in schizophrenia. Schizophr Res 2013;147:75-80. 

  14. Brambilla P, Macdonald AW 3rd, Sassi RB, Johnson MK, Mallinger AG, Carter CS, et al. Context processing performance in bipolar disorder patients. Bipolar Disord 2007;9:230-237. 

  15. Robinson LJ, Thompson JM, Gallagher P, Gray JM, Young AH, Ferrier IN. Performance monitoring and executive control of attention in euthymic bipolar disorder: employing the CPT-AX paradigm. Psychiatry Res 2013;210:457-464. 

  16. Kravariti E, Schulze K, Kane F, Kalidindi S, Bramon E, Walshe M, et al. Stroop-test interference in bipolar disorder. Br J Psychiatry 2009;194:285-286. 

  17. Patino LR, Adler CM, Mills NP, Strakowski SM, Fleck DE, Welge JA, et al. Conflict monitoring and adaptation in individuals at familial risk for developing bipolar disorder. Bipolar Disord 2013;15:264-271. 

  18. Brotman MA, Rooney MH, Skup M, Pine DS, Leibenluft E. Increased intrasubject variability in response time in youths with bipolar disorder and at-risk family membe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9;48:628-635. 

  1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1994. 

  20. Leucht S, Kane JM, Kissling W, Hamann J, Etschel E, Engel R. Clinical implications of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scores. Br J Psychiatry 2005;187:366-371. 

  21. Jung HY, Cho HS, Joo YH, Shin HK, Yi JS, Hwang S, et al.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version of the Young Mania Rat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3;42:263-269. 

  22. Ahn YM, Lee KY, Yi JS, Kang MH, Kim DH, Kim JL, et al.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version of the 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466-476. 

  23. Hahn OS, Ahn JH, Song SH, Cho MJ, Kim JK, Bae JN, et al.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schedule for DSM-IV axis I disorder: interrater reliabil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0;39:362-372. 

  24. Yeom TH, Park YS, Oh KJ, Lee YH. Korean Versio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Seoul: Korean Guidance;1992. p.13-28. 

  25. Morrison MW, Gregory RJ, Paul JJ. Reliability of the Finger Tapping Test and a Note on Sex Differences. Percept Mot Skills 1979;48:139-142. 

  26. Cohen JD, Barch DM, Carter C, Servan-Schreiber D. Context-processing deficits in schizophrenia: converging evidence from three theoretically motivated cognitive tasks. J Abnorm Psychol 1999;108:120-133. 

  27. Servan-Schreiber D, Cohen JD, Steingard S. Schizophrenic deficits in the processing of context. A test of a theoretical model. Arch Gen Psychiatry 1996;53:1105-1112. 

  28. Braver TS, Barch DM. A theory of cognitive control, aging cognition, and neuromodulation. Neurosci Biobehav Rev 2002;26:809-817. 

  29. Ophir E, Nass C, Wagner AD. Cognitive control in media multitaskers. Proc Natl Acad Sci U S A 2009;106:15583-15587. 

  30. Barch DM, Braver TS, Nystrom LE, Forman SD, Noll DC, Cohen JD. Dissociating working memory from task difficulty in human prefrontal cortex. Neuropsychologia 1997;35:1373-1380. 

  31. Barker MJ, Greenwood KM, Jackson M, Crowe SF. Persistence of cognitive effects after withdrawal from long-term benzodiazepine use: a meta-analysis. Arch Clin Neuropsychol 2004;19:437-4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