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성인남녀의 비만 및 주관적 체형인식과 불안·우울과의 관련성: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4년) 분석

Association of a Combination between Actual Body Mass Index Status and Perceived Body Image with Anxiety and Depressive Condition in Korean Men and Women: The Fifth and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4)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8 no.1, 2018년, pp.3 - 14  

이효민 (국군강릉병원 수술마취간호과) ,  정우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정책학과) ,  임승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한은아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Both objective body shape and perceived body image have been known to influence the mental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a combination between actual body mass index (BMI) status and perceived body image with anxiety depressive condition (ADC) in K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국내에서 진행된 대부분의 연구에서 대상자는 학령기 혹은 청소년기, 성인여성 등으로 성인남성을 포함하지 않아 성별접근을 통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체중군별로 본인의 체형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한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아 구체적으로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와 주관적 체형인식의 차이에 따른 정신건강상태를 파악할 수가 없었다[17,25,26]. BMI가 같은 경우에도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라 체중조절행동 및 식습관과 삶의 질이 달라지고, BMI와 체형인식의 조합이 BMI보다 대사증후군 예측에 유용하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27-29], 본 연구에서는 인구사회적 요인(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거주지역, 세대유형, 가구소득, 경제활동상태, 조사연도)과 건강행태요인(음주, 흡연, 수면시간, 신체활동, 동반질환 유무, 주관적 건강상태)을 보정한 상태에서 객관적 실제 체형과 주관적 체형의 차이에 따른 정신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좀 더 세분화하여 파악하고자 우리나라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비만 및 주관적 체형인식과 불안·우울의 관련성을 성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남성과 여성에 특화된 비만과 정신건강 예방프로그램 개발과 환경, 사회경제적 요인을 결합 한 환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 보건정책방안 마련의 기초 적자료를제공하고자한다.
  •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제5,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4)를 이용하여 다양한 혼란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우리나라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BMI와 주관적 체형인식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변수를 사용하여 정신질환이 아닌 불안·우울과의 관련 성을 성별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세 이상 성인남녀의 비만 및 주관적 체형인식과 불안·우울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한 2차자료 분석연구이다. 주요 관심요인인 비만 및 주관적 체형인식 외 혼란변수로 작용할 수 있 는 요인은 제5,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4년) 자료의 변수 중 선행연구를 참고하여[23,26], 인구사회적 요인(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거주지역, 세대유형, 가구소득, 경제활동상태, 조사연도)과 건강행태요인(흡연, 음주, 수면시간, 신체활동, 동반질환 유무, 주관적 건강상태)을 단계별로 보정하여 분석하였다.
  • 비만 및 왜곡된 체형인식과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졌지만, 국내에서 진행된 연구들에서는 비만과 우울증상 혹은 우울감 경험에 국한되어 있고, 성별 비교나 저체중 군, 왜곡된 체형인식군과 정신과적 문제,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다양한 혼란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BMI와 주관적 체형인식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변수를 사용하여 정신질환이 아닌 불안·우울과의 관련성을성별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BMI가 같은 경우에도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라 체중조절행동 및 식습관과 삶의 질이 달라지고, BMI와 체형인식의 조합이 BMI보다 대사증후군 예측에 유용하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27-29], 본 연구에서는 인구사회적 요인(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거주지역, 세대유형, 가구소득, 경제활동상태, 조사연도)과 건강행태요인(음주, 흡연, 수면시간, 신체활동, 동반질환 유무, 주관적 건강상태)을 보정한 상태에서 객관적 실제 체형과 주관적 체형의 차이에 따른 정신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좀 더 세분화하여 파악하고자 우리나라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비만 및 주관적 체형인식과 불안·우울의 관련성을 성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남성과 여성에 특화된 비만과 정신건강 예방프로그램 개발과 환경, 사회경제적 요인을 결합 한 환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 보건정책방안 마련의 기초 적자료를제공하고자한다.
  • 선행연구들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우울감 및 우 울증상 경험에 대한 기준은 1년간 2주 이상의 경험에 대한 설문내용에 바탕을 두고 있어 인과관계의 오류, 회상기억의 오류 등이 작용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정신건강 영역의 우울감 경험이 아닌 활동제한 및 삶의 질 영역의 오늘의 건강상태를 설명해주는 항목 중 불안·우울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에서 성별에 따라 비만율의 차이, 왜곡된 체형인식의 차이, 우울감의 차이가 보고되었는데, 남성이 여성보다 비만율이 높음에도[15,16], 여성이 남성보다 체형을 과대평가하며[17-19], 우울감도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20-22].

가설 설정

  • (3) 나는 매우 심하게 불안하거나 우울하다. 이 3개의 보기 중 조사대상자 자신이 느끼는 상태에 대한 응답에서 (2) 나는 다소 불안하거나 우울하다와 (3) 나는 매우 심하게 불안하거나 우울하다에 응답한 경우 불안·우울상 태인것으로정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안과 우울에 대해 사전 파악이 필요한 이유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 따르면, 1990년에서 2013년 사이 우울증 또는 불안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4억 1천만 명에서 6억 1천만 명으로 약 50% 가까이 증가했다[1]. 정신건강 영역 중 불안과 우울은 삶의 질 및 사회적 기능과 연결되어 있고[2,3], 예방 및 중재 가능한 건강행동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사전 파악이 필요하다[4]. 이와 더불어 경제적 생산력과 건강증진이라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임상에서는 우울과 불안에 대한 검진과 중재를 늘려야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5].
본 연구가 정신건강 영역의 우울감 경험이 아닌 활동제한 및 삶의 질 영역의 오늘의 건강상태를 설명해주는 불안·우울에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주관적 체형인식은 실제 체형과 정신건강 사이에서 중간매개 역할을 하며[12], 체형에 대한 잘못된 인식은 식이장애, 부적절한 체중조절, 심리적 손상에까지 이르게 하므로 [13,14], 왜곡된 체형인식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방안 및 비만과 정신 건강, 삶의 질 영역에 대한 다각도 접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비만 및 왜곡된 체형인식과 정신질환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졌지만 비만과 우울증과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구 분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고, 국내 연구에서는 ‘우울감 경험’ 혹은 ‘우울증상’ 등으로 연구가 제한되어 정신건강과 삶의 질 관련 연구들은 미흡하였다. 선행연구들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우울감 및 우 울증상 경험에 대한 기준은 1년간 2주 이상의 경험에 대한 설문내 용에 바탕을 두고 있어 인과관계의 오류, 회상기억의 오류 등이 작용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정신건강 영역의 우울감 경험이 아닌 활동제한 및 삶의 질 영역의 오늘의 건강상태를 설명해주는 항목 중 불안·우울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1990년에서 2013년 사이 우울증 또는 불안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의 수가 어느정도 증가하였나? 정신건강 및 비만으로 인한 부담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 따르면, 1990년에서 2013년 사이 우울증 또는 불안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4억 1천만 명에서 6억 1천만 명으로 약 50% 가까이 증가했다[1]. 정신건강 영역 중 불안과 우울은 삶의 질 및 사회적 기능과 연결되어 있고[2,3], 예방 및 중재 가능한 건강행동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사전 파악이 필요하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World Health Organization. Investing in treatment for depression and anxiety leads to fourfold return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cited 2016 Dec 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news/releases/2016/depression-anxiety-treatment/en/. 

  2. Saarni SI, Suvisaari J, Sintonen H, Koskinen S, Harkanen T, Lonnqvist J. The health-related quality-of-life impact of chronic conditions varied with age in general population. J Clin Epidemiol 2007;60(12):1288-1297. DOI: https://doi.org/10.1016/j.jclinepi.2007.03.004. 

  3. Creed F, Morgan R, Fiddler M, Marshall S, Guthrie E, House A. Depression and anxiety impa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costs in general medical inpatients. Psychosomatics 2002;43(4):302-309. DOI: https://doi.org/10.1176/appi.psy.43.4.302. 

  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ental health in the United States: health risk behaviors and conditions among persons with depression: new Mexico, 2003. MMWR Morb Mortal Wkly Rep 2005;54(39):989-991. 

  5. Chisholm D, Sweeny K, Sheehan P, Rasmussen B, Smit F, Cuijpers P, et al. Scaling-up treatment of depression and anxiety: a global return on investment analysis. Lancet Psychiatry 2016;3(5):415-424. DOI: https://doi.org/10.1016/S2215-0366(16)30024-4. 

  6.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and overweight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cited 2017 Nov 13].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1/en/. 

  7. Statistics Korea. Depression experience rate trend [Internet]. Daejeon: Statistic Korea; 2016 [cited 2017 Nov 13].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8. Luppino FS, de Wit LM, Bouvy PF, Stijnen T, Cuijpers P, Penninx BW, et al. Overweight, obesity, and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Arch Gen Psychiatry 2010;67(3):220-229. DOI: https://doi.org/10.1001/archgenpsychiatry.2010.2. 

  9. Wardle J, Cooke L. The impact of obes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2005;19(3):421-440. DOI: https://doi.org/10.1016/j.beem.2005.04.006. 

  10. Pimenta AM, Sanchez-Villegas A, Bes-Rastrollo M, Lopez CN, Martinez-Gonzalez MA.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disturbance and incidence of depression: the SUN prospective cohort. BMC Public Health 2009;9:1. DOI: https://doi.org/10.1186/1471-2458-9-1. 

  11. Ladwig KH, Marten-Mittag B, Lowel H, Doring A, Koenig W. Influence of depressive mood on the association of CRP and obesity in 3205 middle aged healthy men. Brain Behav Immun 2003;17(4):268-275. DOI: https://doi.org/10.1016/s0889-1591(03)00056-4. 

  12. Grogan S. Body image and health: contemporary perspectives. J Health Psychol 2006;11(4):523-530. DOI: https://doi.org/10.1177/1359105306065013. 

  13. Kim M, Lee H. Overestimation of own body weight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ssociations with lifestyles,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depression. Nutr Res Pract 2010;4(6):499-506. DOI: https://doi.org/10.4162/nrp.2010.4.6.499. 

  14. Tang J, Yu Y, Du Y, Ma Y, Zhu H, Liu Z. Association between actual weight status, perceived weight and depressive, anxious symptoms in Chinese adolescents: a cross-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2010;10:594. DOI: https://doi.org/10.1186/1471-2458-10-594. 

  15. Yang YS. An analysis of obesity-related factors in Korean men and women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5. 

  16. Joh HK, Oh J, Lee HJ, Kawachi I. Gender and socioeconomic status in relation to weight perception and weight control behavior in Korean adults. Obes Facts 2013;6(1):17-27. DOI: https://doi.org/10.1159/000346805. 

  17. Park S, Hyun T, Lee H. Weight control behavio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nutritional status by overestimation of body image among young Korean females: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1. Korean J Community Nutr 2015;20(5):362-374. DOI: https://doi.org/10.5720/kjcn.2015.20.5.362. 

  18. Boo S. Misperception of body weight and associated factors. Nurs Health Sci 2014;16(4):468-475. DOI: https://doi.org/10.1111/nhs.12154. 

  19. Kim YM. The relationships of body mass image and body image perception with cognitive restraint of eating and depression in school-age children [dissertation]. Daejeon: Eulji University; 2014. 

  20. Ha EJ.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ve mood experience in Korean men and women: using the Korea health panel (2009-2011) data analysi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5. 

  21. Jeon SB. Body image perception influences weight control behaviors, nutrient intakes and dietary quality among Korean women indifferent age group: using th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dissertation]. Seoul: Myongji University; 2014. 

  22. Lee HJ. Longitudinal changes in depression in older adults: differences across age groups and risk factors. J Welf Aged Inst 2013;61:291-318. 

  23. Gaskin JL, Pulver AJ, Branch K, Kabore A, James T, Zhang J. Perception or reality of body weight: which matters to the depressive symptoms. J Affect Disord 2013;150(2):350-355. DOI: https://doi.org/10.1016/j.jad.2013.04.017. 

  24. McCabe MP, Ricciardelli LA. Sociocultural influences on body image and body changes among adolescent boys and girls. J Soc Psychol 2003;143(1):5-26. DOI: https://doi.org/10.1080/00224540309598428. 

  25. Byeon H. Association between weight misperception patterns and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young adolescents: national cross-sectional study. PLoS One 2015;10(8):e0131322. DOI: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31322. 

  26. Yang EO.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body image on depression among women [dissertation]. Seoul: Ajou University; 2009. 

  27. Southerland J, Wang L, Richards K, Pack R, Slawson DL. Misperceptions of overweight: associations of weight misperception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normal-weight college students. Public Health Rep 2013;128(6):562-568. DOI: https://doi.org/10.1177/003335491312800617. 

  28. Lee KM, Seo MS, Shim JY, Lee YJ. Body weight status mispercep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weight control behaviours, depressive mood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nulliparous normal-weight young women. Ann Hum Biol 2015;42(6):528-532. DOI: https://doi.org/10.3109/03014460.2015.1006139. 

  29. Yoon SH, Han KT, Kim SJ, Sohn TY, Jeon B, Kim W, et al. Combined effect of body mass index and body size perception on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 results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10-2012). BMC Public Health 2015;15:554. DOI: https://doi.org/10.1186/s12889-015-1839-6. 

  30. Youn JH.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perception and anxiety/depressi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youthful koreans [dissertation]. Incheon: Gachon University: 2013. 

  31. Wynne C, Comiskey C, McGilloway S. The role of body mass index, weight change desires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hildren living in urban disadvantage: Testing mediation models. Psychol Health 2016;31(2):147-165. DOI: https://doi.org/10.1080/08870446.2015.1082560. 

  32. Puskar K, Bernardo LM, Fertman C, Ren D, Stark KH.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perception, gende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rural adolescents. Online J Rural Nurs Health Care 2009;9(1):23-33. 

  33. Kim YH. The frequency of obesity related disord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related disorders and clinical parameters in obesity patient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8. 

  34. Lee HS.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self rated health among obese Korean men and women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5. 

  35. Jeffers AJ, Cotter EW, Snipes DJ, Benotsch EG. BMI and depressive symptoms: the role of media pressures. Eat Behav 2013;14(4):468-471. DOI: https://doi.org/10.1016/j.eatbeh.2013.08.007. 

  36. Munsch S. Study protoco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onsequences of exposure to mass media in young women - an experimental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and the role of moderators. BMC Psychol 2014;2(1):37. DOI: https://doi.org/10.1186/s40359-014-0037-0. 

  37. Choi Y, Choi E, Shin D, Park SM, Lee K.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weight misperception and psychosocial factors in Korean adult women less than 65 years old with normal weight. J Korean Med Sci 2015;30(11):1558-1566. DOI: https://doi.org/10.3346/jkms.2015.30.11.1558. 

  38. Rothman KJ. BMI-related errors in the measurement of obesity. Int J Obes (Lond) 2008;32 Suppl 3:S56-S59. DOI: https://doi.org/10.1038/ijo.2008.87. 

  39. Kim S, So WY. Secular trends in the prevalence of weight misperception among Korean adults, 2001-2013. Obes Res Clin Pract 2016 Jun 14 [Epub]. DOI: https://doi.org/10.1016/j.orcp.2016.05.002. 

  40. Jun JH, Lee MS. Media involvement on appearance evaluation, appearance str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J Korean Soc Cloth Text 2014;38(4):518-527. DOI: https://doi.org/10.5850/jksct.2014.38.4.518. 

  41. Dey M, Gmel G, Mohler-Kuo M. Body mass index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young Swiss men. BMC Public Health 2013;13:1028. DOI: https://doi.org/10.1186/1471-2458-13-1028. 

  42. Zhi T, Wang Q, Liu Z, Zhu Y, Wang Y, Shi R, et al.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hip ratio are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Chinese women: results from the Rugao Longevity and Ageing Study (RuLAS). Aging Ment Health 2017;21(5):518-523. DOI: https://doi.org/10.1080/13607863.2015.1124837. 

  43. Walther A, Philipp M, Lozza N, Ehlert U. Emotional support, depressive symptoms, and age-related alterations in male body composition: cross-sectional findings from the men's health 40+ study. Front Psychol 2017;8:1075. DOI: https://doi.org/10.3389/fpsyg.2017.01075. 

  44. De Montigny F, Cloutier L, Meunier S, Cyr C, Coulombe S, Tremblay G, et al. Association between weight status and men's positive mental health: the influence of marital status. Obes Res Clin Pract 2017;11(4):389-397. DOI: https://doi.org/10.1016/j.orcp.2016.12.002. 

  45. Mond J, Rodgers B, Hay P, Owen C. Mental health impairment in underweight women: do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disordered behavior play a role? BMC Public Health 2011;11:547. DOI: https://doi.org/10.1186/1471-2458-11-547. 

  46. Carpenter KM, Hasin DS, Allison DB, Faith MS.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and DSM-IV major depressive disorder,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results from a general population study. Am J Public Health 2000;90(2):251-257. DOI: https://doi.org/10.2105/ajph.90.2.251. 

  47. Jo JS, Han DN, Park HS. The depression in the obese. J Korean Acad Fam Med 1995;16(4):239-245. 

  48. Noh JW, Kwon YD, Park J, Kim J. Body mass index and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 aged and older adults. BMC Public Health 2015;15:310.DOI: https://doi.org/10.1186/s12889-015-1663-z. 

  49. Atlantis E, Barnes EH, Ball K. Weight status and perception barriers to healthy physical activity and diet behavior. Int J Obes (Lond) 2008;32(2):343-352. DOI: https://doi.org/10.1038/sj.ijo.0803707. 

  50. Lovejoy JC, Sainsbury A; Stock Conference 2008 Working Group. Sex differences in obesity and the regulation of energy homeostasis. Obes Rev 2009;10(2):154-167. DOI: https://doi.org/10.1111/j.1467-789X.2008.00529.x. 

  51. Seo J, Ma H, Kim S, Kim J, Shin M, Yang YJ. Effects of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body condition and body image perception on nutrient intake, weight control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ition Health 2016;49(3):153-164. DOI: https://doi.org/10.4163/jnh.2016.49.3.153. 

  52. Kuchler F, Variyam JN. Mistakes were made: misperception as a barrier to reducing overweight.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3;27(7):856-861. DOI: https://doi.org/10.1038/sj.ijo.080229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