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 흡연자의 금연에 대한 관심도 및 관련 요인
Interest in Smoking Cessation and Its Related Factors in Male Smok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4, 2018년, pp.362 - 373  

신택수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임영아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성 흡연자들의 금연에 대한 관심도와 그에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청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공무원 중 조사시점에서 현재 흡연자인 593명으로 하였다. 조사는 2015년 10월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금연에 대한 관심도는 "관심 없음" 28.3%, "관심이 있으나 6개월 이내에 금연할 생각 없음" 45.7%, "관심이 있으며 6개월 이내에 금연할 것임" 26.0%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금연에 대한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고용형태", "최초 흡연 연령", "1일 흡연량(담배 개피 수)", "아침에 일어나서 첫 번째 담배를 피울 때까지 걸리는 시간", "폐암 이환 가능성 인지", "금연에 대한 행동실천의 인지된 이익"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금연에 대한 관심도가 "관심 없음"군보다 "관심이 있으며 6개월 이내에 금연할 것임"군에서 "폐암 이환 가능성 인지", "금연에 대한 행동실천의 인지된 이익" 및 "금연에 대한 행동실천의 인지된 장애"가 높게 나타날 위험비가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흡연에 의한 건강장애의 심각성의 인식이 금연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in smoking cessation and factors that define this interest. The study subjects were 593 male civil servants who work at D metropolitan city and were smokers at the time of the survey. The research method was a survey using a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동안 선행연구에서는 금연에 관련된 영향요인[14-16]이나 흡연행동 또는 금연행동과 스트레스[17-19], 음주 행동 및 생리적 영향[20-22] 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금연에 대한 관심도와 그에 관련된 건강행동 요인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성 흡연자들의 금연에 대한 관심도와 금연에 대한 관심도에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남성 흡연자들의 금연에 대한 관심도와 금연에 대한 관심도를 규정하는 요인 간의 관련성을 밝히려는 목적으로 건강믿음모형(Health Belief Model: HBM)[25]과 금연행동변화과정[24]을 참고로 하여 「금연의 관심도」를 규정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HBM을 구성하는 인자(사회적지지 네트워크, 이환 가능성, 심각성, 이익, 장애, 매스미디어, 주변의 권유)를 독립변수로 하고, 금연에 대한 관심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투입하는 다변량분석(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금연에 대한 관심도와 금연의 관심도를 규정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기 위한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남성 흡연자들의 금연에 대한 관심도와 금연에 대한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청 및 그 산하 지청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공무원 중 조사시점에서 현재 흡연자인 593명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적인 흡연이 유발할 수 있는 암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흡연은 폐암을 비롯한 각종 암과 만성폐질환, 심장질환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3]. 특히 담배에는 약 60여종의 발암물질이 들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흡연은 전체 암 발생의 20%, 암 사망의 30%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지속적인 흡연은 폐암을 비롯하여 구강암, 인·후두 암, 췌장암, 방광암 등 여러 종의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하지만 암은 예방이 가능한 만성질환 중의 하나로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전체 암의 1/3은 예방이 가능하고, 1/3은 조기진단에 의해 완치가 가능하고, 1/3은 완화의료에 의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5].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흡연율의 추세는 어떠한가?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흡연율은 2001년 60.9%, 2005년 51.6%, 2010년 48.3%, 2015년 39.3%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긴 하나 아직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평균치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흡연은 국민건강의 주요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1]. 따라서 우리나라는 2015년 1월 금연대책의 일환으로 담배 값을 모두 2,000원(80%)씩 대폭 인상하였다.
건강믿음모형(Health Belief Model; HBM)은 Becker 등에 의해 수정되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주민의 보건행동에 관한 요인구조의 모델로서 Rosenstock 등[6]에 의해 제창된 건강믿음모형(Health Belief Model; HBM)은 초기에는 질병 예방 및 건강검진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건강행태의 예측모형으로 시작되었다. 그 후 Becker 등[7]에 의해 수정되어 질병행태 및 치료순응도를 예측하거나 보건행동의 분석에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8-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gallup Korea. 2015 Adult Tobacco Quick Survey. 2015. 

  3. Fiore MC, Bailey WC, Cohen SJ, et al. Treating tobacco use and dependenc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Rockville, M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June, 2000. 

  4. Jo EJ, Kim NY, The related factors of adolescent smoker's cancer preventive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8):1-9, 2015. 

  5. Doll R, Peto R, Boreham J, Sutherland I. Mortality in relation to smoking: 50 years observation on male british doctors. BMJ 328:1519-1528. 2004. DOI: https://doi.org/10.1136/bmj.38142.554479.AE 

  6. Rosenstock IM. Why people use health service?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44:94-127. 1966. DOI: https://doi.org/10.2307/3348967 

  7. Becker MH. Maiman LA. Sociobehavioral determinants of compliance with health and medical care recommendations. Med Care, 13:10-24. 1975. DOI: https://doi.org/10.1097/00005650-197501000-00002 

  8. Hanson JA, Benedict JA. Use of the health belief model to examine older adults' food-handling behaviors. J Nutr Educ Behav, 34 Suppl 1:S25-30. 2002. DOI: https://doi.org/10.1016/S1499-4046(06)60308-4 

  9. Sitnik K, Trzcieniecka-Green A, Jakubowski D. Patients' opinioms about the reasons for their heart attacks in the context of their health belief models - a preliminary report. Wiad Lek. 56(9-10):442-448. 2003. 

  10. Rhodes SD, Hergenrather KC. Us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understand vaccination behavior among young man who have sex with men: stage of change, the health belief model, and self-efficacy. J Community Health, 28(5):347-362. 2003. DOI: https://doi.org/10.1023/A:1025444629753 

  11. Juniper KC, Oman RF, Hamm RM, et al. The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in the health belief model and the trans theoretical model among African-American college women for physical activity. Am J Health Promot, 18(5):354-357. 2004. DOI: https://doi.org/10.4278/0890-1171-18.5.354 

  12. Roden J. Revisting the health belief model: nurses applying it to young families and their health promotion needs. Nurs Health Sci, 6(1):1-10. 2004. DOI: https://doi.org/10.1111/j.1442-2018.2003.00167.x 

  13. Munakata K. Health and Disease in Behavioral Science. Medical Friend Co, Japan, Tokyo, 99-144. 1987. 

  14. Lee KJ, Chang CJ, Kim MS, Lee MH, Cho YH.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during 6 months. J Korean Acad Nurs, 36(5):742-750, 2006. DOI: https://doi.org/10.4040/jkan.2006.36.5.742 

  15. Lee ES, Seo HK.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in Korea. J Korea Acad Fam Med, 28:39-44, 2007. 

  16. Lee MS, Hong GM, Hwang HJ, Bae SH.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after a 6 month cessation at smoking cessation clinic in public health center of one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31-39, 2010. 

  17. Lee SJ, Park SH, Kim CH, Lee DH, Kim KH, Leem GH, Jeon SH, Heo Y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he will cease tobacco smoking for small and medium scale industry male workers. Korea J Occup Environ Med. 24(1):33-39, 2012. 

  18. Yoon HS, Ahn KS, Cho YC.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contents and smoking habits in manufacturing mal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3): 2047-2054, 2015. 

  19. Shin US, Cho YC.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moking behaviors among small scale manufacturing mal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2): 8509-8515, 2015. 

  20. Ueda K, Nakamura M, Shirokawa N,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tages and biochemical markers of smoking workplace-based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ies. Japanese J Public Health 47(9):783-791. 2000. 

  21. Wallac LS. Osteoporosis prevention in college women: application of the expended health belief model. Am J Health Issues, 12(3):122-128. 2002. 

  22. Koch J. The role of exercise in the African-American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pplic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J Am Acad Nurse Pract 14(3):126-129. 2002. DOI: https://doi.org/10.1111/j.1745-7599.2002.tb00103.x 

  23. Faul F, Erdfelder E, Lang AG et al.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science. Behav Res Methods, 39(2):175-191, 2007. DOI: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4. DiClemente CC, Prochaska JO, Fairhurst SK et al. The process of smoking cession.: An analysis of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stages of change. J Consult Clin Psychol, 59(2):295-304. 1991. DOI: https://doi.org/10.1037/0022-006X.59.2.295 

  25. Becker MH, et al. Scales for measuring health belief model dimensions: a test of predictive valu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ationship among beliefs. Health Educ Monogr, 5:215-230. 1977. DOI: https://doi.org/10.1177/109019817700500303 

  26. Shinmura H, Kayaba K, Kunisawa N, et al. A nationwide survey of municipalities policy for smoking control and its implementation in relation to its priority grading by public health officers. Jpn J Public Health, 2004;51(9):814-821. 

  27. Suzuki J, Nakaide K, Nakamura Y, Kanetaka K, et al. Predictors of abstinence from smoking among participants in a smoking cessation program in a health center in Japan. Jpn J Public Health, 53(3):187-195. 2006. 

  28. Nakazawa A, Shigeta M, Ozasa K. Smoking cigarettes of low nicotine yield does not reduce nicotine intake as expected: a study of nicotine dependency in Japanese males. BMC Public Health, 4(1);4-28. 2004. DOI: https://doi.org/10.1186/1471-2458-4-28 

  29. Masumoto T, Ozasa K, Fukui K et al. Health behavioral factors related to the attitude toward quit-smoking among factory workers. Jpn J Public Health, 52(5):375-386. 2005. 

  30. Kim LH, Park KS, Chun HR, Samuel Noh. Smoking rate of worker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and industry:1992-2006.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4):15-25, 2011. 

  31. Yoo GH. The effects of anti-smoking policy in workplace on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2. 

  32. Kim SR, Kim OK, Yun KE, Kang YH, Hong JC. Socioeconomic factors associated with initiating and quitting cigarette smoking among Korea men. Korean J Fam Med. 30:415-425, 200 

  33. Kim MS.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among enrolled smokers in smoking-sessation of health center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8. 

  34. Kim JS, Lim SH, Lee DO, Sung NJ, Park KH. Smoking types and smoking cessation rate. J Korea Acad Fam Med, 25:388-391, 2004. 

  35. Kim SY. Adult's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their sages for the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 Social Welfare Sahmyoo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36. Park S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 female college student smokers. Granduate School of Nursing Keimyung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6. 

  37. Jeon YO.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cessation clinic of a urban public health center. Graduate School of Magor in Preventive Medicine & Medical Science, Chung-Ang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6. 

  38. Paek YJ. The efficacy of providing health risk appraisal for smoking cessation in Korea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atholic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1. 

  39. Lee PH. Validation of transtheoretical model on smoking cessation in Koreans adults. Graduate School of Nursing Chobuk National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4. 

  40. Moon IS. The effect of the smoking-cessation education program to the solider' smoking knowledge, attitude, and the change of the smoking-cessation behavior.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and Management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2. 

  41. Kim HO. Effect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stop-smoking rate and nicotine dependency for the adult smoker. The J.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3(1):5-16, 2002. 

  42. Kim HS, Bae SS. Factors associated with relapse to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36(2):87-100, 20111. DOI: https://doi.org/10.5393/JAMCH.2011.36.2.087 

  43. Jung JS. A study on differences in impacts of generations and smokng characteristics on the intent to smoke: with a focus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8: 1-3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