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두릅(shoot of Aralia elata)의 분획물이 가지는 산화방지 효과와 간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생리활성물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릅의 각 분획물을 이용하여 총 페놀 함량, 산화방지 능력(ABTS와 DPPH 라디칼 제거 활성)의 측정을 통해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 대비 가장 높은 산화방지 능력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두릅의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을 이용하여 지방질과산화물의 생성 억제 능력을 확인한 결과 역시 우수한 억제 활성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두릅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은 간세포(H4IIE와 HepG2)에서 에탄올과산화수소에 의한 강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생존율 또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epG2 세포에서 알코올에 의한 지방질 축적을 유도하였을 때 두릅의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이 지방질 축적의 억제 효과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두릅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의 생리활성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HPLC를 분석한 결과 클로로겐산과 3,5-다이카페오일퀸산이 주요 생리활성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려할 때, 두릅의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은 우수한 산화방지 능력과 간세포 보호 능력을 나타냄에 따라 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physiological effect of Aralia elata,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hepatic protective effects were investigated. Ethyl acetate fraction from Aralia elata (EFAE) had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 than other fractions (n-hexane, chloroform, and distilled water layers). EFAE also sho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결과 각 분획물에서 노말 헥세인 층은 13.42± 0.52 mg GAE/g, 클로로폼 층은 16.33±1.18 mg GAE/g, 아세트산에틸 층은 258.92±0.52 mg GAE/g, 증류수 층은 69.58±0.38 mg GAE/g으로 각각 나타나 시료 중에서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이 가장 많은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후에 각분획물이 가지는 산화방지 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 이외에도 항염증(Lee와 Jeong, 2009), 피부 광노화 억제(Yang과 Kwak, 2016)에 대한 효과가 보고되어 있지만, 두릅이 가지는 간세포 보호효과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릅이 가지는 산화방지 효과에서 기인되는 알코올에 대한 간세포 보호효과와 이로 인한 지방 축적의 억제 효과를 세포 수준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두릅(shoot of Aralia elata)의 분획물이 가지는 산화방지 효과와 간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생리활성물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릅의 각 분획물을 이용하여 총 페놀 함량, 산화방지 능력(ABTS와 DPPH 라디칼 제거 활성)의 측정을 통해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 대비 가장 높은 산화방지 능력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릅나무는 어떤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가? 두릅나무(Aralia elata)는 두릅나뭇과에 속하는 식물로 주로 순을 섭취하며 아시아 전역에 분포해 있는 식물이다(Lee와 Jeong, 2009). 두릅나무에는 사포닌, 올리에놀산, 트라이터펜, 시스토스테롤, 아스코브산, 베타카로텐 등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Cha 등, 2009; Kim 등, 2005), 당뇨 개선(Shin 등, 2004), 혈당 조절(Yoshikawa 등, 1996)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항염증(Lee와 Jeong, 2009), 피부 광노화 억제(Yang과 Kwak, 2016)에 대한 효과가 보고되어 있지만, 두릅이 가지는 간세포 보호효과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간이란 무엇인가? 간은 체내에서 소화와 배설, 단백질과 지방질의 대사, 영양소의 저장, 해독작용 등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적인 장기이다(Kim 등, 2012). 그러나 음주, 흡연, 독성물질 등에 의한 지방간, 간염, 간암과 같은 간질환의 발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각종 사회적 비용의 발생을 야기하여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Han 등, 2009).
음주를 통한 알코올의 섭취는 어떤 간 질병의 원인이 되는가? 그러나 음주, 흡연, 독성물질 등에 의한 지방간, 간염, 간암과 같은 간질환의 발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각종 사회적 비용의 발생을 야기하여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Han 등, 2009). 특히 알코올의 섭취는 지방간, 간염, 간경화, 간암과 같은 간질환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Walsh와 Alexander, 2000). 이러한 알코올을 섭취하게 되면 위와 소장을 통해 혈액 내로 흡수되며 대부분 간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 (acetaldehyde)를 거쳐 아세테이트(acetate)로 대사된다(Lumeng과 Crabb,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k MJ, Jun M, Jeong WS.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the red ginseng essential oil in $H_2O_2$ -treated HepG2 cells and $CCl_4$ -treated mice. Int. J. Mol. Sci. 13: 2314-2330 (2012) 

  2. Boucher PD, Hines RN. In vitro binding and functional studies comparing the human CYPIAI negative regulatory element with the orthologous sequences from rodent genes. Carcinogenesis. 16: 383-392 (1995) 

  3. Brandon-Warner E, Sugg JA, Schrum LW, McKillop IH. Silibinin inhibits ethanol metabolism and ethanol-dependent cell proliferation in an in vitro model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ancer lett. 291: 120-129 (2010) 

  4. Cha JY, Ahn HY, Eom KE, Park BK, Jun BS, Cho YS. Antioxidative activity of Aralia elata shoot and leaf extracts. J. Life Sci. 19: 652-658 (2009) 

  5. Chang ST, Wu JH, Wang SY, Kang PL, Yang NS, Shyur LF.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cacia confusa bark and heartwood. J. Agric. Food Chem. 49: 3420-3424 (2001) 

  6. Cho AS, Jeon SM, Kim MJ, Yeo J, Seo KI, Choi MS, Lee MK. Chlorogenic acid exhibits anti-obesity property and improves lipid metabolism in high-fat diet-induced-obese mice. Food Chem. Toxicol. 48: 937-943 (2010) 

  7. Chung CK, Jung ME. Ethanol fraction of Aralia elata Seemann enhances antioxidant activity and lowers serum lipids in rats when administered with benzo(a)pyrene. Bio. Pharm. Bull. 26: 1502-1504 (2003) 

  8. Dudonne S, Vitrac X, Coutiere P, Woillez M, Merillon J.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proper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30 plant extracts of industrial interest using DPPH, ABTS, FRAP, SOD, and ORAC assays. J. Agric. Food Chem. 57: 1768-1774 (2009) 

  9. Ela MAA, El-Lakany AM, Abdel-Kader MS, Alqasoumi SI, Shams- El-Din SM, Hammoda HM. New quinic acid derivatives from hepatoprotective Inula Crithmoides root extract. Helv. Chim. Acta. 95: 61-66 (2012) 

  10. Freeman TL, Tuma DJ, Thiele GM, Klassen LW, Worrall S, Niemela O, Parkkila S, Emery PW, Preedy VR. Recent advances in alcohol- induced adduct formation. Alcohol. Clin. Exp. Res. 29: 1310- 1316 (2005) 

  11. Gemma S, Vichi S, Testai E. Individual susceptibility and alcohol effects: biochemical and genetic aspects. Ann. Ist. Super. Sanita. 42: 8-16 (2006) 

  12. Gomez-Lechon MJ, Donato MT, Martinez-Romero A, Jimenez N, Castell JV, O'Connor J. A human hepatocellular in vitro model to investigate steatosis. Chem. Biol. Interact. 165: 106-116 (2007) 

  13. Ha JS, Park SK, Park CH, Seung TW, Guo TJ, Kang JY, Lee DS, Kim JM, Lee U, Heo HJ.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new green extract against $H_2O_2$ -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nalysis of bioactive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673- 679 (2015) 

  14. Han EK, Jin YX, Yoo YS, Jung EJ, Lee JY, Chung CK.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and Paecilomyces japonica on the reduction of hepatotoxicity and lipid metabolism induced by ethan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16-1023 (2009) 

  15. Hwang KA, Hwang YJ, Kim GR, Choe JS. Extracts from Aralia elata (Miq) Seem alleviate hepatosteatosis via improving hepatic insulin sensitivity. BMC complement. Altern. Med. 15: 347 (2015) 

  16. Kim MJ, Cho SY, Shin KH, Lee MK. Effects of Aralia elata water extracts on activities of hepatic oxygen free radical generating and scavenging enzym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653-658 (2004) 

  17. Kim OK, Ho JN, Nam DE, Jun WJ, Hwang KT, Kang JE, Chae OS, Lee JM. Hepatoprotective effect of Curdrania tricuspidata extracts against oxidative dam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13 (2012) 

  18. Kim JS, Shim SH, Chae S, Han SJ, Kang SS, Son KH, Chang HW, Kim HP, Bae K. Saponins and other constituents from the leaves of Aralia elata. Chem. Pharm. Bull. 53: 696-700 (2005) 

  19. Lee JH, Jeong CS. Suppressive effects on the biosynthesis of inflammatory mediators by Aralia elata extract fractions in macrophage cells. Environ. Toxicol. Pharmacol. 28: 333-341 (2009) 

  20. Lieber CS. Role of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therapy in alcoholic and nonalcoholic liver diseases. Adv. Pharmacol. 38: 601- 628 (1996) 

  21. Lieber CS. Ethanol metabolism, cirrhosis and alcoholism. Clin. Chim. Acta. 257: 59-84 (1997) 

  22. Lumeng L, Crabb DW. Alcoholic liver disease. Curr. Opin. Gastroenterol. 16: 208-218 (2000) 

  23. Mandrekar P, Szabo G. Signalling pathways in alcohol-induced liver inflammation. J. Hepatol. 50: 1258-1266 (2009) 

  24. Nakajima Y, Shimazawa M, Mishima S, Hara H. Water extract of propolis and its main constituents, 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exert neuroprotective effects via antioxidant actions. Life Sci. 80: 370-377 (2007) 

  25. Nhiem NX, Lim HY, Van Kiem P, Van Minh C, Thu VK, Tai BH, Quang TH, Song SB, Kim YH. Oleanane-type triterpene saponins from the bark of Aralia elata and their NF-eB inhibition and PPAR activation signal pathway. Bioorg. Med. Chem. Lett. 21: 6143-6147 (2011) 

  26. Okamoto T, Kanemoto N, Ban T, Sudo T, Nagano K, Niki I.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method for evaluating gluconeogenesis using hepatic cell lines, H4IIE and HepG2. Arch. Biochem. Biophys. 491: 46-52 (2009) 

  27. Olthof MR, Hollman PC, Katan MB. Chlorogenic acid and caffeic acid are absorbed in humans. J. Nutr. 131: 66-71 (2001) 

  2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999) 

  29. Sekiya M, Hiraishi A, Touyama M, Sakamoto K. Oxidative stress induced lipid accumulation via SREBP1c activation in HepG2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75: 602-607 (2008) 

  30. Shi H, Dong L, Jiang J, Zhao J, Zhao G, Dang X, Lu X, Jia M. Chlorogenic acid reduces liver inflammation and fibrosis through inhibition of toll-like receptor 4 signaling pathway. Toxicology. 303: 107-114 (2013) 

  31. Shin KH, Cho SY, Lee MK, Lee JS, Kim MJ. Effects of Aralia elata, Acanthopanacis cortex and Ulmus davidiana water extracts on plasma biomark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457-1462 (2004) 

  32. Singleton VL, Rossi J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 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1965) 

  33. Urquiaga I, Leighton F. Plant polyphenol antioxidants and oxidative stress. Biol. Res. 33: 55-64 (2000) 

  34. Walsh K, Alexander G. Alcoholic liver disease. Postgrad. Med. J. 76: 280-286 (2000) 

  35. Yang JW, Kwak CS. Inhibitory effect of Aralia elata ethanol extract against skin damage in UVB-exposed human keratinocytes and human dermal fibroblasts. J. Nutr. Health. 49: 429-436 (2016) 

  36. Yoshikawa M, Murakami T, Harada E, Murakami N, Yamahara J, Matsuda H. Bioactive saponins and glycosides. VII. on the hypoglycemic principles from the root cortex of Aralia elata seem.: structure related hypoglycemic activity of oleanolic acid oligoglycoside. Chem. Pharm. Bull. 44: 1923-1927 (1996) 

  37. You YH, Jung KY, Lee YH, Jun WJ, Lee BY. Hepatoprotective effects of Hovenia Dulcis fruit on ethanol-induced liver damage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4-159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