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방기 한국영화 속 도시주거풍경에 대한 융합적 연구
The Scenery of the Urban Residence Represented in Korean Films of the Liberation Period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4, 2018년, pp.119 - 125  

문근종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기(1945~1950)의 한국 영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도시의 주거풍경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는 문화적 산물인 영화가 당대의 인간 행위, 주거문화, 도시풍경 등을 반드시 투영한다는 점을 전제로 진행되었다. 고찰을 위해 1946년부터 1949년까지에 해당하는 7편의 작품들이 선정되었으며, 각 영화의 장면들과 등장인물의 대사, 관련 신문기사나 평론, 시나리오 등이 종합적으로 분석되었다. 영화 속에서 도시주거풍경은 크게 2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사회문화적 혼란 속에서도 아파트나 문화주택 등 서구적 주거공간들이 조명되었는데, 이는 일반 대중의 동경과 호기심을 반영한 결과였다. 둘째, 서울 도심의 구석구석이 의도적으로 비추어졌는데, 이는 해방 직후의 혼란 속에서 서서히 안정을 찾아가고 있는 장안의 모습이 그대로 담긴 것이며 서울의 풍경 자체가 관객들에게 전시물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enery of the Urban Residence' represented in Korean films of the liberation period. It is assumed that public films reflect the human activities, residential culture and cityscape of those days. For the analysis, a pool of 7 Korean films from 1946 til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기(1945∼1950)의 우리 대중영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도시의 주거풍경을 고찰하는 것이다.
  • 이렇게 선정된 7편의 분석대상을 통하여 각 영화의 장면들과 등장인물의 대사, 그리고 관련된 문헌들을 동시에 분석하고자 한다. 시각적, 공간적으로는 영화의 각 장면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되며, 더불어 영화 속에 설정된 인물관련 정보와 주거 공간 및 도시적 배경에 대한 표현, 줄거리, 더 나아가 영화적 메시지까지를 이해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전쟁 이후 사회, 대중문화면에서 어떻게 변화했는가?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할 여유는 없었고 남한에는 미국의 대중문화가 쏟아지기 시작하면서 결국 서구지향의 문화와 가치를 따르게 되었다. 특히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우리사회는 급속히 미국화, 근대화되는 데, 경제적으로는 미국의 원조에 의존하고 문화적으로는 미국 영화 등 대중문화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된 것이다[1].
주거풍경의 넓은 의미의 정의는 무엇인가? 해방기(광복 이후부터 한국전쟁 이전까지의 약 5년 간)의 주거문화에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일제강점기나 한국전쟁 이후의 주거문화 연구에 비해 학계의 연구 성과가 지금까지 상당히 빈약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 ‘주거풍경’이라 함은, 건축물, 가로 등으로 대표되는 인공적인 요소에 의한 경치뿐만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인간의 삶, 정경, 문화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의 풍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한다[2].
해방기 한국 영화'자유만세'에서 가늠해볼 수 있는 '아파트'의 개념은 무엇인가? 여기서 ‘아파트 안’에 들어간다는 것은 아파트 주출입구를 지나 복도나 계단을 마주한다는 의미이며, 이러한 내용으로 미루어보았을 때 당시의 ‘아파트’는 3층짜리 아파트 건물 전체를 가리키며 그 안의 각 세대는 ‘방’이라 불렸음을 추측할 수 있는데, 이는 최근의 ‘아파트 한 채’, 또는 ‘홍길동의 아파트’라는 개념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9]. 또한 ‘방’이라 불린 것으로 보아 원룸형식의 단위세대임을 예측할 수 있는데 이는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 H. Kim. (2006). History of Korean Films. Communication Books, Inc., 39. 

  2. G. J. Moon, E. G. Seo. (2010). The Use of Urban.Architectural Elements in Michelangelo Antonioni's Film - Focusing on the Cityscape of 1950.60s Ital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11), 294. 

  3. J. Steven. (2007). The Wrong House: The Architecture of Alfred Hitchcock. 010 Publishers, 10. 

  4. W. S. Park. (2014). 2014 Seoul Photo Festiva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9-14. 

  5. M. H. Kim. (2006). History of Korean Films. Communication Books, Inc., 105-106. 

  6. http://www.kmdb.or.kr 

  7. KOFA. (2013). List of 100 Korean Films. Korean Film Archive, 37. 

  8. Korean Film Council. (1982). Korea Scenario Collection vol.1. Jipmoondang, 277-283. 

  9. G. J. Moon. (2013). A Study on the Images of Apartments Represented in Korean Films.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Dissertation, 5 

  10. W. G. Shim, S. H. Kang, S. J. Yeo. (2002). Korean Apartment Housings from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8(9), 163. 

  11. G. J. Moon. (2013). A Study on the Images of Apartment Housing through Korean Films in 1930-60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9(4), 151. 

  12. N. I. Jeon, S. H. Yang, H. O. Hong. (2009). Microhistory of Korean Dwelling. Dolbegae, 53-141. 

  13. E. T. Jeong, K. H. Jung, H. J. Song. (2016). A study of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 aspects and storytelling from Imaging Content Produ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6), 177-184. DOI : 10.15207/JKCS.2016.7.6.177 

  14. G. J. Moon. (2017). The Scenery of the Modern City Represented in Korean Films of 1930.40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159-165. DOI : 10.15207/JKCS.2017.8.4.159 

  15. S. M. An. (2015). Study on the Convergence between Spatial Design Education and On.Offline Communication Method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5), 317-327. DOI : 10.14400/JDC.2015.13.5.317 

  16. G. J. Moon. (2017). The Convergence Study of the Cinematic Gaze Represented in Seojong MA-Resid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293-300. DOI : 10.15207/JKCS.2017.8.9.2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