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컴퓨터교육 프레임워크 분석을 통한 Computational Thinking의 개념과 교육과정 편성의 시사점 분석
The Concept of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Analysis of Computer Education Framework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of Software Education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2 no.2, 2018년, pp.251 - 262  

신승기 (대구교육대학교 글로벌교육혁신연구소) ,  배영권 (대구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편성과 Computational Thinking에 대한 개념정립을 위하여 미국의 K12CS에서 제시한 컴퓨터교육 프레임워크를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우리나라에서 Computational Thinking에 대한 용어를 컴퓨팅 사고력으로 사용하는 부분에 대해서 미국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개념과 비교하여 살펴보았으며, 컴퓨팅 사고력과 Computational Thinking은 문제 해결의 초점과 범위가 다름을 살펴볼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은 학교급 및 학년에 따른 위계가 고려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미국의 K12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 역량을 토대로 재구성하여 교육과정 체계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nducted to derive som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computer education framework proposed by K12C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organize the software curriculum and conceptualiza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Korea. First, we discussed the use of the term Computational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omputational Thinking의 개념이 미국에서 처음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는 것을 고려할 때 미국의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제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사실상 국가수준의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 컴퓨터교육 연합체(K-12 Computer Science)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의 체계와 세부 내용[7]을 살펴보고 Computational Thinking의 개념정립과 관련 활동에 대한 내용들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활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학교 급별 학년 및 학년 군에 따른 구체적인 교육과정 편성 안을 제시함으로서 발전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의 제도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인 미국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 컴퓨터교육 연합체(K-12 Computer Science)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편성과 세부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교육 안착과 교육과정 편성 및 Computational Thinking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편성과 Computational Thinking에 대한 개념정립을 위하여 미국의 K12CS에서 제시한 컴퓨터교육 프레임워크를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교육은 2018년부터 중학교 과정에 34차시 분량으로 필수독립교과로 반영이 되었고, 2019년부터 초등학교 5∼6학년에 17차시의 내용으로 실과교과에 내용이 편성되어 운영이 된다.
  • 미국에서는 기존의 CSTA와 ISTE에서 2011년 제시한 Computational Thinking에 대한 개념[4]을 토대로 문제해결력 중심의 Computational Thinking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편성을 완료하여 미국 전역으로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Computational Thinking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개념정립 및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고려하여 Computational Thinking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부적인 활동 및 학년별 성취 기준 등에 대한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넷째, 추상화 능력의 개별과 활용이다. 문제 상황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일반적인 특징을 추출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설계과정에 기존의 공학적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다양한 문제 상황에 적용하여 복잡성을 줄일 수 있는 문제해결의 모듈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 일곱째, 컴퓨팅에 관해 의사소통하기 이다. 컴퓨팅을 통해 계산적 절차와 해결방법에 대해 적절한 용어를 활용하여 설명하고 저작권을 고려하여 문제해결의 적절한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프트웨어 교육의 핵심 사고전략은 무엇인가? 소프트웨어 교육의 핵심 사고전략은 컴퓨팅 사고력으로 일컬어지는 Computational Thinking이며, 이는 문제해결력을 의미하는 체계적인 사고과정이다[11][12].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서도 문제해결력을 기반으로 하는 Computational Thinking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체제가 구성이 되어있고 교수학습모형이 안내가 되어 있으나, 처음 교육과정으로 도입이 되는 교과이며 관련 개념과 프레임워크 등이 정립이 되어가는 단계라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컴퓨터교육과정이 이미 편성되어 운영되고 있는 해외의 다양한 사례를 살펴본다면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편성과 추후 개정교육과정에 반영해야할 요소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CMC(Computer Masti Curriculum)이란 무엇인가? 인도는 세계적으로 IT강국이라고 불리며 전 세계의 소프트웨어 관련 주요 핵심 인력을 배출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우수 국가 중 하나로 일컬어진다. 인도의 컴퓨터 교육과정은 CMC(Computer Masti Curriculum)이라고 불리며 즐거운 컴퓨터 교육과정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인도의 컴퓨터 교육과정은 학년별로 범위와 내용이 정해져 있으며, 세부 내용은 아래의 과 같이 나타난다[16][20].
미국에서 컴퓨터교육과 관련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의 부재를 보완하기 위해 하는 것은 무엇인가? 미국의 경우 연방국가라는 점을 고려하여 우리나라나 영국 등과 같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제시하지 않기 때문에 교과교육과 관련하여 국가수준의 지침을 제시할 뿐 세부적인 교육과정 편성 및 영역에 대한 내용은 제시하지 않고 주(State)별로 세부 내용을 편성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컴퓨터교육과 관련된 연합체(K-12 Computer Science)1)가 구성이 되어 미국의 전체 지역에 지침이 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보급함으로써 각 주의 교육부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7]. 교육과정 설계의 단계에서 14개의 주와 4개의 교육청이 참여하고 국가수준의 연구기관이 주도함으로써 실질적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지침으로써 내용이 편성되어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ustralian Curriculum(2015). Curriculum of Digital Technologies. Retrieved from http://www.australiancurriculum.edu.au/technologies/digital-technologies/curriculum/f-10?layout1 

  2. Bae. Y., Shin, S. (2017, August). The Study on Analysis of the Implications for the Software Education through Case Studies of Applications in the World of Computational Thinking. KAIE Research Journal. Vol 8, No. 2. pp.143-156. 

  3. Bundy, A. (2007). Computational thinking is pervasive. Journal of Scientific and Practical Computing, 1(2), 67-69. 

  4.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CSTA)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ISTE) (2011). Computational Thinking Teacher Resources. Second Edition. 

  5. Department for Education in U.K (2014, June). Interim KS5 minimum standards. Retrieved from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interim-ks5-minimum-standards 

  6. Innovation Centre in HITSA. Programming at Schools and Hobby Clubs. Retrieved from http://www.innovatsioonikeskus.ee/en/programming-schools-and-hobby-clubs 

  7. K-12 Computer Science Framework. (2016). Retrieved from http://www.k12cs.org. 

  8. Khan Academy(2015). Computer programming. Retrieved from https://www.khanacademy.org/computing/computer-programming 

  9. Koodi2016(2014). Koodi2016-ensiapua ohjelmoinnin opettamiseen peruskoulussa. Retrieved from https://s3-eu-west-1.amazonaws.com/koodi2016/Koodi2016_LR.pdf 

  10. Ministry of Education, Korea (2015).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2015-74 (Annex 2). 

  11. Ministry of Education, Korea (2015). Informatics Curriculum. #2015-74 (Annex 10). 

  12. Ministry of Eduction, Korea (2015). Software Education Instructional Guidance. 

  13. Papert, S. (1980). Mindstorms: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Basic Books, Inc. 

  14. Papert, S. (1996). An exploration in the space of mathematics edu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1(1), 95-123. 

  15. Sadler, D. (2015, September). Tech sector cheers on new PM Malcolm Turnbull. startup smart. Retrieved from http://www.startupsmart.com.au/planning/tech-sector-cheers-on-new-pm-malcolm-turnbull/2015091515517.html 

  16. Shin, S., Bae, Y. (2014, December). Analysis and Implication about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in Indi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 18, No. 4. pp. 585-594. doi: http://dx.doi.org/10.14352/jkaie.2014.18.4.585 

  17. Shin, S., Bae, Y. (2015, December). A Study on the Hierarchica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of Software Education by School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 19, No. 4. pp. 533-544. doi: http://dx.doi.org/10.14352/jkaie.2015.19.4.533 

  18. Shin, S., Bae, Y. (2015, March). Review of Software Education based on the Coding in Finlan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 19, No. 1. pp. 127-138. doi: http://dx.doi.org/10.14352/jkaie.2015.19.1.127 

  19. Shin, S., Bae, Y. (2015, September). Study on the Implications about Curriculum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Software Education Policy in Estoni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 19, No. 3. pp. 361-372. doi: http://dx.doi.org/10.14352/jkaie.2015.19.3.361 

  20. Sridhar lyer, Farida Khan, Sahana Murthy(2013). CMC: A Model Computer Science Curriculum for K-12 Schools. 3rd Edition.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Bombay, Mumbai. Retrieved from http://www.cse.iitb.ac.in/internal/techreports/reports/TR-CSE-2013-52.pdf 

  21. Wang, R. L. (2014).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Chinese Edition).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Press. 

  22.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23. Wing, J. M. (2008).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A: 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366(1881), 3717-3725. 

  24. Wing, J. M. (2015). Computational Thinking 計算論的思考. 情報處理, 56(6), 584-587. Retrieved from https://ipsj.ixsq.nii.ac.jp/ej/?actionrepository_action_common_download&item_id141823&item_no1&attribute_id1&file_no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