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티어모델 기반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이 공공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정서지능, 우울 및 행복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atir's model Based Communication Education on Communication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pression-happiness of Regional Public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2 no.1, 2018년, pp.122 - 134  

신윤희 (이대목동병원 공공의료사업센터) ,  이숙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  문현숙 (이대목동병원 간호부) ,  정덕유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이혜순 (이대목동병원 공공의료사업센터,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atir's model based communication education on communication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pression-happiness in regional public hospital nurse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티어모델 기반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공공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정서지능, 우울-행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사티어모델 기반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을제공받은 실험군과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실험처치 후 의사소통 능력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사티어모델 기반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을제공받은 실험군과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실험처치 후 정서지능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사티어모델 기반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을제공받은 실험군과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실험처치 후 우울 및 행복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병원이란 무엇인가? 공공병원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설립 운영하는 병원으로, 전국적으로 220개소, 병상 수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전체 병상의 10%에도 미치지 못한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하지만 그 역할은 공익적 의료 서비스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기본적인 의료 수요를 충족시키는 포괄적이고 지속적인 보건의료서비스를 담당하는 것으로 무척 중요하다.
본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우울 및 행복과 같은 삶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공공병원 간호사의 우울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서 주 간호 대상인 의료 취약계층과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의사소통은 단편적인 사건이 아니라, 개인의인성과 심성, 삶의 이력과 현실을 어떻게 다루고 평가하는지에 대한 가치관이 담겨있으므로(Bak, 2016), 본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우울 및 행복과 같은 삶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선행 연구에서도 사티어 요법을 통해 우울이 감소하고(Kang & Lee, 2010), 삶에 있어 변화가 생기고 미래를 기대하게 되며 전반적인 삶에 있어 만족하는 등의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Wretman, 2016).
외부로 표출되는 의사소통, 상황 관리에 대하여 강의와 실습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이틀간 진행한 본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는 무엇인가? 연구결과, 사티어모델 기반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데효과적인 중재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확인된 교육 효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간호사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교육을 위한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된 적 없는 사티어모델 기반의 의사소통교육의 적용 가능성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교육 정책에 있어서도 기존의 강의식 교육에서 벗어나 효과적인 교수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다양한 대상자에 있어서 반복적인 추후연구가 진행되는 것에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Y. H., Kweon, E. K., Choi, E. S., & Gu, E. J. (2011). Effects of competency level in communication on professional competence of public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2), 233-243. 

  2. Bae, Y., & Lee, T. (2015). Relationship of experience of violence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r hospital nurses'.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5), 489-500.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5.489 

  3. Bak, Y. I. (2016). What should be the goal of the communication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107, 5-32. 

  4. Ceschi, G., Billieux, J., Hearn, M., Fuerst, G., & Van der Linden, M. (2014). Trauma expo sure interacts with impulsivity in predicting emotion regulation and depressive mood. European Journal of Psychotraumatology, 5, 24104. http://dx.doi.org/10.3402/ejpt.v5.24104 

  5. Choi, E., & Jeon G. (2017). The impacts of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s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registered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6(1), 30-39. http://dx.doi.org/10.5807/kjohn.2017.26.1.30 

  6. Choi. M. L. (2015). The relations among sensitivity intelligence, self-management and selfreflection of the athlet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4(3), 231-242. 

  7. Codier, E., & Codier, D. D. (2017). Could emotional intelligence make patients safer? Specific skills might help nurses to improve communic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individual and team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17(7), 58-62. http://dx.doi.org/10.1097/01.NAJ.0000520946.39224.db 

  8. Compton, J., Copeland, K., Flanders, S., Cassity, C., Spetman, M., Xiao, Y., et al. (2012). Implementing SBAR across a large multihospital health system.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38(6), 261-268. https://doi.org/10.1016/S1553-7250(12)38033-1 

  9. Crowne, K. A., Young, T. M., Goldman, B., Pat terson, B., Krouse, A. M., & Proenca, J. (2017). Leading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development effectiveness. Leadership in Health Services, 30(3), 217-232. http://dx.doi.org/10.1108/LHS-12-2015-0055 

  10. DeVellis, R. F. (2016).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4th ed.).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1.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12. Ha, J. Y., & Jeon, S. Y. (2016). The effects of humanistic knowledge and emotional intellig ence on communication skills of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 ng Education, 22(3), 264-273. http://dx.doi.org/10.5977/jkasne.2016.22.3.264 

  13. Han, J. H. (2004). The effects of leader's emoti onal intelligence on subordinate's attitude a nd leader's task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14. Hur, K.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 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7(6), 380-408. 

  15. Hwang, E. J. (2011). Educational needs for con sideration in developing curriculum for staff in charge of public health services in public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3), 393-402.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393 

  16. Jeon, E. J., & Lee, G. J. (2017). A study on ch oice motives and satisfaction about nurses who changed jobs to public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6(1), 55-64. http://dx.doi.org/10.5807/kjohn.2017.26.1.55 

  17. Jeoung, Y. O., Sok, S. H., & Bak, Y. I. (2015). The shift change dialog pattern between nur ses. Language Research Institute, 69, 163-187. 

  18. Johnson, M., Jefferies, D., & Nicholls, D. (2012). Developing a minimum data set for elect ronic nursing handover.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3), 331-343.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1.03891.x 

  19. Kang, H. S., & Lee, J. H. (2010). Effectiveness of Satir group program for battered women in shelter.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6(3), 17-33. 

  20. Kang, H., & Kim, Y. (2016). Influence of the e 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 ence and stress coping on turnover intention in psychiatric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 (1), 141-151.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141 

  21. Kim, K., & Cho, Y. (2013). The relationships b etween emotional labour and depressive sym ptoms among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8), 3794-3803. http://dx.doi.org/10.5762/KAIS.2013.14.8.3794 

  22. Kim, S. & Yang, J. (2016). The effects of motiv ational interviewing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fficacy of home visiting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2), 274-287. http://dx.doi.org/10.5932/JKPHN.2016.30.2.274 

  23. Lee, S., & Kim, S. (2012). The degree of percei ved stress, depression and self 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3), 453-464.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3.453 

  24. Lewis, G. M., Neville, C., & Ashkanasy, N. M. (2017). Emotional intelligence and affective events in nurse education: A narrativ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53, 34-40. http://dx.doi.org/10.1016/j.nedt.2017.04.001 

  25. Lim, S. J., & Park, E. Y. (2013). Changes i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pattern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fter 'Satir communication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151-162.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151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March 28). The national status of public health services. Retrieved August 11, 2017, from http: //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1&CONT_SEQ338938&page1 

  27. Noh, J. H., & Na, Y. K. (2015). Effects of viole nce experienc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clinical nurses'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3), 153-161. http://dx.doi.org/10.5807/kjohn.2015.24.3.153 

  28. Rubin, R. B. (1990). Communication competence. In G. M. Phillips & J. T. Wood (Eds.), Speech communication: Essays to commemorate the 75th anniversary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pp. 94-129).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9. Satir, V., John, B., Jane, G., & Marina, G. (1991). The Satir model: Family therapy and beyond. Palo Alto, California: Science and Behavior Books. 

  30. Schwind, J. K., McCay, E., Metersky, K., & Martin, J. (2016).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advanced therapeutic communication course: An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5(10), 592-597.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60914-11 

  31. Seo, M., & Hong, S. (2015).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to be concerned in the job stress and the emotional expression of psychiatricward nurse. The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15(1), 93-115. http://dx.doi.org/10.18253/kart.2015.15.1.06 

  32. Shin, A. Y., & Chae, J. (2011).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patients with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1(1), 41-52. 

  33. Son, E. M., & Lee, J. B. (2008). Effect of indoor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 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1(1), 23-35. 

  34. Wretman, C. J. (2016). Saving satir: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the change process model. Social Work, 61(1), 61-68. http://dx.doi.org/10.1093/sw/swv05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