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퇴원 후 미숙아의 수유 유형과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ethod of Feeding Preterm Infants after Hospital Discharge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4 no.2, 2018년, pp.128 - 137  

한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  채선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method of feeding among preterm infants at 4 weeks after discharg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22 mother-infant dyads born before a gestational age of 37 weeks. The feeding method and general med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s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미숙아의 경우 여러 가지 경구약이나 보충제 투여와 관련하여 완전 모유수유의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크고, 혼합수유는 모유와 분유의 비율에 따라 모유수유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 4주 후의 수유 유형을 모유수유, 혼합수유, 분유수유로 나누어 확인하고 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퇴원 후 미숙아와 어머니에게 도움이 되는 모유수유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여러 중재를 통해 아기와 어머니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본 연구는 미숙아 퇴원 후 수유 유형과 그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미숙아 어머니와 영아가 경험하는 모유수유 어려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나아가 퇴원 후 모유수유 적응을 증진하기 위한 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직접 모유수유로의 적응이 이루어지는 퇴원 4주 시기의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미숙아의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 4주 후 수유 유형과 그에 미치는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 4주 후 미숙아 어머니들과 그 자녀의 수유 유형을 알아보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에서 권고하는 모유수유의 기간은 언제인가? 1. 연구의 필요성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생후 6개월까지의 영아의 건강에 모유수유가 최상의 방법이며 이유식을 시작한이후에도 최소한 24개월까지는 모유수유를 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1]. 모유수유는 어머니와 자녀 모두에게 의학적, 발달적 이점을 가지고 있고, 최고의 식품이라고 불리는 모유는 미숙아에게 더 큰 가치가 있다.
미숙아가 만상아에 비해 퇴원 후 모유수유를 지속하는 기간이 짧은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미숙아는 퇴원 후 모유수유를 지속하는 기간이 만삭아에 비해 짧은데[9], 그 이유는 출생 이후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어머니와 분리되고[3], 빠는 힘이 약하여 수유 기술의 발달이 느리며[9],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 후 어머니의 수유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지지 체계가 부족할 수 있고, 모유수유에 대한 개인의 지식이나 능력의 차이에 의해 모유수유를 중단하게 되기 때문이다[10].또한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 낮은 교육수준, 어머니의 흡연, 어머니의 직장 복귀, 노리개 젖꼭지의 사용, 모유량이 적다고 인식하는 경우, 어머니의 피로 등이 퇴원 후 모유수유 중단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10].
미숙아에게 모유수유는 어떤 효과가 있었는가? 모유수유는 어머니와 자녀 모두에게 의학적, 발달적 이점을 가지고 있고, 최고의 식품이라고 불리는 모유는 미숙아에게 더 큰 가치가 있다.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기간 동안 모유를 공급받은 미숙아에게서 괴사성 장염[2,3], 패혈증[4]과 미숙아 망막증[5]의 발생이 감소하고, 완전 장관영양으로 더 빨리 진행하여 총비경구영양 사용을 줄이며[5], 이로 인해 입원기간을 단축시킨다[6]. 또한 모유수유는 장기적으로 영아의 재입원을 감소시키고 운동 발달과 인지 발달에 도움을 주며[3,6,7], 모성 발달을 촉진시키며[8], 어머니와 영아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장점[3]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World Health Organization. Exclusive breastfeeding for six months best for babies everywher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cited 2017 November 9].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news/statements/2011/breastfeeding_20110115/en/. 

  2. Sisk PM, Lovelady CA, Dillard RG, Gruber KJ, O'shea TM. Early human milk feeding i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Journal of Perinatology. 2007;27(7):428-433. https://doi.org/10.1038/sj.jp.7211758 

  3. Black A. Breastfeeding the premature infant and nursing implications. Advances in Neonatal Care. 2012;12(1):10-14. https://doi.org/10.1097/ANC.0b013e3182425ad6 

  4. Rodriguez NA, Miracle DJ, Meier PP. Sharing the science on human milk feedings with mothers of very-low-birth-weight infant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5;34(1):109-119. https://doi.org/10.1177/0884217504272807 

  5. Maayan-Metzger A, Avivi S, Schushan-Eisen I, Kuint J. Human milk versus formula feeding among preterm infants: Short-term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Perinatology. 2012;29(2):121-126. https://doi.org/10.1055/s-0031-1295652 

  6. Vohr BR, Poindexter BB, Dusick AM, McKinley LT, Higgins RD, Langer JC, et al. Persistent beneficial effects of breast milk ingested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n outcomes of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at 30 months of age. Pediatrics. 2007;120(4):e953-959. https://doi.org/10.1542/peds.2006-3227 

  7. Isaacs EB, Fischl BR, Quinn BT, Chong WK, Gadian DG, Lucas A. Impact of breast milk on intelligence quotient, brain size, and white matter development. Pediatric Research. 2010;67(4):357-362. https://doi.org/10.1203/PDR.0b013e3181d026da 

  8. Ronan CB. Making STARs: Reaching successful transition to atbreast feeds in the premature infant. Journal of Neonatal Nursing. 2013;19(4):206-212. https://doi.org/10.1016/j.jnn.2013.01.004 

  9. Ross ES, Browne JV. Feeding outcomes in preterm infants after discharge from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A systematic review.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13;13(2):87-93. https://doi.org/10.1053/j.nainr.2013.04.003 

  10. Briere CE, McGrath J, Cong X, Cusson R. An integrative review of factors that influence breastfeeding duration for premature infants after NICU hospitalizat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14;43(3):272-281. https://doi.org/10.1111/1552-6909.12297 

  11. Morag I, Harel T, Leibovitch L, Simchen MJ, Maayan-Metzger A, Strauss T. Factors associated with breast milk feeding of very preterm infants from birth to 6 months corrected age. Breastfeeding Medicine. 2016;11(3):138-143. https://doi.org/10.1089/bfm.2015.0161 

  12. Choi EJ. Breastfeeding-relate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Health-welfare Policy Forum; 2017;249:72-81. 

  13. Tuthill EL, McGrath JM, Graber M, Cusson RM, Young SL. Breastfeeding self-efficacy: A critical review of available instruments. Journal of Human Lactation. 2016;32(1):35-45. https://doi.org/10.1177/0890334415599533 

  14. Srinivas GL, Benson M, Worley S, Schulte E. A clinic-based breastfeeding peer counselor intervention in an urban, low-income population: Interaction with breastfeeding attitude. Journal of Human Lactation. 2015;31(1):120-128. https://doi.org/10.1177/0890334414548860 

  15. Jedrychowski W, Perera F, Jankowski J, Butscher M, Mroz E, Flak E, et al. Effect of exclusive breastfeeding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gnitive function in the Krakow prospective birth cohort study.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2012;171(1):151-158. https://doi.org/10.1007/s00431-011-1507-5 

  16. Wheeler BJ, Dennis CL. Psychometric testing of the modified breastfeeding self-efficacy scale (short form) among mothers of ill or preterm infant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13;42(1):70-80. https://doi.org/10.1111/j.1552-6909.2012.01431.x 

  17. Jang SH. The effect of a breastfeeding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among primiparous mothers of premature babies [master's thesis].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4. p. 1-145. 

  18. De la Mora A, Russell DW, Dungy CI, Losch M, Dusdieker L. The Iowa infant feeding attitude scale: Analysi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999;29(11): 2362-2380. https://doi.org/10.1111/j.1559-1816.1999.tb00115.x 

  19. Ra JS, Chae SM.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and nursing practice of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2):76-84. https://doi.org/10.4094/chnr.2013.19.2.76 

  20. World Health Organization. Indicators for assessing breast-feeding practice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1 [cited 2016 December 17].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62134/1/WHO_CDD_SER_91.14.pdf. 

  21. Ra JS, Chae SM. Direct breastfeeding self-efficacy of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5;19(1):23-36. 

  22. Pineda R. Direct breast-feeding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s it important? Journal of Perinatology. 2011;31(8):540-545. https://doi.org/10.1038/jp.2010.205 

  23. Purdy IB, Singh N, Le C, Bell C, Whiteside C, Collins M. Biophysiologic and social stress relationships with breast milk feeding preand post-discharge from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12;41(3):347-357. https://doi.org/10.1111/j.1552-6909.2012.01368.x 

  24. Perrella SL, Williams J, Nathan EA, Fenwick J, Hartmann PE, Geddes DT. Influences on breastfeeding outcomes for healthy term and preterm/sick infants. Breastfeeding Medicine. 2012;7(4):255-261. https://doi.org/10.1089/bfm.2011.0118 

  25. Ross ES, Browne JV. Feeding outcomes in preterm infants after discharge from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A systematic review.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13;13(2):87-93. https://doi.org/10.1053/j.nainr.2013.04.003 

  26. Prior E, Santhakumaran S, Gale C, Philipps LH, Modi N, Hyde MJ. Breastfeeding after cesarean delive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world literature.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12;95(5):1113-1135. https://doi.org/10.3945/ajcn.111.030254 

  27. Lee SY, Jang GJ.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exclusive breastfeeding in late preterm infants at 12 week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6;22(2):79-86. https://doi.org/10.4094/chnr.2016.22.2.79 

  28. Boucher C, Brazal P, Graham-Certosini C, Carnaghan-Sherrard K, Feeley N. Mothers' breastfeeding experiences in the NICU. Neonatal Network. 2011;30(1):21-28. https://doi.org/10.1891/0730-0832.30.1.21 

  29. Maastrup R, Hansen BM, Kronborg H, Bojesen SN, Hallum K, Frandsen A,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exclusive breastfeeding of preterm infants. results from a prospective national cohort study. PLoS One. 2014;9(2):e89077.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890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