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종합병원을 내원한 외래환자가 지각한 의료 서비스의 질이 병원 이미지, 만족도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대전에 소재한 S종합병원 외래 환자에게 2017년 9월 1일부터 20일까지 3주간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총 176부를 분석 결과, 첫째, 의료 서비스의 질은 재이용 의도, 만족도, 병원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료 서비스의 질과 재이용 의도에 대한 만족도의 매개작용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병원 이미지는 유의한 매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병원에 대한 만족도와 이미지는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을 내원한 실제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의료 서비스의 질이 병원 이미지와 만족도 그리고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기관에 대한 만족보다 병원 이미지가 의료의 질과 재이용 의도의 관계에서 실질적으로 매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실증함으로써 병원의 마케팅 활동에 있어 일반적인 만족이상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medical service quality by outpatient on hospital image,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in a general hospital. A total of 176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outpatients who presented to a S general hospital in Daej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dical service qua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use intention, satisfaction, and hospital imag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ervice quality and re-use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hospital image on the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Third, satisfaction and hospital image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use intention. Consequently, this study verified the influence of perceived medical service quality by outpatient on hospital image,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in a general hospital. Further, considering that hospital image, rather than satisfa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edical service quality and re-use intention, it suggests that much more general satisfaction is required in the marketing activities of hospitals.
본 연구는 종합병원을 내원한 외래환자가 지각한 의료 서비스의 질이 병원 이미지, 만족도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대전에 소재한 S종합병원 외래 환자에게 2017년 9월 1일부터 20일까지 3주간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총 176부를 분석 결과, 첫째, 의료 서비스의 질은 재이용 의도, 만족도, 병원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료 서비스의 질과 재이용 의도에 대한 만족도의 매개작용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병원 이미지는 유의한 매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병원은 병원 간의심화된 경쟁, 환자 이탈, 의료진확보의 문제 등으로 심각한 경영난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의료기관의 대형화 추세로 대형병원의 시장지배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 반면, 중소병원은 병원 간의심화된 경쟁, 환자 이탈, 의료진확보의 문제 등으로 심각한 경영난이 나타나고 있다. 안정된 의료복지와 기술발달에 따라 소비자들은 다양한 의료 서비스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7.
조철호, 강병서, "병원 웹사이트 서비스품질이 서비스 가치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제7권, 제4호, pp.83-108, 2006.
8.
송균석, "의료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상품학연구, 제29권, pp.165-191, 2003.
9.
설상철, 김수배, "의료 서비스 품질, 재이용 의도, 구전효과 사이의 인과관계 모형 연구-종합전문 병원과 전문병원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45권, pp.1485-1512, 2004.
10.
김양균, 정기택, 안영송, 이상은, 장영화, 한보라, "치과 병.의원의 의료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회지, 제8권, 제3호, pp.49-71, 2003.
11.
J. E. Ware, A. Davis-Avery, and A. L. Stewart, "The measurement and meaning of patient satisfaction," Health Medical Service Review, Vol.1, No.1, pp.1-15, 1978.
12.
P. Kotler and K. L. Keller, Marketing management, 12th ed.,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2006.
13.
조철호, "군 병원의 의료 서비스품질이 외래환자의 진료 가치, 환자 만족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0권, 제4호, pp.173-200, 2009.
14.
Y. Dursun and M. Cerci, "Perceived Quality : A Study on Patien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Factors," Erciyes Universitesi Iktisadi ve Idari Bilimler Fakiltesi Dergisi, Vol.23, pp.1-16, 2004.
15.
R. S. Lytle and M. P. Mokva, "Evaluating health care quality: The moderating role of outcomes," Journal of Health Care Marketing, Vol.12, pp.460-469, 1992.
16.
조철호, "한방병원 의료 서비스 품질이 관계 품질, 고객 만족,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병원경영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22-124, 2010.
17.
C. A. Lawrence, K. R. Evans, and Deborah Cowles, "Relationship Quality in Services Selling: An Interpersonal Influence Perspective," Journal of Marketing, Vol.54(July), pp.68-81, 1990.
18.
L. Kelly, M. Mark, S. Michael, J. Gary, A. P. Erol, K. B. Justin, O. Katerine, W. Bert, and C. David, "Accounting for Variation in Technical Quality and Patient Satisfaction: The Contribution of Patient, Provider, Team, and Medical Center," Medical Care, Vol.48, No.8, pp.676-682, 2010.
19.
V. Zeithaml and M. Bitner, Services Marketing, The MacGraw-Hill Book Co., 1997.
20.
양종현, 송태균, 장동민, "의료 서비스 품질이 암환자의 고객 만족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12호, pp.269- 280, 2012.
21.
최귀선, 의료 서비스의 질이 환자 만족도, 서비스 가치, 재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22.
이명신, 치과 의료 서비스의 질이 환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환자 만족도와 고객 재이용, 구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3.
강천국, "종합병원 입원환자가 인지하는 의료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623-624, 2017.
24.
김혜란, 문형은, 유종식, 한희섭, "병원 모바일 웹 사이트 품질이 의료서비스 기대, 이미지,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텔경역학연구, 제 26권, 제7호, pp.179-182, 2017.
25.
오새신, 신재익, 정기한, "의료 서비스 품질, 이미지, 관계 품질, 재이용 의도 간의 영향관계," 한국창업학회지, 제6권, 제3호, pp.51-52, 2011.
26.
정명숙, 병원 이미지가 병원 재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7.
조철호, 이은지, "의료 서비스 품질과 이미지 구축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p.416, 2015.
29.
오재영, 김은혜, 이설주, "병원 내 부대시설 서비스가 병원 이미지 및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비스경영학회, 제8권, 제3호, pp.249- 276, 2007.
30.
박종원, 윤성준, 최동춘, "의료 서비스 품질과 이미지가 고객 만족과 재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비스경영학회지, 제4권, 제1호, pp.57-81, 2003.
31.
A. Parasuraman, A. V. Zeithaml, and L. Berry, "SERVQUAL: A multy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Vol.64(spring), pp.12-40, 1998.
32.
손인순, 의료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가치, 고객 만족 및 충성도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33.
R. M. Worcester, "Managing the image of your bank: the glue that blinds," International Journal of Bank Marketing, Vol.15, No.5, pp.146-152, 1997.
34.
U. Yavas and D. Schemwel, "Bank image exposition and illustration of correspondence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Bank Marketing, Vol.14, No.1, pp.192-200, 1996.
35.
A. Majumdar, "A model for customer loyalty for retail stores insides shopping malls: an indian perspectiv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5(Dec), pp.47-64, 2005.
외래환자가 지각한 의료 서비스의 질이 병원 이미지, 만족도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4
, 2018년, pp.516 - 529
조윤희
(공주대학교 대학원 )
;
박연숙
( 공주대학교 간호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