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교육이 위절제수술을 시행한 위암환자의 식습관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the Eating Habits and Quality of Life of Gastric Cancer Outpatients Undergoing Gastrectom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3 no.2, 2018년, pp.162 - 173  

정윤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주민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the nutritional status, including eating habits and quality of life in gastric cancer patients undergoing a gastrectomy. Methods: Thirty one out-gastric resection patients at C University Hospital in Gwangju, Korea were enroll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부분의 연구는 지속적인 영양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으며, 퇴원 후 위암수술을 시행한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13,26,33,34]. 따라서 본 연구는 위암으로 위절제 수술을 받았던 외래 진료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영양교육 전후의 식습관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양교육 활동의 중요성을 각인시키고 위암환자의 실생활에 도움을 주어, 식습관 개선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켜 위절제 수술을 받은 위암환자의 건강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영양교육이 위절제 수술을 받은 위암환자의 실생활에 도움을 주어, 식습관 개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켜 건강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규명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모두 40대 이후로 조사되었다.
  • 본 연구는 위절제수술을 받은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식습관, 식품 섭취빈도, 위절제술 관련 식습관, 삶의 질에서 영양교육이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C대학교병원 외과 외래에 내원한 환자 31명(남자 21명, 여자 10명)을 비교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위암으로 위절제 수술을 받았던 외래 진료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영양교육 전후의 식습관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양교육 활동의 중요성을 각인시키고 위암환자의 실생활에 도움을 주어, 식습관 개선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켜 위절제 수술을 받은 위암환자의 건강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덤핑증후군이란? 주로 나타나는 임상학적 증상으로는 이른 만복감이나 식후 덤핑증후군, 역류증상, 식욕부진 등이 있고, 이런 증상이 계속되는 동안 영양불량에 대한 문제는 환자의 삶의 질과도 연관되어질 수 있다[7]. 덤핑증후군이란 수술 후 정상적인 위의 기능이 상실 되거나 저하되면서 충분히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이 소장으로 유입되어 나타나는 복합적인 증상 및 증후를 말한다[8]. 위암으로 인해 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는 1차적으로 설사, 오심과 구토 및 조기포만감 등이 나타나고, 이들 증상은 다시 지방흡수장애, 덤핑증후군 및 위저류로 구분되며, 결국 체중감소가 초래된다[9].
위절제 수술 후 1년 이상 경과된 환자들의 경우, 식사횟수가 4회 이상인 이유는? Kim 등 [26] 은 위절제 수술 후 1년 이상 경과된 환자들의 경우, 식사횟수가 4회 이상인 것으로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와 동일하였 다. 이는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한 번에 많은 양을 섭취하 기가 어렵기 때문에, 조금씩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사료된 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식사소요시간은 사전 2.
한국인에게 위암 발생이 높은 이유는? 그 중 위암은 2015년 남녀 전체를 대상으로 가장 많이 발생되는 암으로, 연령군 35-64세에서 3위, 65세 이상 에서 2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2]. 한국인에게 위암 발생이 높은 이유로는 식사 중에 뜨겁고,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을 많이 섭취하고, 김치 등 소금에 절인 식품, 고추장및 된장 같은 염장 저장식품이 주요 반찬이며, 저지방, 고탄 수화물의 식단이 주를 이루어 위 점막의 손상을 초래하는 것이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3]. 또한 일정하지 않은 식사량, 불규칙적인 식사시간, 잦은 외식, 가공식품의 빈번한 이용 등이 위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 전반적인 식습관 불량이 위암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press release in 2016 [Internet].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7 Sep 22].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4 [Internet].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7 [cited 2017 Jun 9]. Available from: https://www.cancer.go.kr/. 

  3. Jeong JS. A literature review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omach cancer and dietary factors. Korean J Epidemiol 1986; 8(2): 233-248. 

  4. Youm PY, Kim SH. A case-control study on dietary and other factors related to stomach cancer incidence. J Nutr Health 1998; 31(1): 62-71. 

  5. Bae JM. Nutritional consequences and management after gastrectomy. Hanyang Med Rev 2011; 31(4): 254-260. 

  6. Kim YJ, Yoo HJ, Kim JC, Han OS. Preoperative quality of life in rectal cancer patients. Korean J Clin Psychol 2003; 22(4): 743-762. 

  7. Haverkort EB, Binnekade JM, Busch ORC, Van Berge Henegouwen MI, De Haan RJ, Gouma DJ. Presence and persistence of nutrition-related symptoms during the first year following esophagectomy with gastric tube reconstruction in clinically disease-free patients. World J Surg 2010; 34(12): 2844-2852. 

  8. Tack J, Arts J, Caenepeel P, Wulf DD, Bisschops R.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ostoperative dumping syndrome.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2009; 6(10): 583-590. 

  9. Rogers C. Postgastrectomy nutrition. Nutr Clin Pract 2011; 26(2): 126-136. 

  10. Olbe L, Lundell L. Intestinal function after total gastrectomy and possible consequences of gastric replacement. World J Surg 1987; 11(6): 713-719. 

  11. Vanamee P. Nutrition after gastric resection. J Am Med Assoc 1960; 172(18): 2072-2076. 

  12. Slone DS. Nutritional support of the critically ill and injured patient. Critl Care Clin 2004; 20(1): 135-157. 

  13. Kim TH, Kim WG, Cho YY, Lee YH, Kim JP. A study of nutritional assessment and dietary intake after gastrectomy of gastric cancer patients. Korean J Nutr 1994; 27(8): 844-855. 

  14. Cho SH, Kim BS, Kim YH, Lee CH, Yook JH, Oh ST et al. Clinical analysis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gastric tumors. J Korean Surg Soc 2001; 61(5): 498-503. 

  15. Jeong MJ, Kim CY, Kim SB.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fter gastrectomy of gastric cancer patients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6): 785-792. 

  16. Kim DW, Kim YJ, Kim JM, Cho KS, Kim HS, Lee MS et al. Long term impact of laparoscopic assisted distal gastrectomy on quality of life. J Korea Gastric Cancer Assoc 2007; 7(4): 213-218. 

  17. Adam JF. The clinical metabolic consequences of total gastrectomy. Scandinavian J Gastroenterol 1967; 2(2): 137-149. 

  18. Ahn SM, Yoon KY, Kim ES, Kang WG, Ryu DW, Kim TH et al. Initial nutritional status of stomach cancer patients. J Korean Diet Assoc 2002; 8(3): 217-226. 

  19. Lee HS, Park JH, Choi H, Kim JH, Min LK, Lee SI et al. Assessment of nutrition status and quality of life after curative resection in patients with upper gastric cancer: comparison of total gastrectomy and proximal gastrectomy. J Korea Gastric Cancer Assoc 2005; 5(3): 152-157. 

  20. Guren MG, Dueland S, Skovlund E, Fossa SD, Poulsen JP, Tveit KM. Quality of life during radiotherapy for rectal cancer. European J Cancer 2003; 39(5): 587-594. 

  21. Maeda T, Onuoha FN, Munakata T. The effect of postoperative symptom experience, and personality and psychosocial factors on depression among postgastrectomy patients in Japan. Gastroenterol Nurs 2006; 29(6): 437-444. 

  22. Suh YO.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 Korean Acad Nurs 2007; 37(4): 459-466. 

  23. Lim HS, Cho GS, Park YH, Kim SK.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and nutritional status in gastric cancer patients undergoing gastrectomies. Clin Nutr Res 2015; 4(3): 153-159. 

  24. Min JA, Yoon SJ, Lee CU, Chae JH, Lee C, Song KY et al. Psychological resilience contributes to low emotional distress in cancer patients. Support Care Cancer 2013; 21(9): 2469-2476. 

  25. Wittmann M, Vollmer T, Schweiger C, Hiddemann W. The rela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time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patients with hematological malignancies. Palliat Support Care 2006; 4(4): 357-363. 

  26. Kim JY, Park MS, Lee YH, Jo SJ, Yang HK. A study of dietary intakes and nutritional status after total gastrectomy of early gastric cancer patients. J Korean Diet Assoc 2001; 7(1): 72-79. 

  27. Persson CR, Johansson BBK, Sjoden P, Glimelius BLG. A randomized study of nutritional support in patients with colorectal and gastric cancer. Nutr Cancer 2002; 42(1): 48-58. 

  28. Marin Caro MM, Laviano A, Pichard C. Nutrition intervention and quality of life in adult oncology patients. Clin Nutr 2007; 26(3): 289-301. 

  29. Kim BK, Choi JY. 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nutritional status after radical gastr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sian Oncol Nurs 2015; 15(4): 219-227. 

  30. Snetselaar LG. Nutrition counseling skills. Clin Nutr Insight 1990; 16(7): 6. 

  31. Holli BB. Using behavior modification in nutrition counseling. J Am Diet Assoc 1988; 88(12): 1530-1536. 

  32. Kim MO, Kim UK, Cho EY. The effects of multimedia diet education on nutritional status in stomach neoplasms patient with gastrectomy. J Korean Clin Nurs Res 2008; 14(1): 45-59. 

  33. Kim JB, Seo KS, Cho MH. Quality of life after total gastrectomy in the gastric cancer patients. J Korean Cancer Assoc 1993; 25(2): 159-165. 

  34. Yu HJ, Yang HK, Kim JP.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after subtotal gastrectomy according to reconstruction methods. Korea Cancer Assoc 1996; 28(4): 710-718. 

  35. Park YH.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life and nutrition counseling in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gastrectomy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2009. 

  36. Kim HS. The effects of a patient-participated nutritional education on nutritional and functional status among patients with gastrectomy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1. 

  37. Seo BY, Jung HY, Yoo WS. Relation between body weight changes and prognosi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Korean J Gastroenterol 2000; 36(5): 607-613. 

  38. Bae JM, Park JW, Kim JP. Nutritional assessment and intestinal absorption studies on total gastrectomized gastric cancer patients. J Korean Surg Soc 1996; 50(4): 475-487. 

  39. Hong KY, Choi YJ, Yan WQ, Lim HS, Chyun JH.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etary life of cancer patients during treatment by nutrition counseling.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1): 93-101. 

  40. Kim TY. Lifestyle modification for cancer prevention. Korean J Med 2003; 65(1): 136-141. 

  41. Bae JI, Song YM, Yoo JH. A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on the risk factors of stomach cancer. Korean J Fam Med 2001; 22(4): 539-547. 

  42. Yu EJ.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for gastrectomy of gastric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8. 

  43. Lee EO, Eom AY, Song RY, Chae YR, Paul L.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neoplasms. J Korea Acad Nurs 2008; 38(5): 649-6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