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지적공부(地籍公簿)의 작성과 의미
A Study on the Creation and the Meaning of Cadastral Record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7 no.2, 2018년, pp.29 - 38  

송혜영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cess of changes concerning the cadastral records that consist of the cadastre, the cadastral map and various registers of lan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adastre and cadastral map wer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m and became the basis of cadastral record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토지의 등록단위인 필지(筆地)와 필지별로 지적공부에 기재되었던 면적의 계량단위 평(坪)이 한말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도입되어 변화되는 과정을 지적공부(地籍公簿)의 작성이라는 관점에서 그 의미3. 공시를 위한 지적공부의 작성를 고찰한 것이다.
  • 본 연구는 사료 속에 묻혀있던 근대 개항 이후 일제 강점기까지 지적공부의 작성 과정을 드러냄으로써 토지조사사업의 결과로 나타난 토지대장과 지적도의 실상을 이해하고, 동시에 필지와 평과 같은 기재된 어휘나 단위들의 본질을 파악하여 건축사적 의미를 되짚는 데에 그 의의를 두었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양안이 획기적으로 변화되는 계기는 근대적인 개항으로 인한 급속한 토지의 상품화에서 기인했다. 근대 이전의 토지는 곡식의 수확량에 따라 그 가치가 결정되었지만, 서구에서 유입된 토지상품화 추세는 토지를 바라보는 시각을 완전히 변화시켜 놓았다.
  • 이러한 견지에서 본고에서는 한말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지적공부의 변천을 고찰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며, 또한 토지대장과 지적도에 필지와 평이 도입되는 과정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오늘날 지적공부가 지니는 의미를 재고하려 한다.
  • 우선 지세를 납부해야 할 소유자를 명확하게 구분해야 했고, 토지의 등급을 정해 지세율을 고정시켜 풍흉(豊凶)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수세할 수 있는 수입을 확보해야 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토지소유권의 내용을 증명하는 토지등기부와 토지의 가치를 적시하여 고정적인지 세율을 밝혀주는 토지대장이 토지 조사사업을 통해 생성되었던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도입된 필지와 단위로서 평을 중심으로 지적공부의 작성과 배경 그리고 의미를 규명하고, 건축사적 입장에서 그것들이 어떻게 존속되어 유지되었는가를 밝힘으로써 그 본질을 파악하려고 한다. 이는 일제강점기 식민지적 지적제도의 정립 과정에서 도입된 필지와 평이 지녔던 의미와 건축 활동과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시도이기도 하다.
  • 이와 같이 토지조사사업의 실시는 정확한 토지대장의 작성을 통해 등기 및 소유권을 명확히 하여 궁극적으로 안정적이고 고정적인 식민지 통치자금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였다. 토지대장의 제작이 우선시 되었고 이에 비해 지적도의 작성은 부수적인 측면도 적지 않았다.
  • 우리나라에 필지의 개념이 도입된 계기는 <임시토지조사국측량규정>의 내용 중에서 지적도(地籍圖)의 작성 양식에서 비롯되었다. 지적도의 제작에는 토지대장의 작성에 있어서 도면과의 비교를 통해 토지의 정확한 위치와 토지간의 경계를 명확하게 파악하려는 목적을 기저에 두었다. 특히 부실한 측량에서 발생하는 토지불부합지(土地不符合 地, 즉 등록사항정정대상 토지)는 소유자간의 다툼의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적재조사사업(Renovation Of Cadastre)은 어떤 사업인가? 최근 국책사업의 하나로 지적재조사사업(Renovation Of Cadastre)이 2012년 시작해서 2030년 완료를 목표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제강점기였던 1912년에 만들어진 종이지적을 국제표준의 디지털지적으로 전환하고, 토지의 실제 점유현황과 일치하지 않는 지적공부를 바로잡는 사업으로 100여 년 전 일본인의 손에서 이제 우리의 손으로 전국 3,760만 필지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식민지적 토지제도의 정립 과정에서 생성된 지적공부 그리고 양안의 자호를 대신하여 도입된 필지, 불순한 의도가 내포되어 도입된 면적단위 평에 대한 본질을 규명하는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현행 법 체계에서 지적공부란 무엇인가? 현행 법 체계에서 ‘지적공부’는 토지대장, 지적도, 임야대장, 임야도, 공유지연명부, 대지권등록부, 경계점좌 표등록부 등 지적측량을 통하여 조사된 토지의 표시와 해당 토지의 소유자 등을 기록한 대장 및 도면(정보처 리시스템을 통하여 기록·저장된 것을 포함)을1)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들 중 토지대장과 지적도는 일제강점기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최초로 작성되었으며 가장 기본적인 근거로 중시되었다
토지조사사업의 실시는 어디서 비롯되었는가? 토지조사사업의 실시는 1909년 <도량형법>의 개정 직후인 융희 4년(1910) 3월 <칙령 제23호 토지조사국관제(土地調査局官制)>의 공포로 비롯되었다. 이 칙령에 따라 탁지부(度支部) 소속의 토지조사국이 전국의 토지 조사 및 측량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송혜영, '韓末 度量衡制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史學科석사학위논문, 2011 

  2. 송혜영 . 서치상, '면적단위 坪에 대한 小考',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4 

  3. 송혜영 . 서치상, '토지의 등록단위 筆地에 대한 小考',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6 

  4. 閔種默, '日本各國條約(奎1835)', 1881 

  5. 相澤仁助, '韓國二大港實勢', 中村晟文堂, 1905 

  6. 小泉袈裟勝, '度量衡の歷史', コロナ社, 1960 

  7. 小泉袈裟勝編, '單位の歷史事典', 柏書房, 1998 

  8. 조선총독부관보 활용시스템, gb.nl.go.kr 

  9. 서울대규장각한국학연구원, e-kyujanggak.snu.ac.kr 

  10.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koreanhistory.or.kr 

  11.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1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13. 두산백과, doopedia.co.kr 

  14. 위키피디아 일본어판, ja.wikipedia.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