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전기 맞배직교형 건축의 유형과 전파
A Study on the Type and Spread of Framed Structure of Gable Roof Meeting at Right Ang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7 no.2, 2018년, pp.39 - 50  

김버들 (서울시립대학교) ,  이종서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ypes and spread of framed structures of gable roofs meeting at right angle showed in old architecture and documentary paintings of houses, which were well lik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amed structure of gab...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산각과 우산각의 차이는 무엇에 근거하는가? ‘뜰집’으로 불리는 경상북도 지역의 ‘口’자형 주택들은 지붕 모양에 따라 서산각과 우산각으로 구분된다. 서산각과 우산각의 차이는 직교부 외부에 추녀를 사용했는지, 직교부 내부에 회첨이 형성되는지 여부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현존 주택들을 분석하면 서산각이나 우산각으로 포괄하기 힘든 사례들이 다수 확인된다.
‘뜰집’으로 불리는 경상북도 지역의 ‘口’자형 주택들은 지붕 모양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뜰집’으로 불리는 경상북도 지역의 ‘口’자형 주택들은 지붕 모양에 따라 서산각과 우산각으로 구분된다. 서산각과 우산각의 차이는 직교부 외부에 추녀를 사용했는지, 직교부 내부에 회첨이 형성되는지 여부에 근거하고 있다.
한진우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꺾음부와 꺾음부 부재의 용어를 정리하였는데, 어떻게 분류하였는가? 한진우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꺾음부와 꺾음부 부재의 용어를 정리하였다. 꺾음부가 발생하는 부분을 정침과 익사 구조로 나누고 처마선의 연결여부와 각 방향의 가구가 분리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유형을 분류하였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近藤 豊, '韓國建築史圖錄', 東京: 思文閣, 1974 

  2. 강영환, '새로 쓴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2002 

  3. 국립한글박물관, '2015년 소장자료총서 2: 여러 여성들의 이야기, 열녀전', 2015 

  4. 동월 저. 윤호진 옮김, '조선부', 까치, 1995 

  5. 문화재관리국, '동궐국', 1991 

  6. 문화재관리국, '중요민속자료지정조사보고서', 1996 

  7. 문화재관리국, '1996년도 문화재수리보고서', 1997 

  8. 문화재청, '향단 실측조사보고서', 1999 

  9. 문화재청, ''98년도 문화재수리보고서(상)', 2001 

  10.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가옥 19: 해남 윤두서 가옥', 2007 

  11. 문화재연구소, '양동 서백당 기록화보고서', 2008 

  12. 문화재청, '가옥과 민속마을 3: 호남.제주지역', 2010 

  13.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가옥 기록화사업보고서 37', 2011 

  14. 문화재청,'상주 양진당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1 

  15. 문화재청, '한국전통가옥기록화보고서', 2014 

  16. 이기봉, '조선의 도시, 귄위와 상징의 공간', 새문사, 2014 

  17. 한울문화재연구원, '종로 청진 12-16지구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I.II.III.IV', 2013 

  18. 한울문화재연구원, '서울 공평구역 1.2.4지구 발굴조사보고서: I.II.III', 2017 

  19. 조성기 등 6인, '한국의 뜰집', 기문당, 2013 

  20. 주남철, '개정판 한국건축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6 

  21. 김버들.이종서, '조선시기 궁궐건축 꺾음부의 구조와 그 변화', 건축역사연구 25권 6호, 2016.12 

  22. 김버들.이종서, '조선전기 당(堂).실(室) 결합 건축의 가구특성 분석: 방형 평면의 맞배직교형 지붕 가구를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26권 2호, 2017.4 

  23. 김화봉.조성기, '안동문화권 '뜰집'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4권 11호, 1998.11 

  24. 김화봉, '조선시대 안동문화권의 '뜰집'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25. 김화봉, '안동문화권 안동권씨 뜰집의 변천과정:安東權氏 僕射公派를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25권 2호, 2016.4 

  26. 김정현.전봉희, '조선시대 주택 꺾음부의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5권, 2009.6. 

  27. 류성룡, '조선전기(15-16세기) 주택건축의 특징과 변화 양상 연구: 엇도리 맞배지붕에서 맞춤도리 팔작지붕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8권, 10호, 2012.10 

  28. 박진기.조재모, '꺾음형 팔작지붕의 합각의장과 조정양상',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2권, 9호, 2009.9 

  29. 박진기.조재모, '조선후기 경북부지방 'ㅁ'자형 꺾음부 온돌방 확장과 단면계획 양상',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3호, 2017.5 

  30. 이종서, '朝鮮前期의 住居用 層樓 建築 傳統', 역사민속학 22호, 2006.6 

  31. 이종서,'고려-조선전기 상류 주택의 防寒설비와 炊事도구',역사민속학 24호, 2007 참고) 

  32. 이종서, '홍성 '노은리 고택'의 건축 시기와 가구(架構)의 원형 고찰', 건축역사연구, 25권 1호, 2016.2 

  33. 이종서, '안동 '임청각(臨淸閣)'의 건축 이력과 원형 가구(架構) 추정: 사랑채와 안채를 중심으로', 건축역사 연구 25권 2호, 2016.4 

  34. 전봉희, '해남 윤씨가의 주택 경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2권 11호, 1996.11 

  35. 한진욱, '조선시대 주택의 꺾음부 지붕구성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