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평화의 관점에서 본 3·1운동의 재인식: 3·1운동과 여성, 평화를 중심으로
New Understanding of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View of World Peace : Focused on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Women's, peace 원문보기

한국과 국제사회 = Korea and Global Affairs, v.2 no.1, 2018년, pp.45 - 68  

심옥주 (부산대학교)

초록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거국적인 민족운동으로 전개된 3 1운동과 여성독립운동을 세계평화의 시각에 대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일본에 의해 국권을 상실했던 시기의 거국적인 민족운동으로 전개된 3.1운동은 세계사적 관점에서 보면, 평화운동의 일환이었다. 특히 3 1운동은 민중운동으로서 계층과 지역, 성별의 구분을 넘어선 독립운동이었으며, 그 시대 독립운동이 지향한 독립과 자유에 대해 평화적 견지에서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첫째, 그 시대가 당면했던 독립의 과제는 시대적 민족적 견지에서의 독립이었으며, 평화운동의 일환이었다. 둘째, 3 1운동에 참여한 여성은 주체의지로 독립운동의 참여자, 실천자로 변화했으며, 독립운동사에서 한 주류로 한국여성독립운동의 맥락을 이어갔다. 셋째, 3 1운동은 국내는 물론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미주 등으로 확산되면서 아시아 약소국이 자유 의지를 발휘하는 데 영향을 주었고, 국내에서는 독립운동의 정신적 저력이 되었다. 이상에서 3 1운동은 세계평화의 관점에서 재인식되어야 하며, 3 1운동과 한국여성독립운동이 평화운동으로 주목받아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focused on viewing the March 1st Movement, a national movement uprisen nationwid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from an angle of worldpeace. The March 1st Movement was held nationwide when our national sovereignty was lost, and it can be def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욱이 3·1운동은 민(民)의 자발적인 저항운동이라는 점과 3·1운동이후 독립운동의 국외 확산으로 한국독립운동이 본격화된 투쟁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평화와 관련된 역사적 대상들을 역사학적 방법에 기초하되 역사학적 평화연구의 시각을 대입하고자 한다. 역사적 과정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과거의 특수한 영역들을 해명하기 때문에 3·1운동의 역사적 사건은 역사학적 평화연구의 대상으로서 인식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 따라서 본고에서는 평화의 관점에서 3·1운동에 접근하여 3·1운동과 여성, 평화의 상관관계와 살펴보고 역사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화란? 동시에 평화는 생존과 직결되어 있는 문제였다. 평화는 평화롭게 살 인간의 권리이며, 인간의 생명보호뿐만 아니라 인간에 대한 존중 그 자체의 의미를 함유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평화의 개념은 억압과 불평등, 차별, 무장충돌, 더 나아가 평화를 위협하는 분쟁과는 대치되는 개념이기도 하다.
요한 갈퉁은 무엇을 적극적 평화로 보았는가? Galtung, 1969)은 ‘평화의 부재로서의 평화’로 평화와 권리의 구체적인 상관관계를 언급하였다. 그는 전쟁을 비롯한 폭력이 부재한 상황을 ‘소극적 평화’, 정치적 탄압이나 경제적 불평등, 사회적 차별, 상과지상주의 등 폭력을 양산하는 구조적 문제와 폭력을 재생산하는 문화적 기제를 극복한 상황을 ‘적극적 평화’ 라고 보았다(J. Galtung, 1994).
1919년 3·1운동은 우리 국민이 무엇을 표출한 일인가? 특히 1919년 3·1운동은 전 민족적 항일운동일 뿐 아니라 독립의지를 국내외로 표출한 역사적 사건이었다. 신분과 성별, 지역과 세대, 종교를 뛰어넘어 국민의 평화에 대한 열망이 극하게 표출된 것이었다. 이후 제국주의의 탄압과 억압에 저항하며 자유와 독립, 평화를 갈망했던 주변 아시아 국가의 민족운동에도 큰 자극을 주었다 (Geoffrey Best,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상규. 2010. "동아시아의 전환기 경험과 새로운 세기의 시대정신." 한국학연구 32.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 국가기록원. 2016. 여성독립운동자료집(3.1운동편). 국가기록원 자료집. 

  3. 김삼웅. 2006. "유관순 열사와 서대문형무소." 3.1운동기 여성과 서대문형무소 학술심포지엄자료집, 2006/11/01. 

  4. 김삼웅. 2018. "3.1혁명과 여성독립운동." 세계평화의 길, 한국여성독립운동에서 찾다. 3.1운동과 여성 대토론회 자료집. 2018/01/29 . 

  5. 김 진. 2002. 3.1운동사연구. 서울: 국학자료원, 

  6. 김정아. 2015. "잊혀진 여성독립운동가의 현황과 발굴, 선양방안." 광복 분단 70주년 기념 대토론회 통일의 길, 한국여성독립운동에서 찾다. 2015/2/25. 

  7. 김진봉. 1995. "3.1운동과 민중." 3.1운동 50주년 기념 논문집. 서울: 동아일보사. 

  8. 김호성. 1998. "3.1운동과 한국민족주의."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0. 서울: 한국정치외교사학회. 

  9. 박성수. 1980. 독립운동사연구. 서울: 창작과 비평. 

  10. 박용옥. 2001. 한국근대화의 역사적 맥락. 서울: 지식산업사. 

  11. 박이문. 2000. "역사서술과 사관의 문제." 한국사 시민강좌 27. 서울: 일조각. 

  12. 박 환. 2005. 용인지역 3.1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42. 

  13. 성 주. 2003. "수원지역 3.1운동과 천도교인의 역할." 수원지방 민족운동사의 역사상. 

  14. 신용하. 1991. "한국독립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평가." 한민족독립운동사 10. 

  15. 신용하. 1993. "3.1운동 연구의 단계와 과제." 한민족독립운동사 12. 서울: 국사편찬원회. 

  16. 심옥주. 2015. 한국여성독립운동과 국가보훈. 서울: 도서출판 정언. 

  17. 심옥주. 2013. "한국여성독립운동가의 보훈예우현황에 관한 분석." 한국보훈논총제12권 1호. 서울: 한국보훈학회. 

  18. 심옥주. 2015. "한국여성독립운동가의 지역활동 특성에 관한 고찰." 통일의 길, 한국여성독립운동에서 찾다. 서울: 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 

  19. 安秉直. 1975. 3.1運動. 서울: 한국일보사, 

  20. 와다 하루끼. 1990. "아시아해방사에 3.1독립운동." 기독교사상 34.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1. 尹炳奭. 1975. 3.1運動史. 서울: 正音社. 

  22. 李炳憲. 1959. 3.1運動秘史. 時事 時報出版局, 

  23. 이윤희. 1995. 한국민족주의와 여성운동. 서울: 신서원. 

  24. 이현희. 2003. 한국근대여성개화사. 파주: 한국학술정보. 

  25. 李炫熙. 1979. 3.1運動史論. 서울: 동방도서. 

  26. 장석흥. 1999. "3.1운동과 국내 민족주의 계열의 독립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13집. 서울: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7. 전택부. 1978. "3.1운동의 정신과 그 배경." 기독교 사상 22.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8. 鄭光鉉. 1978. 三.一運動史: 判例를 통해서 본. 서울: 法文社., 

  29. 조지훈. 2010. 한국독립운동사. 서울: 나남. 

  30. 차기벽. 1979. "식민지독립운동으로서의 3.1운동의 비교론적 고찰." 현상과인식 제3권 1호. 

  31. 한규무. 2004. "기독교와 천도교의 3.1운동 협력에 대한 평가와 오늘의 의미." 기독교사상. 

  32. 한국역사연구회.역사문제연구소 편. 1989. 3.1민족해방운동연구. 서울: 청년사. 

  33. 황민호. 2006. " 매일신보에 나타난 3.1운동의 전개와 조선총독부의 대응."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6. 서울: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4. Galtung, Johan, 1994. Human Right in Another Key, Cambridge Polity Press. 

  35. Geoffrey Best, 1999. Peace Conferrences and the Century of Total War; The 1899 Hague Conferrence and What Came After, International Affairs(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944, Vol. 75, No. 3, Ju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