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계열 분석 및 수치실험을 통한 완도의 하계 수온분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Summer Water Temperature in Wando Using Time-Series Analysis and Numerical Experiments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4 no.2, 2018년, pp.188 - 195  

장찬일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공학(협)) ,  정다운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공학(협)) ,  김동선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완도 해역에서 단기적인 수온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Power spectrum 결과에서 기온은 약 24 hr에서 peak를 보였으나 수온과 조위는 약 12 hr 및 24 hr에서 peak가 나타났다. 수온과 조위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coherence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변수는 반일주기에서 0.92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수온의 시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기에는 최강 낙조와 최강 창조 시의 평균 수온차가 $0.3^{\circ}C$인 반면, 소조기에는 평균 수온차가 $0.13^{\circ}C$로 작았다. 대조기의 수온차가 큰 이유는 비교적 수온이 낮은 외해수가 강한 조류에 의해 창조 시 유입되고 낙조 시 빠져나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반적으로 수온은 외해보다 연안에서 높게 나타났다. 외해보다 연안은 수심이 얕기 때문에 일사량에 의해 수온이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ime series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hort-term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Wando. Spectrum analysis showed that air temperature peaks at diurnal period, while water temperature and tide level peak at both semi-diurnal and diurnal periods. Coherence between w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파수 영역에서 수온과 다른 환경인자간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수치실험에 적용하여 수온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완도 해역의 특징은? 한국 남해 서부해역에 위치한 완도 해역은 수심이 50 m이내의 천해역을 이루고 있는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200여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완도 연안역은 비교적 안정된 수질과 영양염류의 분포특성을 보이고 빠른 유속과 조석 혼합으로 인해 저층의 영양염류가 표층으로 충분히 공급된다(Cho et al.
해양생물의 생육 및 산란장으로서 좋은 조건은 무엇인가? 한국 남해 서부해역에 위치한 완도 해역은 수심이 50 m이내의 천해역을 이루고 있는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200여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완도 연안역은 비교적 안정된 수질과 영양염류의 분포특성을 보이고 빠른 유속과 조석 혼합으로 인해 저층의 영양염류가 표층으로 충분히 공급된다(Cho et al., 2009).
수온 변화에 의한 해양생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 고수온기인 8월 초~중순경에는 가두리식 전복양식장의 성패가 대량으로 폐사하기도 한다(NFRDI, 2008). 따라서 수온 변화에 의한 해양생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수온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yne, B. L, D. A. Brown, K. Burns, D. R. Dixon, A. Ivanovici, D. R. Livingstone, D. M. Lowe, M. N. Moore, A. R. D. Stebbing and J. Widdows(1985), The effects of stress and pollution on marine animals (Praeger special studies). Praeger Scientific, Westport, C.T., p. 9. 

  2. Cho, E. S., S. S. Kim, S. Y. Lee, H. D. Jeong and S. Y. Kim(2009),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Western Coastal Water of the South Sea of Korea, J.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5(3), pp. 187-203. 

  3. Cho, H. Y. and B. J. Koo(2008),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ation Analysis in the Inter-Tidal Zone, South of Ganghwado, Korea, J.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ol. 20, No. 3, pp. 310-320. 

  4. Choi, Y. H., Y. J. Ro and H. K. Jun(2002), Variability of Seawater Temperature in the Coastal Water off the Dangjin Power Plant, Asan Bay, Korea, J. Korean Soc. Oceanography, 7(2), pp. 43-50. 

  5. Choo, H. S., G. H. Lee and Y. H. Yoon(1997),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in Kugum Suro Channel, J. Korean Fish, Soc., 30(2), pp. 252-263. 

  6. Emery, W. J. and R. E. Thomson(1998), Data Analysis Methods in Physical Oceanography. Pergamon Press, pp. 468-487. 

  7. KHOA(1995),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Tidal Current Charts(Yeosu to Wando). pp. 7-8. 

  8. Lee, C. I., J. H. Lee and D. S. Kim(2007), Effects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Water Temperature, Salinity in the West Sea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3(1), pp. 29-37. 

  9. Lee, J. C., H. S. Choo, K. H. Lee and K. D. Cho(1995), Tides and Currents of Kamag Bay in July-August 1994, J. Korean Fish. Soc. 28(5), pp. 624-634. 

  10. Min, H. S. and C. H. Kim(2006), Interannual Variability and Long-term Trend of Coastal Sea Surface Temperature in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28(4), pp. 415-423. 

  11. NFRDI(2008),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Standard Manual of Abalone Culture, Retrieved from http://portal.nfrdi.re.kr/upload/farm/farm_03.pdf, p. 93. 

  12. Seong, K. T., J. D. Hwang, I. S. Han, W. J. Go, Y. S. Suh and J. Y. Lee(2010), Characteristic for Long-term Trends of Temperature in the Korean Waters, J.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6(4), pp. 353-360. 

  13. Suh, Y. S., L. H. Jang and H. G. Kim(2003), Relationships between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and Meso-scale Variation of Oceanographic Environment around the Korean Water, J. Kor. Associ. Geographic Information. Stud., 6(3), pp. 139-150. 

  14. Zhang, C. I., J. B. Lee, S. Kim and J. H. Oh(2000), Climatic regime shifts and their impacts on marine ecosystem and fisheries resources in Korean waters. Progress in Oceanography, 47, pp. 171-1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