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6년 한국 수산자원보호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및 해역별 분포
The Seasonal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Fisheries Resources Protection Area of Korea in 2016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4 no.2, 2018년, pp.288 - 293  

유만호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박경우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오현주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구준호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권정노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윤석현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산자원보호해역의 계절 및 해역별 식물플랑크톤 군집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6년 천수만, 통영(I, II), 한산만, 진동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 현존량 및 우점종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대부분의 환경요인(수온, 염분, 영양염류)은 계절적인 변화가 뚜렷한 반면 부유물질은 해역별 차이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평균 $13{\sim}4,062cells{\cdot}ml^{-1}$의 범위로 조사시기 및 해역에 따라 큰 변동범위를 보였다. 특히 천수만은 4월과 10월에 식물플랑크톤 대량증식(>$10^3cells{\cdot}ml^{-1}$)이 발생하였고, 우점종인 Skeletonema spp.(4월)와 Chaetoceros socialis(10월)가 시기적인 차이를 보였다. 조사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은 Pseudo-nitzschia spp., Skeletonema spp., Chaetoceros pseudocriniuts 등의 돌말류와 와편모류인 Scrippsiella trochoidea, Tripos furca 등이 출현하였다. 계절적으로는 돌말류가 동 추계에 우점하는 반면 와편모류가 춘 하계에 우점하는 일반적인 연안특성을 보였다. 단, 지역적으로는 고탁도 해역인 서해에 위치한 천수만이 남해 해역보다 돌말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9 ~ 27 %가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sonal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Fisheries Resources Protection Area of Korea (FRPA). We investigated the phytoplankton composition, abundance and dominant species collected from five different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2016년 수산자원보호구역 중 5곳을 선정하여 계절 및 해역별 식물플랑크톤 군집(현존량, 우점종등)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해역이란? 연안해역은 육상과 해양이 맞닿는 완충수역으로, 관광자원 및 패류, 어류 등 각종 양식 활동뿐만 아니라 수산생물의서식, 산란, 회유지 등의 다양한 인문·경제·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NFRDI, 2008). 또한 전 세계적으로 연안역은 식물플랑크톤 생산력과 다양성이 높은 대표적인 해역이기도 하다(Underwood and Kromkamp, 1999; Brito et al.
연안해역의 기능은? 연안해역은 육상과 해양이 맞닿는 완충수역으로, 관광자원 및 패류, 어류 등 각종 양식 활동뿐만 아니라 수산생물의서식, 산란, 회유지 등의 다양한 인문·경제·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NFRDI, 2008). 또한 전 세계적으로 연안역은 식물플랑크톤 생산력과 다양성이 높은 대표적인 해역이기도 하다(Underwood and Kromkamp, 1999; Brito et al.
수산자원보호해역의 식물플랑크톤들의 지역적 특성은? 수산자원보호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은 돌말류와 와편모류 중심의 일반적인 연안성 군집특성을 보이고, 일부시기 및 해역에서 따라다소 차이가 있었다. 지역적으로, 서해의 천수만은 현존량이평균 1,168 cells·ml-1로 서해(평균 596 cells·ml-1) 평균 현존량보다 약 2배 높았고, 계절적으로 춘·추계에 높았다. 천수만이위치한 서해 중부해역은 지역적 특성(반폐쇄성, 서산방조제,하천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현존량이 높고, 주요 우점종인 Skeletonema spp.(4월) 등의 시기적인 차이에 의해 계절적인 분포변화가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해 수산 자원보호해역(통영-I,II, 한산만, 진동만)에서도 돌말류인Skeletonema spp., Chaetoceros속, Eucampia zodiacus중심으로, 와편모류와 은편모류가 일부시기에 크게 증가하는 해양생태계 기본조사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2016년 수산자원보호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은 일반적인 서해 중부와 남해연안과 비교적 유사한 군집특성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rander, K. M., C. Baulcomb, J. A. C. van der Lelij, F. Eppink, A. McVittier, L. Nijsten and P. van Beukering(2015), The benefits to people of expanding Marine Protected Area. VU university, Amsterdam, The Netherlands, p. 190. 

  2. Brito, A. C., I. Benyoucef, B. Jesus, V. Brotas, P. Gernez, C.R. Mendes, P. Launeau, M.P. Dias and L. Barille(2013), Seasonality of microphytobenthos revealed by remote-sensing in a South European estuary, Cont. Shelf Res., Vol. 66, pp. 83-91. 

  3. Carter, C. M., A. H. Ross, D. R. Schiel, C. Howard-Williams and B. Hayden(2005), In situ microcosm experiments on the influence of nitrate and light on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J. Exp. Mar. Biol. Ecol., Vol. 326, pp. 1-13. 

  4. Choi, W. J., Y. Y. Chun, J. H. Park and Y. C. Park(1997),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fatness of Pacific Oyster, Crassostre gigas, in Hansan-Koje Bay, J. Korean Fish. Soc., Vol. 30, No. 5, pp. 794-803. 

  5. Joo, H. M., J. H. Lee and S. W. Jung(2011), Correlations between cell abundance, bio-volume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Coastal Waters of Incheon, Tongyeong and Ulsan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Vol. 29, No. 4, pp. 312-320. 

  6. Jung, S. W., O. Y. Kwon and J. H. Lee(2008), Vari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tanding crops and biomass of phytoplankton dominant species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s from 2000 to 2007, Algae, Vol. 23, No. 1, pp. 53-61. 

  7. Kang, Y. S., J. N. Kwon, J. K. Shon, S. J. Hong and J. Y. Kong(2003), Inte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around the season of red tide outbreak off the coast of Tongyeong Area, 2002, J. Kor. Fish. Soc., Vol. 36, No. 5, pp. 515-521. 

  8. Ko, T. H.(1999), Dynamic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ongyoung Bay during the summer seoson, 1998, Master's Thesis, Busan Univ, p. 68. 

  9. Lee, D. I., D. S. Park, K. A. Jeon, K. H. Eom, J. S. Park and G. Y. Kim(2009), Preliminary diagnosis of fishing ground environment for establishing the management system in Fisheries Resources Protection Area, Korean Soc. Mar. Environ. Saf., Vol. 15, No. 2, pp. 79-89. 

  10. Lee, J. H., S. W. Jung and J. M. Kim(2005),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s, Korea, Ocean and Polar Res., Vol. 27, No. 1, pp. 15-24. 

  11. Lee, J. H. and S. M. Youn(2000),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Yeoja Bay of Korea, Korean Algae, Vol. 15, No. 2, pp. 89-98. 

  12. Lee, J. K., C. Park, D. B. Lee and S. W. Lee(2012), Variations in plankton assemblage in a semi-closed Chunsu Bay, Korea, The Sea J. Korean Soc. Oceanogra., Vol. 17, No. 2, pp. 95-111. 

  13. Lee, S. W., C. Park, D. B. Lee and J. G. Lee(2014), Effects of freshwater discharge on plankton in Cheonsu Bay, Korea during the rainy season, The Sea J. Korean Soc. Oceanogra., Vol. 19, No. 1, pp. 41-52. 

  14. Lim, W. A., Y. S. Lee, Y. S. Kang, S. S. Kim, S. H. Kim, H. S. Choi, H. Y. Baek, T. S. Lee and J. Y. Lee(2010), Inter-annu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aquacultural areas of Tongyeong, SE Coastal Waters of Korea, The Sea J. Korean Soc. Oceanogra., Vol. 15, No. 4, pp. 158-165. 

  15. Margalef, R.(1978), Life-forms of phytoplantkon as survival alternatives in an unstable environment, Oceanol. Acta, Vol. 1, pp. 493-509. 

  16. MIFAFF(2008),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 Fisheries, The Geographical map of fishery resources protected zone (Sea area and adjacent land), The notification of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 Fisheries, Article, p. 146. 

  17. MOF(201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Guideline to standard methods for the marine environmen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p. 516. 

  18. MOF(2016a),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http://www.mof.go.kr/article/view.do?articleKey11791&boardKey2&searchEtc5code061&menuKey341& currentPageNo1. 

  19. MOF(2016b), Korean marine ecosystems through basic survey of marine ecosystems, 11-119200-000523-01, pp. 86-103. 

  20. NFRDI(2008),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Annual monitoring report of Korean marine environment 2007, NFRDI report, Vol. 12, pp. 1-408. 

  21. Park, J. S., Y. H. Yoon and S. J. Oh(2009),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mouth parts of Gamak Bay, Souther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Vol. 27, No. 2, pp. 205-215. 

  22. Park, S. Y., S. Heo, J. Yu, U. K. Hwang, J. S. Park, S. M. Lee and C. M. Kim(2013),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the Cheonsu Bay of Yellow Sea, Korea, Korean Soc. Mar. Environ. Saf., Vol. 19, No. 5, pp. 439-458. 

  23. Rines, J. E. B. and P. E. Hargraves(1988), The Chaetoceros Ehrenberg (Bacillariophyceae) Flora of Narragansett Bay, Rhode Island, p. 196. 

  24. Round, F. E., R. M. Crawfor and D. G. Mann(1990), The diato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746. 

  25. Shim, J. H and H. G. Yeo(1988),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in Chonsu Bay, J. Oceanol. Soc. Korea, Vol. 23, No. 3, pp. 130-145. 

  26. Shim, J. H.(1994), Flora and fauna of Korea: vol. 34 marine phytoplankton, Ministry of Education, p. 487. 

  27. Shin, Y. K., J. H. Shim, J. S. Jo and Y. C. Park(1990), Relative significance of nanoplankton in Chonsu Bay: species composition, abundance, chlorophyll and primary productivity, J. Oceanol. Soc. Korea, Vol. 25, No. 4, pp. 217-228. 

  28. Smayda, T.J.(1970), The suspension and sinking of phytoplankton in the sea, Mar. Biol. Ann. Rev., Vol. 8, pp. 353-414. 

  29. Sullivan, J. M., and E. Swift(2003), Effects of small-scale turbulence on net growth rate and size of ten species of marine dinoflagellates, J. Phycol., Vol. 39, pp. 83-94. 

  30. Tomas, C. R.(1997), Identifying marine diatoms and dinoflagellates, Academic Press, Inc., p. 858. 

  31. Underwood, G. J. C and J. Kromkamp(1999),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and microphytobenthos in estuaries, Ecol. Res., Vol. 29, pp. 93-153. 

  32. WPC(2014), World Parks Congress, The promise of Sydney, IUCN World Parks Congress, Sydney, Australia, http://world parkscongress.org/downloads/approaches/ThemeM.pdf. 

  33. Yoon, S. K., S. Y. Park, H. C. Kim and P. J. Kim(2007),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n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Waters of Cheonsu Bay, Yellow Sea, Proceedings of Korean Environ. Sci. Soc. Conf., Vol. 16, No. 1, pp. 307-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