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적 피드백과 리듬청각자극을 통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sual Feedback and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Walking of Stroke Patients Induced by Treadmill Walking Training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5 no.2, 2018년, pp.53 - 61  

박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범룡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태호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Stroke patients show abnormal walking patterns due to brain injury. In order to have the desired walking pattern, appropriate stimulation is required to activate the central pattern generator. For this reason, our study performed treadmill ambulatory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리듬청각자극에 따른 트레드밀 보행훈련 시 시각적 피드백의 유, 무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여 중추 유형 발생기를 효과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시각적 피드백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리듬청각자극에 따른 트레드밀 보행훈련 시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훈련 후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 군에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보행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될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리듬청각자극 트레드밀 보행훈련 시 시각적 피드백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뇌졸중 환자의 보행개선을 위한 훈련 시 효과적인 임상적 방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리듬청각자극 트레드밀 보행훈련 시 시각적 피드백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통하여 뇌졸중 환자의 보행개선을 위한 훈련 시 효과적인 임상적 방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리듬청각자극에 따른 트레드밀 보행훈련 시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 어떠한 영향에 의하여 뇌졸중 환자의 보행개선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부분을 알아보고자 시공간적 보행변수를 측정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리듬청각자극에 따른 트레드밀 보행훈련 시 시각적 피드백의 유, 무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여 중추 유형 발생기를 효과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시각적 피드백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리듬청각자극에 따른 트레드밀 보행훈련 시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훈련 후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 군에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보행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될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의 보행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장애는 뇌졸중 환자의 보행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데,이는 독립적인 삶을 영위함에 있어 제한이 되며 사회와보호자에 대한 부담과 의존을 가중시킨다(Lau와 Mak 2011). 뇌졸중 환자의 보행 특징을 살펴보면 강직과 근육 반응의 변화에 의해 잔존하고 있는 근육만으로 움직임을 조절하고 보행을 하게 된다(Ada 등, 2009). 이로 인해 보행동안 비마비측으로의 체중 지지에 따른 비대칭적인 체중분포와 체중이동 능력 저하, 마비측과 비마비측 보장의 차이, 보행속도의 감소 등을 관찰할 수 있다(Eng와 Tang, 2007; Pizzi 등, 2007).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혈관의 허혈성 혹은 출혈성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질환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며 신체적, 심리적 장애를 유발한다(Peurala 등, 2007). 이러한 장애는 뇌졸중 환자의 보행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데,이는 독립적인 삶을 영위함에 있어 제한이 되며 사회와보호자에 대한 부담과 의존을 가중시킨다(Lau와 Mak 2011).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은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서 어떠한 한계점이 있는가? 이를 토대로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의 경우 척수상위수준에서 감각통합과 정보처리과정의 문제로 인해 리듬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것에 제한이 된다(Roerdink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da L, Dean CM, Lindley R, et al. Improving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The ambulate Trial. BMC Neurol. 2009;9:8. https://doi.org/10.1186/1471-2377-9-8 

  2. Aaslund MK, Moe-Nilssen R. Treadmill walking with body weight support effect of treadmill, harness and body weight support systems. Gait Posture. 2008;28(2):303-308. https://doi.org/10.1016/j.gaitpost.2008.01.011 

  3. Barbeau H. Locomotor training in neurorehabilitation: emerging rehabilitation concept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3;17(1):3-11. https://doi.org/10.1177/0888439002250442 

  4. Bayat R, Barbeau H, Lamontagne A. Speed and temporal-distance adaptations during treadmill and overground walking following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5;19(2):115-124. https://doi.org/10.1177/1545968305275286 

  5. Bonan IV, Yelnik AP, Colle FM, et al. Reliance on visual information after stroke. Part II: Effectiveness of balance rehabilitation program with visual cue deprivation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74-278. 

  6. Brasileiro A, Gama G, Triqueiro L, et al. Influence of visual and auditory biofeedback on partial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of individuals with chronic hemiparesis: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Eur J Phys Rehabil Med. 2015;51(1):49-58. 

  7. Druzbicki M, Guzik A, Przysada G, et al. Efficacy of gait training using a treadmill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in patients after stroke: A randomized study. J Rehabil Med. 2015;47(5):419-425. https://doi.org/10.2340/16501977-1949 

  8. Eng JJ, Tang PF. Gait training strategies to optimize walking ability in people with stroke: A synthesis of the evidence. Expert Rev Neurother. 2007;7(10):1417-1436. https://doi.org/10.1586/14737175.7.10.1417 

  9. Ford MP, Wagenaar RC, Newell KM. The effects of auditory rhythms and instruction on walking patterns in individuals post stroke. Gait Posture. 2007;26(1):150-155. https://doi.org/10.1016/j.gaitpost.2006.08.007 

  10. Gharib NM, El-Maksoud GM, Rezk-Allah SS. Efficacy of gait trainer as an adjunct to traditional physical therapy on walking performance in hemiparetic cerebral palsied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11;25(10):924-934. https://doi.org/10.1177/0269215511400768 

  11. Hase K, Suzuki E, Matsumoto M, et al. Effects of therapeutic gait training using a prosthesis and a treadmill for ambulatory patients with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2011;92(12):1961-1966. https://doi.org/10.1016/j.apmr.2011.07.005 

  12. Hausdorff JM, Lowenthal J, Herman T, et al.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modulates gait variability in parkinson's disease. Eur J Neurosci. 2007;26(8):2369-2375. https://doi.org/10.1111/j.1460-9568.2007.05810.x 

  13. Hayden R, Clair AA, Johnson G, et al. The effect of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RAS) on physical therapy outcomes for patients in gait training following stroke: A feasibility study. Int J Neurosci. 2009;119(12):2183-2195. https://doi.org/10.3109/00207450903152609 

  14. Hollands KL, Pelton T, Wimperis A, et al. Visual cue training to improve walking and turning after stroke: A study protocol for a multi-centre, single blind randomised pilot trial. Trials. 2013;14:276. https://doi.org/10.1186/1745-6215-14-276 

  15. Hollands KL, Pelton TA, Wimperis A, et al. Feasibility and preliminary efficacy of visual cue training to improve adaptability of walking after stroke: Multi-centre, single-blind randomised control pilot trial. PLoS One. 2015;10(10):e0139261.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39261 

  16. Khallaf ME, Gabr AM, Fayed EE. Effect of task specific exercises, gait training, and visual biofeedback on equinovarus gait among individual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Neurol Res Int. 2014;2014:693048. https://doi.org/10.1155/2014/693048 

  17. Lau KW, Mak MK. Speed-dependent treadmill training is effective to improve gait and balance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J Rehabil Med. 2011;43(8):709-713. https://doi.org/10.2340/16501977-0838 

  18. Lewek MD, Feasel J, Wentz E, et al. Use of visual and proprioceptive feedback to improve gait speed and spatiotemporal symmetry following chronic stroke: A case series. Phys Ther. 2012;92(5):748-756. https://doi.org/10.2522/ptj.20110206 

  19. Luft AR, McCombe-Waller S, Whitall J, et al. Repetitive bilateral arm training and motor cortex activation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4;292(15):1853-1861. https://doi.org/10.1001/jama.292.15.1853 

  20. Park J, Park SY, Kim YW, et al. Comparison between treadmill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and ground walki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gait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NeuroRehabilitation. 2015;37(2):193-202. https://doi.org/10.3233/NRE-151252 

  21. Pelton TA, Johannsen L, Huiya Chen, et al. Hemiparetic stepping to the beat: Asymmetric response to metronome phase shift during treadmill gait.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0;24(5):428-434. https://doi.org/10.1177/1545968 309353608 

  22. Peurala SH, Kononen P, Pitkanen K, et al. Postural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Restor Neurol Neurosci. 2007;25(2):101-108. 

  23. Pizzi A, Carlucci G, Falsini C, et al. Gait in hemiplegia: Evaluation of clinical features with the Wisconsin gait scale. J Rehabil Med. 2007;39(2):170-174. https://doi.org/10.2340/16501977-0026 

  24. Prassas S, Thaut M, McIntosh G, et al. Effect of auditory rhythmic cuing on gait kinematic parameters of stroke patients. Gait Posture. 1997;6(3):218-223. 

  25. Roerdink M, Lamoth CJ, Kwakkel G, et al. Gait coordination after stroke: Benefits of acoustically paced treadmill walking. Phys Ther. 2007;87(8):1009-1022. https://doi.org/10.2522/ptj.20050394 

  26. Roerdink M, Lamoth CJ, van Kordelaar J, et al. Rhythm perturbations in acoustically paced treadmill walking after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9;23(7):668-678. https://doi.org/10.1177/1545968309332879 

  27. Sackley CM, Baguley BI, Gent S, et al. The use of a balance performance monitor in the treatment of weight-bearing and wight-transference problems after stroke. Physiotherapy. 1992;78(12):907-913. 

  28. Schauer M, Mauritz KH. Musical motor feedback (MMF) in walking hemiparetic stroke patients: Randomized trials of gait improvement. Clin Rehabil. 2003;17(7):713-722. 

  29. Shin J, Chung Y. Influence of visual feedback and rhythmic auditory cue on walking of chronic stroke patient induced by treadmill walking in real-time basis. NeuroRehabilitation. 2017;41(2):445-452. https://doi.org/10.3233/NRE-162139 

  30. Thaut MH, McIntosh GC, Rice RR. Rhythmic facilitation of gait training in hemiparetic stroke rehabilitation. J Neurol Sci. 1997;151(2):207-212. 

  31. Thaut MH, Leins AK, Rice RR, et al.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improves gait more than NDT/Bobath training in near-ambulatory patients early post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7;21(5):455-459. https://doi.org/10.1177/1545968307300523 

  32. Van de Crommert HW, Mulder T, Duysens J. Neural control of locomotion: sensory control of the central pattern generator and its relation to treadmill training. Gait Posture. 1998;7(3):251-263. 

  33. Wagenaar RC, Beek WJ. Hemiplegic gait: A kinematic analysis using walking speed as a basis. J Biomech. 1992;25(9):1007-1015. 

관련 콘텐츠

원문 보기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