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색미 품종의 발아 시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Pigmented Rice during Germina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3 no.1, 2018년, pp.18 - 24  

박영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김보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류수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색 과피 품종의 발아 기간에 따른 화학성분 함량 변화를 조사하여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흰색 과피 2품종과 흑자색 과피 6품종에 대하여 성분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아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으로 발아 6일째에 가장 높았다. 조지방 함량은 흰색 과피 품종에서는 발아 후 6일에 가장 높았으나, 흑자색 과피 품종에서는 발아 4일째 감소 후 계속 증가하여 8일에 가장 높았다. 조섬유 함량은 발아 후 8일째까지 가장 높았으나 발아 기간 중 경향이 일정하지 않았다. 유색 과피 품종의 sucrose, glucose 및 fructose 함량은 발아 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나, 흰색 과피 품종에서는 glucose 함량이 발아 후 8일에 현미 상태보다 증가하였고 sucrose와 fructose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흑자색 과피 품종의 발아현미 GABA, alanine, glutamic acid, asparagine, aspartic acid은 발아 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다. 특히 GABA는 172배 증가하였다. 흰색 과피 품종에서는 aspartic acid와 asparagine은 발아 전 현미 함량보다 감소하였다. Lysine은 모든 품종에서 발아 전에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발아 2일부터 검출되었는데, 발아 6일에 흰색 과피 품종에서는 6.24 mg/100 g, 유색 과피 품종에서는 15.58 mg/100 g로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se fundamental data about functional foods based on pigmented rice varieties-2 types of normal rice, 6 types of black rice-to analyze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 activity during germin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Germination rates of the pigmented ri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기능성 성분을 가진 유색미의 발아 기간에 따른 화학성분의 함량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발아에 따른 일반미와 유색미의 특성을 비교하며,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의 특징은? 벼는 세계 3대 작물 중 하나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아프리카 및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주식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는 하루 열량의 절반 이상을 섭취하고 있는 중요한 곡류이다(Kim et al., 2012).
유색미의 종피색을 결정하는 성분은? ,2005). 벼의 종피색은 주로 흰색이나 담갈색이지만 일부는 갈색이나 적색, 자색을 나타내는데, 이는 종피에 함유된 색소성분에 기인한다. 유색미 종피가 흑색 및 흑자색을 띠는 것은 안토시아닌계 색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며, 적색 및 적갈색을 띠는 것은 탄닌계 색소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으로 밝혀졌다(Kim, 2012b).
현미의 장점은? 현미는 배아, 배유 및 미강(과피, 종피, 호분층)으로 이루어진 벼 열매로서 백미에 비하여 영양분의 손실이 적으며 지방, 단백질, 비타민, 식이섬유 및 각종 무기질 등이 풍부하여 영양성과 기능성이 뛰어나다(Mo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K. S. and Z. U. Kim. 1985.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germination of mung 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17(4). 

  2. Chung, D. S. and H. K. Kim. 1998. Changes of protein and lipid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Perilla frutescens seeds. Korean J. Life Science. 8(3) : 318-325. 

  3. Jeon, S. H., K. A. Lee, and K. E. Byoun. 2005. Studies on Changes of Isoflavone and Nutrients during Germination of Soybean Varietie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4(3) : 485-489. 

  4. Jung, H. Y., D. H. Lee, H. Y. Baek, and Y. S. Lee. 2008. Pre- and post-germination changes in pharmaceutical compounds of f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53(S) : 37-43. 

  5. Kim, C. Y. 1999. A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 of Grains as Affected by Cultivation Methods in the Colored Rice and Aromatic Rice Varieties. PhD Thesis,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6. Kim, D. J., S. K. Oh, M. R. Yoon, A. R. Chun, I. S. Choi, D. H. Lee, J. S. Lee, K. W. Yu, and Y. K. Kim. 2011a. The change in biological activities of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6) : 781-789. 

  7. Kim, H. Y. 2012. Identification and chemopreventive effects of bioactive compounds from germinated rough rice (Oryza sativa L.). Ph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8. Kim, H. Y., S. H. Lee, I. G. Hwang, T. M. Kim, D. S. Park, J. H. Kim, D. J. Kim, J. S. Lee, and H. S. Jeong.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cancer effects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by germination peri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 : 14-19. 

  9. Kim, H. Y., I. G. Hwang, T. M. Kim, D. S. Park, J. H. Kim, D. J. Kim, Y. R. Lee, J. S. Lee, and H. S. Jeong. 2011b.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according to germination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9) : 1265-1270. 

  10. Kim, H. Y., I. G. Hwang, K. S. Woo, K. H. Kim, K. J. Kim, C. K. Lee, J. S. Lee, and H. S. Jeong. 2010. Chemical Components Changes of Winter Cereal Crops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1), 1700-1704. 

  11. Kim, I. S., S. H. Han, and K. W. Han. 1997.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amino acid and vitamin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6) : 1058-1062. 

  12. Kim, I. S., T. B. Kwon, and S. K. Oh. 1988a.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general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s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2) : 188-193. 

  13. Kim, I. S., T. B. Kwon, and S. K. Oh. 1988b. Study on the compositional change of free sugars and glucosinolates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2) : 194-199. 

  14. Kim, J. Y. 2008.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During Germination. Master Thesis, Chung Buk National University. 

  15. Ko, J. Y., S. B. Song, J. S. Lee, J. R. Kang, M. C. Seo, B. G. Oh, D. Y. Kwak, M. H. Nam, H. S. Jeong, and K. S. Woo. 2011a.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8) : 1128-1135. 

  16. Kim, K. B.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perjami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and seolgitteok using Superjami. PhD Thesis, Kyung Hee University. 

  17. Kim, S. L., Y. K. Son, J. R Son, and H. S. Hur. 2001.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46(3) : 221-228 

  18. Lee, E. H. and C. J. Kim. 2008. Nutritional changes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Culture. 23(1) : 121-129. 

  19. Lee, M. H., H. S. Son, O. K. Choi, S. K. Oh, and T. B. Kwon. 1994.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buckwheat germination. Korean J. Food & Nutrition. 7(4) : 267-273. 

  20. Lee, Y. R., J. Y. Kim, K. S. Woo, I. G. Hwang, K. H. Kim, K. J. Kim, and J. H. Kim. 2007.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Food Sci. Biotechnol. 16(6) : 1006-1010. 

  21. Mo, K. H., Y. M. Choi, S. G. Choi, and J. S. Lee. 2006. The change of some compounds in brown rice germinated by filtrate of loess suspension. J.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40(2) : 41-48. 

  22. Ryu, S. N., S. Z. Park, and S. S. Kang. 2005. Studies on explora- tion and expansive use of genetic variation of functional substances in rice. RDA report. 

  23. Sung, J. H., J. S. Lee, S. K. Oh, J. S. Lee, and W. S. Choi. 2013. Changes in phytochemical conte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germinated Geunnun and Ilpum rice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7) : 1157-11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