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구 운동이 노인의 인지능력 변화에 미치는 융합적 분석
Convergent Analysis of Old People Eye Movement Training on Change of Cognitive Abili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5, 2018년, pp.121 - 127  

배세현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경윤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55명의 노인 대상자를 무작위로 급속안구운동(saccadic eye movement, SEM)군과 원활추종눈운동(smooth pursuit eye movement, SPEM) 두 군으로 구분하여 4주 동안 안구운동을 실시한 후 사건관련 전위(event-related potentials)중 P300의 전위값과 잠복기 그리고 MMSE-DS를 사용하여 안구운동이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SEM과 SPEM 군의 P300 전위값은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P300의 잠복기는 유의하게 짧아졌다. MMSE-DS 결과 두 군 모두 유의한 상승을 나타냈으며, 군간 비교 시 SEM군은 지남력, SPEM군은 주의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SEM과 SPEM은 노인의 인지능력을 향상 및 유지를 시킬 수 있으며 치매예방과 경도 치매에 대한 치료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ye movement on cognitive ability using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and the amplitude and latency of P300 from event-related potentials after 55 elderly participants were randomly stratified into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매 예방 및 치매 치료를 목적으로 안구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노인들의 인지기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치매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접근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 가소성의 역할은 무엇인가? 뇌는 외부의 자극을 통해 신경계를 재조직화는 신경 가소성(neuroplasticity)이 존재한다[6]. 그러므로 노인에게 적절한 외부 자극을 적용하여 인지기능을 향상 시킨 다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안구운동이 복잡한 사고를 처리하는데 기초가 된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인간은 생후 안구운동의 시작으로 이마엽을 발달시키고 노화가 진행 되면서 이마엽이 감소하여 안구운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8]. 안구 움직임에 손상이 생기면 인지기능에 문제가 발생되어 주의력과 지남력의 저하, 정교한 과제 수행에 긴 시간이 요구된다고 하였다[9]. 즉, 이마엽 영역은 복잡한 사고를 처리하는 인지기능을 담당하며 안구운동이 그 기초가 되는 것이다.
이마엽 영역의 기능은 무엇인가? 뇌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뇌 위축이 발생하는데 이마엽 영역에서 그 변화가 크게 일어난다. 이마엽 영역의 기능은 주의력(attention), 기억력, 언어능력 등의 인지적 측면에 관련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노인은 인지기능의 감소가 발생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6). Population projections 2015-2065. Daejeon : KOSIS. 

  2.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te. (2011). Analysis of medical care trends of geriatric diseases. Seoul : KIDI 

  3. I. McDowell. (2001). Alzheimer's disease: insights from epidemiology. Aging (Milano), 13(3), 143-162. 

  4. H. J. Lee, J. W. Lee & J. Y. Lee. (2015).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6(1), 345-367. DOI : 10.16881/jss.2015.01.26.1.345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Dementia prevalence survey. Sejong : MOHW. 

  6. P. Muller et al. (2017). Evolution of neuroplasticity in response to physical activity in old age: the case for dancing. Front Aging Neurosci, 9(56). DOI : 10.3389/fnagi.2017.00056 

  7. E. Bauer, M. Toepper, H. Gebhardt, B. Gallhofer & G. Sammer. (2015). The significance of caudate volume for age-related associative memory decline. Brain Res, 1622, 137-148. DOI : 10.1016/j.brainres.2015.06.026 

  8. M. R. MacAskill & T. J. Anderson. (2016). Eye movement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Curr Opin Neurol, 29(1), 61-68. DOI : 10.1097/WCO.0000000000000274 

  9. N. Noiret, B. Vigneron, M. Diogo, P. Vandel & E. Laurent. (2017). Saccadic eye movements: what do they tell us about aging cognition?. Neuropsychol Dev Cogn B Aging Neuropsychol Cogn, 24(5), 575-599. DOI : 10.1080/13825585.2016.1237613 

  10. P. Naicker, S. Anoopkumar-Dukie, G. D. Grant & J. J. Kavanagh. (2017). Medications influencing central cholinergic neurotransmission affect saccadic and smooth pursuit eye movements in healthy young adults. Psychopharmacology (Berl), 234(1), 63-71. DOI : 10.1007/s00213-016-4436-1 

  11. S. B. Hutton & D. Tegally. (2005). The effects of dividing attention on smooth pursuit eye tracking. Exp Brain Res, 163(3), 306-313. DOI : 10.1007/s00221-004-2171-z 

  12. E. Commodari & M. Guarnera. (2008). Attention and aging. Aging Clin Exp Res, 20(6), 578-584. 

  13. J. K. Hartshorne & L T. Germine. (2015). When does cognitive functioning peak? The asynchronous rise and fall of different cognitive abilities across the life span. Psychol Sci, 26(4), 433-443. DOI : 10.1177/0956797614567339 

  14. S. Stuart, B. Galna, S. Lord & L. Rochester. (2016). A protocol to examine vision and gait in Parkinson's disease: impact of cognition and response to visual cues. F1000Res, 4, 1379. DOI : 10.12688/f1000research.7320.2 

  15. E. Saliasi, L. Geerligs, M. M. Lorist & N. M. Maurits.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P3 amplitude and working memory performance differs in young and older adults. PLoS One, 8(5), e63701. DOI : 10.1371/journal.pone.0063701 

  16. T.H. Kim et al. (2010).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and its' short form. Psychiatry Investig, 7(2), 102-108. DOI : 10.4306/pi.2010.7.2.102 

  17. N. Noiret et al. (2018). Saccadic Eye Movements and Attentional Control in Alzheimer's Disease. Arch Clin Neuropsychol, 33(1), 1-13. DOI : 10.1093/arclin/acx044 

  18. J. Polich. (1996). Meta-analysis of P300 normative aging studies. Psychophysiology, 33(4), 334-353. 

  19. T. Curran. (2004). Effects of attention and confidence on the hypothesized ERP correlates of recollection and familiarity. Neuropsychologia, 42(8), 1088-1106. DOI : 10.1016/j.neuropsychologia.2003.12.011 

  20. A. Hatta et al. (2005). Effects of habitual moderate exercise on response processing and cognitive processing in older adults. Jpn J Physiol, 55(1), 29-36. DOI : 10.2170/jjphysiol.R2068 

  21. R. Verleger. (1997). On the utility of P3 latency as an index of mental chronometry. Psychophysiology, 34(2), 131-156. 

  22. A. van Wyk, C. A. Eksteen & P. Rheeder. (2014). The effect of visual scanning exercises integrated into physiotherapy in patients with unilateral spatial neglect poststroke: a matched-pair randomized control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8(9), 856-873. DOI : 10.1177/1545968314526306 

  23. J. L. Stubbs, S. L. Corrow, B. Kiang, W. J. Panenka & J. J. Barton. (2018). The effects of enhanced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on smooth pursuit eye movement. Exp Brain Res, 236(2), 485-495. DOI : 10.1007/s00221-017-5146-6 

  24. A. Parker, S. Relph & N. Dagnall. (2008). Effects of bilateral eye movements on the retrieval of item, associative, and contextual information. Neuropsychology, 22(1), 136-145. DOI : 10.1037/0894-4105.22.1.136 

  25. A. Parker & N. Dagnall. (2007). Effects of bilateral eye movements on gist based false recognition in the DRM paradigm. Brain Cogn, 63(3), 221-225. DOI : 10.1016/j.bandc.2006.08.005 

  26. J. C. Culham & N. G. Kanwisher. (2001). Neuroimaging of cognitive functions in human parietal cortex. Curr Opin Neurobiol, 11(2), 157-163. 

  27. R. Contreras, J. Ghajar, S. Bahar & M. Suh. (2011). Effect of cognitive load on eye-target synchronization during smooth pursuit eye movement. Brain Res, 1398, 55-63. DOI : 10.1016/j.brainres.2011.05.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