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백초와 약모밀의 내부형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Anatomical Study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and Houttuynia cordata Thunb. (Saururaceae)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3 no.3, 2018년, pp.11 - 18  

양선규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연구부) ,  최고야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연구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Saururus chinensis and Houttuynia cordata (Saururaceae) are perennial herbs using for medicinal purposes in Korea.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anatomical key characters between two medicinal plants an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two her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약모밀에 대한 국내 해부 연구에서 윤27)은 줄기 약재의 횡단면 구조에 대하여 기록하였지만, 제한적인 조직 기재의 결과이므로 보다 상세한 정보제공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약자원식물인 삼백초와 약모밀의 약용부위를 포함하여 모든 영양기관에 대한 해부학적 형질을 정확히 기재하고, 이들의 주요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약자원 기원식물의 내부형태 이해를 위한 종합적인 해부학적 정보를 제공하고, 한약재의 정확한 사용을 위한 내부형태 감별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약자원식물인 삼백초와 약모밀의 약용부위를 포함하여 모든 영양기관에 대한 해부학적 형질을 정확히 기재하고, 이들의 주요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약자원 기원식물의 내부형태 이해를 위한 종합적인 해부학적 정보를 제공하고, 한약재의 정확한 사용을 위한 내부형태 감별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삼백초와 약모밀은 모두 삼백초과에 속한 한약자원 식물로, 같은 약용부위를 사용하므로 건조 절단된 상태에서의 감별이 쉽지 않은 품목임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해부학적 형질 비교가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한약자원 기원식물의 내부형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1F, col). 유관속초는 후각조직으로 구성되지만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섬유조직으로 대체된다. 엽신 횡단면의 향축면은 넓은 V자 형으로 미약하게 함몰하고, 배축면은 U자형이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삼백초과 식물은 무엇이 있는가? 국내에 분포하는 삼백초과 식물은 삼백초[Saururus chinensis (Lour.) Baill.]와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 두 분류군이며 귀화 또는 재배식물로서 분포한다. 三白草는 삼백초의 지상부를 말려서 사용하고 利尿消腫, 淸熱解毒의 효능이 있으며7),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 작용에 대한 연구도 진행된 바 있다8,9).
삼백초과와 함께 원시피자 식물을 구성하는 것은 무엇인가? 삼백초과(Saururaceae)는 후추목(Piperales)에 속하는 분류군으로서 4속 6종이 포함되며 북반구 온대지역의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1,2). 본 과는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후추과(Piperaceae) 등과 함께 원시피자 식물(paleoherb)을 구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 이와 같은 견해는 형태학적 증거 및 분자유전학적 연구결과에 의하여 지지받고 있다4-6).
삼백초 뿌리는 무엇을 함유하며 어떤 생리적 효과가 있는가? 三白草는 삼백초의 지상부를 말려서 사용하고 利尿消腫, 淸熱解毒의 효능이 있으며7),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 작용에 대한 연구도 진행된 바 있다8,9).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lignan화합물인 sauchinone은 항균작용10), 간기능 보호11), 천식 및 호흡기 염증12)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관련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약모밀은 물고기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魚腥草라는 이름으로 전통적으로 약용하여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iang HX. On the evolution and distribution in Saururaceae. Acta Bot Yunnan. 1995 ; 17 : 255-67. 

  2. Meng SW, Douglas AW, Li DZ, Chen ZD, Liang HX, Yang JB. Phylogeny of Saururaceae based on morphology and five regions from three plant genomes.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2003 ; 90 : 592-602. 

  3. Donoghue MJ, Doyle JA, Gauthier J, Kluge AG, Rowe T. The importance of fossils in phylogeny reconstruction. Ann Rev Ecol Syst. 1989 ; 20 : 431-60. 

  4. Hamby RK, Zimmer EA. Ribosamal RNA as a phylogenetic tool in plant systematics. In : Soltis PS, Soltis DE, Doyle JJ, eds. Moleculat Systematics of Plants. New York : Chapman and Hall. 1992 : 50-91. 

  5. Chase MW, Soltis DE, Olmstead RG, Morgan D, Les DH, Mishler BD, Duvall MR, Price RA, Hills HG, Qiu YL, Kron KA, Rettig JH, Conti E, Palmer JD, Manhart JR, Sytsma KJ, Michaels HJ, Kress WJ, Karol KG, Clark WD, Hedren M, Gaut BS, Jansen RK, Kim KJ, Wimpee CF, Smith JF, Furnier GR, Strauss SH, Xiang QY, Plunkett GM, Soltis PS, Swensen SM, Williams SE, Gadek PA, Quinn CJ, Eguiarte LE, Golenberg E, Leatn Jr GH, Graham SW, Barrett SCH, Dayanandan S, Albert VA. Phylogenetics of Seed Plants: An Analysis of Nucleotide Sequences from the Plastid Gene rbcL.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1993 ; 80 : 528-80. 

  6. Tucker SC, Douglas AW. Floral Structure, Development, and Relationships of Paleoherbs: Saruma, Cabomba, Lactoris, and Selected Piperales. In : Taylor DW, Hickey LJ, eds. Flowering Plant Origin, Evolution & Phylogeny. New York : Chapman and Hall. 1996 : 141-75. 

  7.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efining Dictionary for Medicinal Herbs[Korean, 'Hanyak Giwon Sajeon'](2018). Published on the Internet; http://boncho.kiom.re.kr/codex/ (accessed 2018-04-09). 

  8. Park DJ, Lee JC.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Depigmentation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Saururus Herba1. Kor J Herbology. 2008 ; 23 : 193-202. 

  9. Park G, Kim HG, Sim Y, Sung SH, Oh MS. Sauchinone, a Lignan from Saururus chinensis, Protects Human Skin Keratinocytes against Ultraviolet B-Induced Photoaging by Regulating the Oxidative Defense System. Biol Pharm Bull. 2013 ; 36 : 1134-9. 

  10. Jeong KM, Choi JI, Lee SH, Lee HJ, Son JK, Seo CS, Song SW, Kwak SH, Bae HB. Effect of sauchinone, a lignan from Saururus chinensis, on bacterial phagocytosis by macrophages.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2014 ; 728 : 176-82. 

  11. Jeong GS, Lee DS, Park BH, Kwon KB, Kim YC. Sauchinone protects pancreatic b cells against cytokine-mediated toxicity. Toxicology in Vitro. 2011 ; 25 : 505-12. 

  12. Min HJ, Won HY, Kim YC, Sung SH, Byun MR, Hwang JH, Hong JH, Hwang ES. Suppression of Th2-driven, allergen-induced airway inflammation by sauchinone.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09 ; 385 : 204-9. 

  13. Cha JY, Jeon BS, Park JW, Moon JC, Cho YS. Effect of Fermented Compositions Containing Inonotus obliquus with Houttuynia cordata on Growth of Human AGS Gastric and HCT-15 Colon Cancer Cell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2004 ; 47 : 202-7. 

  14. Song JH, Kim MJ, Kwon HD, Park IH. Antimicrobial Activity of Fractional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 ; 32 : 1053-8. 

  15. Jeong HR, Kwak JH, Kim JH, Choi GN, Jeong CH, Heo HJ.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an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 (a Culinary Herb). Korean J Food Preserv. 2010 ; 17 : 720-6. 

  16. Kim YM, Jeong HJ, Chung HS, Seong JH, Kim HS, Kim DS, Lee YG.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Journal of Life Science. 2016 ; 26 : 468-74. 

  17. Kim KY, Chung DO, Chung HJ.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7 ; 29 : 400-6. 

  18. Rudall PJ. Anatomy of Flowering Plants. 3rd ed.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 ix-x. 

  19. Stuessy TF. Plant Taxonomy. 2nd. New York :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 199-210. 

  20. Molares S, Ladio AH. Plant Anatomy in Ethnobotanical Research: Micrographic Techniques and Applications. In : Albuquerque UP, Cunha LV, Lucena RF, Alves RR. eds. Methods and techniques in ethnobiology and ethnoecology, Springer protocols and handbooks. New Jersey : Springer. 2014 : 321-33. 

  21. Doh EJ, Kim JH, Choi G, Lee SH, Song HJ, Ju YS, Lee GS. Microscopic Identification-keys for Cynanchi Wilfordii Radix and Cynanchi Auriculati Radix. Kor. J. Herbol. 2015 ; 30(4) : 65-9. 

  22. Song JH, Yang S, Moon BC, Choi G. A comparative foliar anatomical study of six cultivated Aloe species (Asphodelaceae) in Korea. Korean Herb. Med. Inf. 2018 ; 6(1) : 27-35. 

  23. Raju MVS. Morphology and Anatomy of the Saururaceae. I. Floral Anatomy and Embryology.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1961 ; 48 : 107-24. 

  24. Tucker SC. Floral Development in Saururus cernuus (Saururaceae). 2. Carpel Initiation and Floral Vasculature. American Journal of Botany. 1976 ; 63 : 289-301. 

  25. Carlquist S, Dauer K, Nishimura SY. Wood and Stem Anatomy of Saururaceae with Reference to Ecology, Phylogeny, and Origin of the Monocotyledons. IAWA Journal. 1995 ; 16 : 133-50. 

  26. Trueba S, Rowe NP, Neinhuis C, Wanke S, Wagner ST, Isnard S. Stem Anatomy and the Evolution of Woodiness in Piper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nt Sciences. 2015 ; 176 : 468-85. 

  27. Yun YP. Coloured Illustrations for Discrimination of Herbal Medicine. Seoul : Homi Publishing Company. 2009 : 815. 

  28. Jang CS, Oh BU. A taxonomic study of Korean Juncus based on the anatomical characters. Korean J. Pl. Taxon. 2016 ; 46 : 392-404. 

  29. Song JH, Hong SP. The taxonomic implication of leaf anatomy in tribe Sorbarieae (Spiraeoideae: Rosaceae). Korean J. Pl. Taxon. 2014 ; 44 : 119-31. 

  30. Franceschi VR, Nakata PA. Calcium oxalate in plants: Formation and function. Annual Review of Plant Biology. 2005 ; 56 : 41-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