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Using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Devic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Stoke: Case Study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7 no.2, 2018년, pp.17 - 27  

한솔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유은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가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좌측 편마비를 가지고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 1명이며, 개별사례 실험연구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기간 4회, 중재 기간 12회, 기초선 회귀기간 4회로 총 20회의 실험을 휴지기간을 포함하여 총 10주간 진행하였다. 독립변수인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는 매 회기 30분씩 시행되었으며 종속변수 중 Fugl-Meyer Assessment(FMA) 평가는 각 기간 마다 1회씩 측정하였다. Box and Block Test(BBT) 평가와 Wolf Motor Function Test(WMFT) 평가는 매 회기 마다 시행하여 그 측정 결과를 꺾은선 그래프를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 후 대상자의 환측 상지기능이 향상되었다. 기초선 회귀 기간에는 중재를 제거한 뒤 치료유지 효과를 확인하였지만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효과적인 중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치료유지 효과는 크지 않았기 때문에 보다 사용이 간편한 가정용 중재 프로그램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using a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device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 This study used a single subject (ABA) design. The study subjects was a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MSE란? MMSE는 1975년 Folstein, Flostein와McHugh에 의하여 처음 개발된 간이 정신상태 검사이다. 본 도구의 신뢰도는 r=.
상지기능 장애로 뇌졸중 환자가 겪는 일상생활의 변화는? , 1998). 상지기능 장애로 인한 활동의 제한은 환자의 삶을 의존적으로 변하게 하고 더불어 자존감과 자기 효능감을 저하시켜 환자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Han, Lim, Kim, Kim, & Kam,2011).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은 작업치료사들이 최우선으로 다루어야 할 중재목표 중하나이다(Ju, Bang, Hwang, & Son, 2017).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중재가 작업치료 영역에 사용될 경우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최근 작업치료 영역에서는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중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가상현실 중재는 시각, 청각의 자극으로 중재 대상자에게 흥미를 유발 시키고 참여를 증진 시킨다(Cherniack,2011; Rosenberg et al., 2010). 또한 가상현실 중재프로그램의 결과를 통해 즉각적으로 과제 수행 정도에 대하여 되먹임이 가능하다(Rosenberg et al.,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권용철. (1989).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MMSE-K)의 표준화연구, 제 1 편: MMSE-K 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8, 125-138. 

  2. 김민규, 이지원, 허하영, 정기성, 김진모. (2017). 립모션과 아두이노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 실감형 3 차원 콘텐츠 제작 공정.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자료집, 509-512. 

  3. 대한뇌졸중학회. (2018). 뇌졸중 이야기. Retrieved from http://www.stroke.or.kr/stroke/index.html 

  4. Cherniack, E. P. (2011). Not just fun and games: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in the identification and rehabilitation of cognitive disorders of the elderl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6(4), 283-289. 

  5. Chun, H. W., Han, M. K., & Jang, J. H. (2017). Application trends in virtual reality.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32(1), 93-101. 

  6. Colarusso, R. P., & Hammill, D. D. (2003). Motor-free perception test(MVPT-3). California: Academic Therapy Publication. 

  7. Cromwell, F. (1976). Occupational therapists manual for basic skill assessment: Primary prevocational evaluation. Altadena, CA; Fair Oaks Printing 

  8.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 &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9. Folstein, M. F., Flo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y Research, 12(3), 189-198. 

  10. Fugl-Meyer, A. R., Jaasko, L., Leyman, I., Olsson, S., & Steglind, S. (1975). The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 1. a method for evaluation of physical performance.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7(1), 13-31. 

  11. Gladstone, D. J., Danells, C. J., & Black, S. E. (2002). The Fugl-Meyer assessment of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critical review of its measurement properties.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16(3), 232-240. 

  12. Han, Y. H., Lim, A. J., Kim, S. R., Kim, J. Y., & Kam, K. Y. (2011). The effect of changes in post-stroke depression on cognition and upper extremity recove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2), 39-51. 

  13. Holden, M., Todorov, E., Callahan, J., & Bizzi, E. (1999). Virtual environment training improves motor performance in two patients with stroke: Case report. Journal of Neurologic Physical Therapy, 23(2), 57-67. 

  14. Ju, E. S., Bang, Y. S., Hwang, M. J. & Son, B. Y. (2017). The effects of BioVal program interven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A single subject research. Journal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2), 249-260. 

  15. Jung, S. J. (2017). The effect of discordance between visual perception and motion on cybersickness in virtual reality(Masters dissertation), Kangnam University, Yongin. 

  16. Kim, D. Y., & Park, J. B. (2013). Virtual reality based 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6(1), 16-22. 

  17. Kim, E. K., Kang, J. H., & Lee, H. M. (2010). Effects of virtual reality based game o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9(3), 131-149. 

  18. Kim, H. K., Kim, J. H., & Shin, H. S. (2011).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training to change in body function for chronic stroke patients. Neuro Therapy, 15(1), 49-54. 

  19. Kim, J. H., & Kim, H. (2015). Effects of the functional occupational therapy using flow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4(4), 71-88. 

  20. Kim, S. H., Kim, H. G., & Lee, J. H. (2013). Effect of virtual reality based exercise program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7, 373-391. 

  21. Kim, S. U., Han, S. J., & Koo, K. C. (2017). Analysis of display fatigue induced by HMD-based virtual reality bicycl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18(5), 692-699. 

  22. Lane, N. E., & Kennedy, R. S. (1988). A new method for quantifying simulator sicknes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SSQ). Orlando, FL: Essex Corporation. 

  23. Laver, K., George, S., Thomas, S., Deutsch, J. E., & Crotty, M. (2015). Virtual reality for stroke rehabilitation: An abridged version of a Cochrane review.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1(4), 497-506. 

  24. Lee, K. S. (2017). A study of the impacts of virtual reality guided tours’ affordances on user exper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1(3), 105-118. 

  25. Lee, S. M. (2008). The effects of bilateral coordination training on cortical reorganization and upper-limb motor function recovery of chronic stroke patients(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6. Mathiowetz, V., Volland, G., Kashman, N., & Weber, K. (1985). Adult norms for the box and block test of manual dexterit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9(6), 386-391. 

  27. McCane, S. J. (2006). Test review: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24(3), 265-272. 

  28. Nilsson, N. C., Serafin, S., & Nordahl, R. (2015). The effect of head mounted display weight and locomotion method on the perceived naturalness of virtual walking speeds. Virtual Reality(VR), 2015, 249-250. 

  29. Park, T. S., Kang, J. H., & Kim, I. B. (2018). Analysis of muscle on-set time of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motions and actual motions in healthy adul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173-177. 

  30. Park, C. S., Park, S. W., Kim, K. M., Son, M. O., Yoo, J. H., Jang, S. J., & Park, B. K. (200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Wolf motor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2(2), 49-60. 

  31. Rosenberg, D., Depp, C. A., Vahia, I. V., Reichstadt, J., Palmer, B. W., Kerr, J., ... & Jeste, D. V. (2010). Exergames for subsyndromal depression in older adults: A pilot study of a novel intervention.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8(3), 221-226. 

  32. Shin, W. S., & Song, C. H. (2009).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exercise on static balance and gait abilities in chronic strok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1(3), 33-40. 

  33. Song, C. H., Seo, S. M., Lee, K. J. & Lee, Y. W. (2011). Video game-based exercise for upper-extremity function, strentgth, visual perception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0(1), 155-180. 

  34. Song, S. I., & Lee, J. M. (2014). The effects of game program 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rehabilitation motivation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3(3), 133-153. 

  35. Song, S. I., Ryu, S. H., & Park, S. J. (2016). The effects of virtual-reality game on stress and flow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5(1), 355-370. 

  36. Wolf, S. L., Lecraw, D. E., Barton, L. A., & Jann, B. B. (1989). Forced use of hemiplegic upper extremities to reverse the effect of learned nonuse among chronic stroke and head-injured patients. Experimental Neurology, 104(2), 125-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