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로비공간의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 -로비 평면형태의 비교를 중심으로-

Healing Environment at the General Hospital Lobby Space -By comparison of the lobby plan type-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5, 2018년, pp.89 - 97  

이유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오준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거 병원은 치료만 목적으로 하여 최소한의 공용공간을 확보하여 계획되었지만, 현대 병원은 치유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공용공간이 늘어나고, 환자와 보호자와 의료진을 고려하여 계획된다. 또한 로비형태가 홀형에서 발전하여 스트리트형이나 컨코스형으로 계획되면서 공용면적이 증가했다. 과거병원과 다르게 접수, 대기, 수속공간에서 발전하여 현대병원은 상업,취미,문화공간으로 사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의 치유환경 요소를 선행연구에서 도출하여 치유환경 평가방법을 분석의 틀로 세워, 병원 로비공간의 치유환경을 로비 평면형태를 중심으로 분석, 평가한다. 병원 로비는 여러 행위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공간으로, 병원 로비 평면타입별 각 3개의 사례를 비교분석한다. 연구의 결과로 스트리트형이 홀형보다 로비치유환경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접근성, 옥상정원, 휴게공간의 분석결과는 비슷하다. 이는 사례대상이 대형종합병원이기에 충분한 공간이 계획되어 로비형태와 크게 관련 없는 요소로 사료된다. 스트리트형 중에서도 아트리움이 선형인 사례가 4면형 아트리움보다 오픈체적비가 크기에 로비의 공간감과 자연채광 유입효과가 크다. 또 로비평면이 홀형일 때, 단면이 중정형이면 오픈체적비가 큰 것을 보아 로비의 평면 형태도 중요하지만, 단면형태도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ast, hospitals were planned with a minimum of public space for the sole purpose of treatment. On the other hand, modern hospitals have more public space as the importance of the healing environment increases and are plann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atients, guardians, and medical sta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의 치유환경 요소를 선행연구로부터 도출하여 치유환경 평가방법을 분석의 틀로 세웠다. 병원 로비공간의 치유환경을 평면형태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한다.

가설 설정

  • 자연채광계획에서 H1은 천창으로부터 자연채광이 가능하지만, 천창의 면적이 작아 빛의 유입효과가 적다. H2의 본관은 4면 아트리움 형태로 빛의 유입효과가 크지만, 신관은 복층형으로 건물의 한 면으로부터 빛이 유입된다. H3는 복층형 이지만 □자 건물형태로 오픈된 중정으로부터 빛이 유입된다.
  • S3은 사례 중 점수가 가장 높고, H3은 점수가 가장 낮은 사례로 홀형 평균점수보다 약 6점 낮게 나왔다. H3는 병상 수에 비해 로비와 상업공간 면적이 작으며, 복층형 구조라 자연채광이 한 면으로부터만 가능하다. 분석결과 출입구계획에서 방풍실의 유효거리가 가장 좁은 사례는 H1이고, 스트리트형이 홀형보다 평균 약 0.
  • H2의 본관은 4면 아트리움 형태로 빛의 유입효과가 크지만, 신관은 복층형으로 건물의 한 면으로부터 빛이 유입된다. H3는 복층형 이지만 □자 건물형태로 오픈된 중정으로부터 빛이 유입된다. 하지만 중정에 접해있는 공간이 로비가 아니라 대부분 진료실이기에 로비에서 빛의 유입효과가 적고, 주출입구로부터 자연채광이 가능하다.
  • 둘째, 로비면적을 분석결과 스트리트형이 홀형보다 훨씬 넓으며, 이는 로비의 평면형태와 큰 관련있기 때문이다. 현대 병원은 이용자에게 좀 더 쾌적한 환경조성하고 다양한 공용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로비 평면형태도 변화되어 이에 따라 로비면적이 증가했다.
  • 1과 같다. 병원의 공용공간은 홀, 상업시설, 휴게시설, 대기 공간, 수납/접수창구, 수직동선, 복도로 구성되지만, 본 연구에서 로비공간의 집중적 분석을 위해 이동의 목적만 가진 내부복도와 수직 동선은 분석범위에서 제외한다. 다만 로비에 포함된 중정에 접해있는 수직 동선은 로비의 일부로 간주하여 분석범위에 포함한다.
  • 병원의 주로 이용하는 사람은 환자들이기 때문에 충분한 방풍실 유효거리를 가진다. 자연채광계획에서 H1은 천창으로부터 자연채광이 가능하지만, 천창의 면적이 작아 빛의 유입효과가 적다. H2의 본관은 4면 아트리움 형태로 빛의 유입효과가 크지만, 신관은 복층형으로 건물의 한 면으로부터 빛이 유입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용공간이란? 공용공간이란 ‘건물 내 전유공간 이외의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의 중간영역, 건물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매개공간의 장이다[2]. 공용공간은 서로 다른 공간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출입구와 연계되어 병원 고유의 이미지를 만드는 장소이다.
병원의 공간은 어떻게 분류되나? 또한 병원은 병동부, 외래진료부, 중앙진료부, 관리/공급부로 분류되는데, 공용공간의 성격이 가장 강한 부서는 외래진료부로 출입구, 홀, 접수창구, 진료실 등으로 구성되어 입원, 내원환자들이 자주 이용하는 공간이다. 또한 병원 저층부에는 편의, 상업, 문화공간이 있기에 진료의 목적이 아니라도 입원환자, 보호자, 방문객들도 자주 이용하는 공간이다.
현대병원이 치유환경을 고려하여 공용공간계획을 만들어야 하는 이유는? 병원은 ‘치료’에서 ‘치유’에 대한 개념으로 발전하면서 치유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병원 이용자들은 피로도가 높아 스트레스를 유발하지 않도록 심리적 안정을 위한 환경이 필요하다. 따라서 과거병원은 기능중심으로 필요한 최소한의 공용공간만 확보했지만, 현대병원은 치유환경을 고려하여 충분한 공용공간계획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eongAh Kim, "A Study on Natural Element Application Method for Creating Healing Environment in Hospital's Interior Spac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 20, no. 5 p. 245, 2011. 

  2. EunJin Le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Checklist in the Public Space of the General Hospitals by the Analysis of Users' Types", Chung-ang Univ. Master Thesis, p. 23, 2006. 

  3. JiHye Son, NaeWon, Yang, "A Study on the Change of Paradigm and Analysis of Qualitative Space in Public Spac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 23, no. 6 p. 219, 2014. 

  4. SungWoo Jo, "A study of spatial visualization of digital signage appear in the office building lobbies", Konkuk Univ. Master Thesis, p. 9, 2011. 

  5. JinHui Han, "A Study on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of the Public Space in the Women's Hospital", Hanyang Univ. Master Thesis, p. 23, 2003. 

  6. Richard L Kobus, Ronald L Skaggs, Michal Bobrow, Julia Thomas, Thomas M Payette, Building Type Basics for Healthcare Facilities, p. 311, Kimoondang, 2014. 

  7. Kwangseok Choi, Khilchae Kim, "A Study on the Supportive Design Conditions for the Hospital Stress in Korea",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ol. 8, no. 1, 2002. 

  8. YongWoo Kim, NaeWon Yang,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Improvement of the Healing Environment in Multi-bed Room of General Hospitals",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 36, 2003. 

  9. SeungHwan Park, "Derivation of the Major Factors for the Healing-Environment Elements in Women's Hospital by the Analysis of Priority",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Design, vol. 23, no. 3, 2007. 

  10. SukBum Han, JaeSeung Park,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Healing Environment for Public Hospital wards considering Elderly Inpatient Characteristics",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ol. 20, no. 3, 2014. 

  11. Yunjung Sung, Jiyoung An, Jinkyung Paik, "A Review of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guidelines of the supportive design of healing environments",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 26, no. 1, 2013. 

  12. MinSoo Park,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the healing environment of outpatient waiting space at the domestic general hospitals in the patient-centered aspects", Chung-ang Univ. Master Thesis, 2005. 

  13. Eunmi Choi, "A Study on Expres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ior Landscape Designs As Healing Environment Element", Chung-ang Univ. Master Thesis, 2012. 

  14. World Health Organization(http://www.who.in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