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형복합재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Improvemen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Large-scale Complex Disast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5, 2018년, pp.176 - 183  

김태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융합연구본부) ,  윤준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융합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 급속한 도시화, 인구집중 및 SOC 시설물 구축 등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재난 재해 발생빈도와 피해규모는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에는 자연재난, 인위재난 및 사회적 재난 등이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발생하는 대형복합재난 발생이 국내외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도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는 국가 R&D 및 정보화 사업을 통해 지진, 풍수해, 태풍, 대설, 가뭄 등 개별 자연재난에 대한 피해예측 및 대응기술개발에 많은 진전이 있었으나, 대형복합재난의 효율적 대응 및 관리를 위한 제도적 기반은 크게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자연 및 사회재난의 대표적 사례와 관련 재난별 국내 재난대응관리시스템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복합재난 관리정책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및 대응매뉴얼 보완방안을 제안하며, 효율적 대응을 위한 통합지휘체계로 의 전환추진 및 부처/부서간 협력체계 구축과 재난대응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훈련체계 강화방안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mate change, rapid urbanization, and population concentration have led to a higher frequency and magnitude of disasters in the world. Recently, the occurrence of large-scale complex disasters, which are caused by a combination of natural disasters, man-made disasters, and social disasters, is i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형복합재난은 기후변화, 인구의 도시집중, SOC 시설물의 증가 등으로 점점 더 발생확률이 증가하고 있고, 연속성, 복합성, 대형화라는 특성 때문에 기존 단일재난 대응체계로는 효율적인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생된 대규모 자연 및 사회재난 대표사례와 현재 개발 및 운용중인 재난별 대응시스템 등을 조사․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대형복합재난 관리정책 지원을 위한 법제도 개선을 위해 기본법상에 대형복합재난에 대한 정의 및 복합재난 대응매뉴얼부분을 추가하여 대형복합재난 대응 및 관련부처 연계협력을 위한 법적 근거를 강화하고, 대형복합재난 위기관리 매뉴얼의 현업활용 수준 개정 및 관련된 기존 개별재난 매뉴얼과 상호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존 매뉴얼들의 수정보완 추진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형복합재난이란 무엇인가? 대형복합재난이란 위의 사례와 같이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이 연쇄적 혹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으로, 인명, 재난, 기반시설 마비 등 피해가 극심하여 범부처의 통합적 대응이 필요한 재난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그 특성상 연속성, 복합성, 대형화되며 다수의 부처 혹은 부서가 대응해야하기 때문에 기존의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의 대응체계로는 효율적인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미국에서는 기본법인 스태포드법(Staford Act, Robert T.
대형복합재난이 기존의 대응체계로는 효율적인 대응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대형복합재난이란 위의 사례와 같이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이 연쇄적 혹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으로, 인명, 재난, 기반시설 마비 등 피해가 극심하여 범부처의 통합적 대응이 필요한 재난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그 특성상 연속성, 복합성, 대형화되며 다수의 부처 혹은 부서가 대응해야하기 때문에 기존의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의 대응체계로는 효율적인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미국에서는 기본법인 스태포드법(Staford Act, Robert T.
우리나라에서 2015년 5월 발생한 중동호흡기증후군의 발생원인은 무엇인가? 2015년 5월에 발생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은 우리나라 전국을 공포에 몰아넣었으며, 이동제한 및 산업침체와 같은 다양한 분야로의 피해를 야기시켰다. 발생원인은 카타르를 거쳐 바레인으로부터 인천공항으로 입국한 내국인 남성 1명이 메르스 환자로 처음 확진되었고, 이후 병원감염 및 접촉 등으로 퍼져 나갔으며, 최종 메르스 확진 환자 수는 186명, 사망자는 38명으로 발표되었다. 메르스 첫 확진환자 발생일인 5월 20일부터 사실상 종식을 발표한 7월 28일까지 70일이 걸렸으며,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격리자 수는 1만 6693명에 달하였고 이중 하루 최대 6729명이 격리되기도 한 대형 감염병 사례로 의료체계 마비 등 사회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Disaster annual report", 2015. 

  2. KICT, "Development of scenario-based large-scale complex disaster prediction and evaluation system",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6. 

  3. MPSS "Comprehensive measures for large complex disasters", 2016. 

  4. C. Y. Song, S. H. Park, "Strategy for Improvement of Disaster Response System of Hybrid Disaster in Korea", Journal of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1(3), pp. 045-065, 2017. DOI: https://doi.org/10.11112/jksmi.2017.21.3.045 

  5. J. Y. Heo, "Extraction of large-scale disaster scenarios and preparation of advance response system",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pp. 6-8, 2012. 

  6. W. C. Youn, "Enhancement of Resilience based on Situation Awareness for Compound Disaster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p. 1-9, 2015. 

  7. Y. T. Kim, H. H. Kwon, "Combined Disaster Management of Domestic and Overseas Infrastructure (CIP) for Public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 communications magazine, pp. 65-71, 2017. 

  8. J. Y. Lee, W. K. Lee, "Hybrid Disaster Response and Crisis Management System in Korea", Journal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ory and Praxis, 10(9), pp. 15-31, 2014. DOI: http://dx.doi.org/G704-SER000001473.2014.10.9.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