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
Job Satisfaction, Job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5, 2018년, pp.459 - 469  

김봉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강희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는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를 조사하고 비교하여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비교조사 연구이다.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6개 병원에서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181명으로,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5월 16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였고, t-test, 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에서 집단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가 직무만족 점수는 더 높았고,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 점수는 더 낮았다. 또한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는 직무스트레스(r=.39, p=<.001)와 직무소진(r=.43, p=<.001)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고, 직무만족(r=-.66, p=<.001)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해 직무 관련해서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and compare job satisfaction, job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181 nurses from six hospitals providi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in G metropoli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를 비교,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효과적인 간호인력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 및 직무 관련 특성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일반적 및 직무 관련 특성은 연령, 종교, 결혼여부, 학력, 총 임상경력, 근무형태, 이직경험, 급여수준, 직위를포함한 9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병인이란 직업이 생겨나게 된 배경은?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지침 개정을 통하여 병원의 다양한 진료특성, 환자 중증도 등을 고려해 더 많은 병원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 모형을 확대·신설하여 적용하고 있다[1]. 전통적으로 가족구성원이 간병을 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 진출확대 등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해 간병을 할 수 있는 가족구성원이 감소하였고[2], 가족의 순기능과 역할이 축소되면서 가족 내에 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가족 구성원일부가 환자를 직접 돌보는 것이 어려워져 환자를 돌볼대리자로서 1980년대부터 간병인이란 직업이 생겨나게되었다[3]. 하지만 간병인에 의한 현재의 간병문화는 입원서비스의 질 저하뿐만 아니라[4], 환자 당 연간 275만원의 고비용의 간병비용을 지출하는 등 간병인 고용에연 2조원의 경제적 부담을 발생시켰다[5].
간병인에 의한 현재의 간병문화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을 해결하고자 정부의 노력은? 하지만 간병인에 의한 현재의 간병문화는 입원서비스의 질 저하뿐만 아니라[4], 환자 당 연간 275만원의 고비용의 간병비용을 지출하는 등 간병인 고용에연 2조원의 경제적 부담을 발생시켰다[5]. 이에 정부는간병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입원서비스의 질 향상과 불필요한 간병비 부담해소를 위해 간병인 또는 가족을 대신하여 전문적인 지식과 술기를 갖춘 간호사와 간호 보조 인력이 함께 팀을 이루어 간호체계 운영 및 병동 환경 개선을 통해 환자에 대한 양질의 간호 서비스를제공하게 되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 Guid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Interne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 [cited 2017 Feb. 28],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40/21012 (accessed Nov., 10, 2017) 

  2. N. M. Hwang, "Expansion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for Medical Service Hospital", Issue & Focu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vol. 286, pp. 1-8. 2015. 

  3. J. H. Gong, W. M. Kim, "A Study on the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of Care-giving Service in Korea compare to Jap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n Culture, vol. 45, pp. 461-480, 2015. DOI: http://dx.doi.org/10.17949/jneac.1.45.2015.12.026 

  4. Y. K. Lee, "Policy Issues on the Introduction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System", KIHM Policy, vol. 23, 2015. 

  5. Y. H. Kwak, "Details and Problems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Pilot Project", Research institute for heakthcare policy, vol. 13, no. 2, pp. 50-55, 2015. http://uci.or.kr/G901:A-0003806159 

  6. M. K. Lee, D. Y. Jung, "A study of nursing tasks,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1, no. 3, pp. 287-296, 2015.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3.287 

  7. S. E. Kim, J. Y. Han, "Clinical Nurses' Job Stress, Emotional labor, Nursing Performance, and Burnout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Gener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3, no. 3, pp. 336-345, 2017.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3.336 

  8. I. D. Lee, "The Lessons from the Demonstration Project to Develope Comprehensive Nursing Care in Seoul Medical Center",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 19, no. 3, pp. 70-78, 2014. UCI : I410-ECN-0102-2015-300-000201587 

  9. J. M. Lee, "Comparative Study about the Clinical Nurse'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between a Nursing Care System Wards and a General Wards", Social Science Research, vol. 6 pp. 1-48, 2016. 

  10. S. K. Cha, I. S. Shin, K. Y. Kim, B. Y. Lee, S. Y. Ahn, H. S. Jang, E. J. Kwan, D. H. Kim, "The Degrees of Emotional Labor and the Its Related Factors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5, no. 2, pp. 23-35, 2009. UCI: http://uci.or.kr/G704-000921.2009.15.2.003 

  11. I. S. Kim,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Turn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vol. 15, no. 4, pp. 515-526, 2009. 

  12. G. Mark, A. Smith, "Occupational Stress, Job Characteristics, Coping, and the Mental Health of Nurses",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7, no. 3, pp. 505-521, 2012. DOI: https://doi.org/10.1111/j.2044-8287.2011.02051.x 

  13. J. K. Kim, M. J. Kim, "A Review of Research on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4, pp. 538-550, 2011.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538 

  14. N. S. Lee, M. S. Koh, "Comparative Study for the Clinical Nurses' Work Satisfacti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 in General Ward,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Anshim Uni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 pp. 516-526,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1.516 

  15. S. M. Chung, S. H. Yun, "Comparative Analysis Research of In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o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nits & General Units and Nurses' Work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3, no. 3, pp. 229-238, 2017.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3.229 

  16. J. A. Im,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Job Stres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Seongnam: Gacho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5. 

  17. D. B. Slavitt, P. L. Stamps, E. B. Piedmont, A. M.. Haase,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vol. 27, no. 2, pp. 114-120, 1978. DOI: https://doi.org/10.1097/00006199-197803000-00018 

  18. H. S. Park,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ursing Care Role Orientation, Job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among Nurses", Seoul: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2. 

  19. M. O. Koh, M. J. Kim, "An Analytical Study of Work Stress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15, no. 3, pp. 39-49, 1985. DOI: https://doi.org/10.4040/jnas.1985.15.3.39 

  20. J. H. Ju, "ER Nurses's Job Stress Main Factors Influencing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oul: Kyunghee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9. 

  21. C. Maslach, S. E. Jackson,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vol. 2, no. 2, pp. 99-113, 1981. DOI: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22. H. Y. Jung,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Violence Experience, Coping and Burnout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Busan: Inje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8. 

  23. E. E. Lawler, "Satisfaction and Behavior", NY McGrow Hill Companies, 1983 

  24. H. J. Choi, "Moder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between Job . Organizational . Career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1, no. 3, pp. 297-307, 2015.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3.297 

  25. O. S. Shim, H. J. Lee, "A Comparative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Nurses in General Ward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7, No6, pp. 25-33, 2017. DOI: http://doi.org/10.22156/CS4SMB.2017.7.6.025 

  26. J. S. Kang, J. Y. Lim,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on Job Stress and Burnou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11, pp. 263-273, 2015. DOI: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263 

  27. S. M. Wi, Y. J. Yi, "Influence of Emotional Laboron Job Satisfaction, Intent to Leav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8, no. 3, pp. 310-319, 2012.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3.310 

  28. Y. S. Bong, H. S. So, H. S. You,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5, no. 3, pp. 425-433, 2009. 

  29. K. J. Lee, S. Y. Yoo, "Relationships between Nurses' Ethical Dilemma, Coping Typ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Korea",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7, no. 1, pp. 1-15, 2011. 

  30. Y. K. Go, "The Level of Stress of Dimensional Job Stress of Hospital Nursing Staff",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vol. 17, no. 3, pp. 227-236, 2009. 

  31. M. M. Park, S. J. Han, "Relations of Job Satisfaction with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Personal Resources in Home Healthcare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vol. 24, no. 1, pp. 51-61, 2013. DOI: http://doi.org/10.12799/jkachn.2013.24.1.51 

  32. G. Costa, "The impact of shift and night work on health", Applied Ergonomics, vol. 27, no. 1, pp. 9-16, 1996. DOI: https://doi.org/10.1016/0003-6870(95)00047-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