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업장 업종과 규모에 따른 근로자 건강증진 요구도 및 활동도 비교
Comparison of Requirement and Activity of Workers' Health Promotion according to Business Type and Enterprise Size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7 no.2, 2018년, pp.131 - 138  

이진화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이복임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requirement and activity related to workers' health promotion according to business type and enterprise size.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extracted from a survey on the Enterprise Health Promotion Index.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업장 업종과 규모에 따라 근로자 건강증진 요구도와 활동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기존의 기업건강증진지수 조사 자료를 활용한 이차분석 연구(secondary analysis)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로자 건강증진활동이란 무엇인가? 근로자 건강증진활동은근로자 개개인의 건강행태와 건강수준을 향상시키는 한편 조직의 건강문화를 정착시키는 주요한 전략 중 하나이다(Kirsten & Karch, 2012). 근로자의 건강수준이 향상되면 결근이 줄고 직무 수행도가 높아져 생산성이 향상되고 응급실 방문이나 입원이 줄어드는 등 보건의료비용이 감소되는 바(Sears, Shi, Coberley, & Pope, 2013), 근로자 건강증진활동은 기업을 넘어 국가경제 측면에서도 중요한 사안이다.
근로자 건강증진활동이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간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근로자 건강증진활동은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Yu, 2016). 이와 같이 근로자 건강증진활동이 전 사업장으로 확산되지 못하는 이유는 첫째, 건강증진활동이 근로자의 결근, 병가 등에 의한 손실비용을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수행되는 선진외국과는 달리 복지 혹은 부가서비스의 개념으로 인식되는 우리나라 기업문화(Yu, 2016)와 둘째, 건강증진활동의 효과가 나타나는 데는 장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사업주의 관심과 투자가 낮은 것(Kim & Lee, 2016), 셋째, 건강증진활동을 생산비용을 증가시키거나 생산품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낭비적 요소로 간주하는 사업주의 낮은 인식도(Yi, Jung, Cho, Lee, 2013)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사업장 특성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정부 지원제도 또한 그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근로자 건강증진활동이 국가경제 측면에서 중요한 사안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 근로자 건강증진활동은근로자 개개인의 건강행태와 건강수준을 향상시키는 한편 조직의 건강문화를 정착시키는 주요한 전략 중 하나이다(Kirsten & Karch, 2012). 근로자의 건강수준이 향상되면 결근이 줄고 직무 수행도가 높아져 생산성이 향상되고 응급실 방문이나 입원이 줄어드는 등 보건의료비용이 감소되는 바(Sears, Shi, Coberley, & Pope, 2013), 근로자 건강증진활동은 기업을 넘어 국가경제 측면에서도 중요한 사안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 제정을 시작으로 근로자 건강증진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r, K. T., Kim, I. W., Koh, S. B., Hyun, S. J., Park, J. H., Park, J. K., et al. (2008).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al stress with selfperceived fatigue in white collar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3), 182-192. 

  2. Gwon, B. H. (2016). Strategy for workers' health protection in smallsized company. Industrial Health, 2335, 38-43. 

  3. Ha, Y. M., & Park, H. J. (2016). Effect of job insecurity on job related depression and anxiety: Large- and small-sized company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4), 329-339. https://doi.org/10.5807/kjohn.2016.25.4.329 

  4. Jung, H. S., Kim, S. Y., Lee, B. I., Yi, Y. J., Ha, Y. M., Kim, M. J., et al. (2014). Model and strategies development for improving the workplac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Uls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5. Kim, E. J., & Park, J. S. (2009). Comparison of health problems, conditions, &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risky environment among various industrial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1), 71-83. 

  6. Kim, E. K., Kim, B. G., Park, J. T., Kim, H. R., & Koo, J. W. (2007).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9(1), 56-64. 

  7. Kim, Y. I., & Lee, B. I. (2016). Comparison of occupational health providers' perception on workers' health promotion program by business types: Focusing on need, necessity, performance, barriers, and effectiveness of progra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1), 29-40. https://doi.org/10.5807/kjohn.2016.25.1.29 

  8. Kim, Y. I., Jung, H. S., Lee, S. Y., Kim, S. L., Kim, S. Y., & Lee, K. J. (2006). A survey of workplac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their health promotion program nee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2), 195-209. 

  9. Kirsten, W., & Karch, R. (2012). Global perspectives in workplace health promotion. Sudbury, MA: Jones & Bartlett Learning; 2012. 

  10. Lang, J., Cluff, L., Rineer, J., Brown, D., & Jones-Jack, N. (2017). Building capacity for workplace health promotion: Findings from the $Work@Health^{(R)}$ Train-the-Trainer program. Health Promotion Practice, 18(6), 902-911. https://doi.org/10.1177/1524839917715053 

  11. Lee, B. I. (2015). Gender differences in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interactive serv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2), 132-141. https://doi.org/10.5807/kjohn.2015.24.2.132 

  12. Lee, B. I., Jung, H. S., Kim, S. Y., Yi, Y. J., & Lee, J. H. (2017a). Evaluation criteria of enterprise health promotion index. Ulsan: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13. Lee, J. H., Ryoo, J. J., Yu, Y. S., & Lee, B. I. (2017b). Evaluation on criterion validity of enterprise health promotion index.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6(1), 1-9. https://doi.org/10.5807/kjohn.2017.26.1.1 

  14.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8). 2016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Sejong: Author. 

  15. Nishi, D., Suzuki, Y., Nishida, J., Mishima, K., & Yamanouchi, Y. (2017). Personal lifestyle as a resource for work engagement.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59(1), 17-23. https://doi.org/10.1539/joh.16-0167-OA 

  16. Sears, L. E., Shi, Y., Coberley, C. R., & Pope, J. E. (2013). Overall well-being as a predictor of health care, productivity, and retention outcomes in a large employer. Population Health Management, 16, 397-405. 

  17. Yi, Y. J., Jung, H. S., Cho, D. Y., & Lee, B. I. (2013). Impact of subsidies for labor and management-directe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n industrial accidents preven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3), 249-256. https://doi.org/10.5807/kjohn.2013.22.3.249 

  18. Yu, Y. S. (2016). Promoting strategies of the enterprise health promotion index for workplace health promotio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Issue Report, 10(3), 26-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