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이 임상실습 관련 무력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Nursing Students' Powerlessness and Self-Efficacy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4 no.1, 2018년, pp.36 - 43  

오윤경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영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nursing students' powerlessness and self-efficacy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Methods: Participants were 149 nursing students from a university who had completed their clinical practicum in B c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관련 무력감 및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일반적 특성들을 통제한 후 임상실습교육환경이 임상실습관련 무력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임상실습교육환경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관련 무력감 및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실습은 간호대학생에게 있어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오늘날 보건의료 환경은 능숙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간호사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간호교육에서도 이론교육과 더불어 임상실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 임상실습은 학습한 내용을 간호현장에 적용하도록 하며 간호대학생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창의력을 길러주는 학습 과정이다[2]. 임상실습을 통하여 간호대학생은 다양한 임상현장에서의 배움을 경험하고, 간호사의 역할과 간호술기를 학습하며, 대상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임상수행능력을 배우게 된다.
임상실습교육환경이란 무엇인가? 최근 임상실습의 질을 높이기 위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임상실습교육환경은 이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4]. 임상실습교육환경(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CLE)이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총체적인 것으로[5], 간호관리자의 태도, 분위기, 직원과 학생과의 관계 등과 같은 임상 환경에서 상호작용하는 힘들의 네트워크이다[1]. 이는 간호대학생이 간호기술과 지식을 획득하는데 영향을 미치며, 실습을 위한 준비와 조직적인 기술, 그리고 역할 수행의 자신감을 가지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5, 6].
임상실습교육환경의 특징은 무엇인가? 임상실습교육환경(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CLE)이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총체적인 것으로[5], 간호관리자의 태도, 분위기, 직원과 학생과의 관계 등과 같은 임상 환경에서 상호작용하는 힘들의 네트워크이다[1]. 이는 간호대학생이 간호기술과 지식을 획득하는데 영향을 미치며, 실습을 위한 준비와 조직적인 기술, 그리고 역할 수행의 자신감을 가지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5,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Dunn SV, Burnett P. The development of a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sca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5;22(6):1166-1173.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5.tb03119.x 

  2. Locken T, Norberg H. Reduced anxiety improves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hrough utilization of mentoring triad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5;48(1):17-23. 

  3.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The essential clinical resource for nursing academic missions [Internet].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008 [cited 2014 March 17]. Available from: http://www.aacn.nche.edu/education-resources/Clinical Essentials99.pdf 

  4. Song JH, Kim MW. Study on clinical education for nursing in hospital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2):251-264.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251 

  5. Chan D. Development of an innovative tool to assess hospital learning environments. Nurse Education Today. 2001;21(8):624-631. https://doi.org/10.1054/nedt.2001.0595 

  6. Midgley K. Pre-registration student nurses perception of the hospital-learning environment during clinical placements. Nurse Education Today. 2006;26(4):338-345. https://doi.org/10.1016/j.nedt.2005.10.015 

  7. Lee AK, You HS, Park IH. Affecting factors o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2):154-163.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2.154 

  8. Lee JE, Kim SL.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5;11(1):98-106. 

  9. Whang SJ.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6;12(2):205-213. 

  10. Lee KH. Mediation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powerlessness and nursing imag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0;16(1):26-34. 

  11. O'Kell S.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style,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teaching preference of learner nurses in one health district. Nurse Education Today. 1988;8(4):197-204. https://doi.org/10.1016/0260-6917(88)90149-9 

  12. Ahn EK. A model for clinical nurses' self-efficacy and work performance [dissertation]. Daeg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0. pp. 1-147. 

  13. Pakieser-Reed K. Nursing practice self-efficacy and nursing practice outcome expectations for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dissertation]. Milwaukee:The University of Wisconsin; 2006. pp. 1-224. 

  14. Kendall S, Bloomfield L. Developing and validating a tool to measure parenting self-efficac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1(2):174-181. https://doi.org/10.1111/ j.1365-2648.2005.03479.x 

  15. Han JY, Park HS. Effects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3):365-372. 

  16. Kim EY, Yang SH. Effects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anxie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4):417-425.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4.417 

  17. Han JY.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CL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2010;12(5):2595-2607. 

  18. Koh JE.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powerlessness in the elderly.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2001;19:125-138. 

  19. Miller J. Powerlessness: Coping with chronic illness.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1983. 

  20. Bandura A.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986;4(3):359-373. https://doi.org/10.1521/jscp.1986.4.3.359 

  21. Harvey V, McMurray N. Self-efficacy: A means of identifying problems in nursing education and career prog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1994;31(5): 471-485. https://doi.org/10.1016/0020-7489(94)90017-5 

  22. Kim YM. Neighborhood environment, family environment stress, and learned helplessness among adolescents.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0;36(12):232-262. 

  23. Han JJ.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self-efficacy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en's University; 2012. 

  24. Shin EJ. A study related to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practice an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8;15(3):380-386. 

  25. Hong SS, Park MJ.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helplessness on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12):369-377. 

  26. Park JW, Ha NS.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3;12(1):27-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