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 후기 임부의 임신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피로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Fatig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Stress and Depression during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4 no.1, 2018년, pp.81 - 89  

김미옥 (단국대학교) ,  김영란 (단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aimed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fatig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stress and depression during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Methods: We surveyed 161 pregnant women at a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in Korea from October to November, 2017. Data were analyzed b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자의 임신스트레스, 피로, 우울 정도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 임신스트레스, 피로 및 우울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데에 있다. 또한 대상자의 피로가 임신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8주 이상의 임신 후반기 임부를 대상으로 임신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피로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신 후반기 임부를 대상으로 임신스트레스, 피로 및 우울의 정도와 임신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피로의 매개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임부의 임신 적응과 정서관리를 돕고, 이들을 위한 효율적인 상담과 간호중재 기틀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임신 후반기 임부의 임신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 있어 피로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임부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자의 임신스트레스, 피로, 우울 정도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 임신스트레스, 피로 및 우울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데에 있다. 또한 대상자의 피로가 임신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위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피로는 임부가 임신기간 동안 경험하는 신체적 변화에 영향 받을 뿐만 아니라 임신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심리적 변화의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피로가 임신 중 임부가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을 직, 간접적으로 중재하는 주요 중재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임신 중 피로시기가 가장 높은 임신 후반기 임부를 대상으로 임신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 있어 피로가 매개변수로서 효과를 가지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임신 후반기 임부의 신체적, 정서적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효율적인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부의 신체적 스트레스원은 무엇인가? 4%의 임부가 피로를 경험하고 있음을 보고하였고, Kim[11]은 임부의 피로는 임신 전 기간에 걸쳐 나타나지만, 임신기간에 따라 그 정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즉, 임신 중기로 진행되면서 임부의 피로 수준은 점차 상승되어 임신 후기에는 태아의 무게, 체중 증가, 신체구조를 긴장시키는 기전과 관련된 생리적 요구로 피로가 증가하게 되며[8], 임부가 경험하는 빈뇨, 호흡곤란, 요통 등의 불편감은 임부의 신체적 스트레스원으로 작용하여 임부의 피로를 가중시키게 된다[11].
임신 기간에 따라 임부의 피로도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4%의 임부가 피로를 경험하고 있음을 보고하였고, Kim[11]은 임부의 피로는 임신 전 기간에 걸쳐 나타나지만, 임신기간에 따라 그 정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즉, 임신 중기로 진행되면서 임부의 피로 수준은 점차 상승되어 임신 후기에는 태아의 무게, 체중 증가, 신체구조를 긴장시키는 기전과 관련된 생리적 요구로 피로가 증가하게 되며[8], 임부가 경험하는 빈뇨, 호흡곤란, 요통 등의 불편감은 임부의 신체적 스트레스원으로 작용하여 임부의 피로를 가중시키게 된다[11].
임신 중 우울 및 산후우울을 겪는 임부의 비율은 얼마인가? Meijer 등[5]에 따르면, 임신스트레스는 임신 중 우울 및 산후우울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임신 중 스트레스 관리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실제, Lee와 Kweon[6]의 연구에서 임신 중 우울 임부의 비율은 28.9%이었으며, Silva 등[7]에서는 임신 중 우울을 경험한 임부의 46.9%에서 산후우울이 나타났음을 보고하면서 산전에서 산후에 이르기까지 우울에 대한 지속적인 사정과 관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 H, Bang H. A reason of Korean women’s avoidance tendency of marriage and child-bearing: Gender role stereotype.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05;10(1):95-112. 

  2. Statistics Korea. Statistics are viewing the lives of women 2017 [cited 2017 August 22].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46961. 

  3. Sohn S. An analysis of low fertility in Korean society by phase and gender-sensitive discussions. Discourse. 2007;201(10):1. 

  4. Kim S, Cho A, Kim Y, Do S, Lee K. The survey on the national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p. 310. 

  5. Meijer JL, Bockting CL, Stolk RP, Kotov R, Ormel J, Burger H. Associations of life events during pregnancy with longitudinal change in symptoms of antenatal anxiety and depression. Midwifery. 2014;30(5):526-31. 

  6. Lee ME, Kweon YR.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1;20(3):252-60. 

  7. Silva R, Jansen K, Souza L, Quevedo L, Barbosa L, Moraes I, et al. Sociodemographic risk factors of perinatal depression: a cohort study in the public health care system. Revista Brasileira de Psiquiatria. 2012;34(2):143-8. 

  8. Cheng CY, Chou YH, Wang P, Tsai JM, Liou SR. Survey of trend and factors in perinatal maternal fatigue. Nursing & Health Sciences. 2015;17(1):64-70. 

  9. Tsai S-Y, Lin J-W, Kuo L-T, Thomas KA. Daily sleep and fatigue characteristics in nulliparous women during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Sleep. 2012;35(2):257-62. 

  10. Nazik E, Eryilmaz G. Incidence of pregnancy-related discomforts and management approaches to relieve them among pregnant wome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4;23(11-12):1736-50. 

  11. Kim HK. A Study on pregnancy stress and related factors in pregnant women: [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 2015. 

  12. Hart R, McMahon C. Mood stat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o pregnancy.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006;9(6):329-37. 

  13. Chou F-H, Kuo S-H, Wang R-H. A longitudinal study of nausea and vomiting,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in, and social support for, pregnant women through the three trimesters. The Kaohsiung Journal of Medical Sciences. 2008;24(6):306-14. 

  14. Chung M-Y, Hwang K-H, Cho O-H.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sleep disturbance, and gestational stress among pregnant women in the Late Stag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3):195-203. 

  15. Chien LY, Ko YL. Fatigue during pregnancy predicts caesarean deliveri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4;45(5):487-94. 

  16. Jeong GH, Kim SJ. Differences of women’s perception of fatigue according to the period of pregna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3):731-40. 

  17. Kim Y, Chung CW. Development of the Korean pregnancy stress scale.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8;15(2):113-24. 

  18. Cox JL, Holden JM, Sagovsky R.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87;150(6):782-6. 

  19. Kim YK, Hur JW, Kim KH, Oh KS, Shin YC. Clinical application of Korean version of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8;47(1):36-44. 

  20. Yoshitake H. Relations between the symptoms and the feeling of fatigue. Ergonomics. 1971;14(1):175-86. 

  21. Milligan RA, Parks PL, Kitzman H, Lenz ER. Measuring women’s fatigue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997;5(1):3-16. 

  22. Pugh LC, Milligan R. A framework for the study of childbearing fatigu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93;15(4):60-70. 

  23. Song JE. Predictors of postpartum fatigue between early and late postpartum period in parturient women: divided by 3/4 weeks of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13(4):299-309. 

  24.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82. 

  25. Mallard SR, Connor JL, Houghton LA. Maternal factors associated with heavy periconceptional alcohol intake and drinking following pregnancy recognition: a post-partum survey of New Zealand women. Drug and Alcohol Review. 2013;32(4):389-97. 

  26. Choi SK, Ahn SY, Shin JC, Jang DG. A clinical study of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9;52(11):1102-8. 

  27. Bennett HA, Einarson A, Taddio A, Koren G, Einarson TR. Prevalence of depression during pregnancy: systematic review. Obstetrics & Gynecology. 2004;103(4):698-709. Epub 2004/03/31. https://doi.org/10.1097/01.AOG.0000116689.75396.5f. PubMed PMID: 15051562. 

  28. Kim M, Ko J-M. Factor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6;33(3):25-35. 

  29. Song JE. A structural model of postpartum fatigue of the primipara in Korea.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2006. 

  30. Corwin EJ, Arbour M. Postpartum fatigue and evidence-based interventions. MCN: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2007;32(4):215-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