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봉선화 꽃외화밀 생산에 곤충 초식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ect herbivory on extrafloral nectar production of Impatiens balsamin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0 no.2, 2018년, pp.131 - 135  

남기정 (경상대학교 생물교육과.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이 생산하는 꽃외화밀(extrafloral nectar)은 주로 단당류, 이당류로 구성되어 있는 액체로서, 개미나 기생벌 등 초식 곤충의 천적을 유인하는 식물의 간접 방어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봉선화를 이용하여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이 곤충의 초식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실험은 곤충 초식 방식 두 가지 (잎을 씹어먹는 타입과 체관 액체를 빨아먹는 타입)를 인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1) 봉선화 잎을 기계적으로 손상시키는 방법 (simulated herbivory), 2) 봉선화 잎을 기계적으로 손상시킨 후 자스몬산 그리고 나방 애벌레 타액이 섞인 토사물(regurgitate)의 두가지 유도물질(elicitor)을 잎에 처리하는 방법 (simulated herbivory + elicitor application), 3) 초식곤충인 진딧물을 봉선화 잎에 인위적으로 감염시키는 방법 (aphid feeding) 등 총 3가지 방법으로 식물을 처리하고, 이후 나타나는 봉선화의 꽃외화밀 생산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은 기계적 손상, 기계적 손상+유도물질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는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이 나비나 나방 애벌레 등 잎을 씹어먹는 방식으로 섭식하는 곤충의 초식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음을 시사한다. 반면에 진딧물 섭식에 의해서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량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진딧물 등의 체관 내용물을 빨아먹는 방식으로 섭식하는 곤충의 초식에는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음을 시사한다. 진딧물의 밀도와 꽃외화밀의 생산량 감소와는 상관성을 발견하지 못했는데, 이는 봉선화 잎의 꽃외화밀 생산에 미치는 진딧물의 영향이 광합성 산물의 일부가 진딧물에 의해 소모되기 때문에 생기는 결과라는 증거는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nts produce extrafloral nectar (EFN), liquid of carbohydrates to protect themselves against various insect herbivores through attracting natural enemy, ants, wasp and parasitoids, so EFN production is well known as one of indirect defense mechanisms. In many plants, EFN production is increased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1) 봉선화의 꽃외화밀 생산은 유도 (induced)되는가. 즉 잎이 기계적으로 손상을 입거나 곤충에 의해 기계적으로 섭식될 때 꽃외화밀의 생산량이 변화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꽃의 화밀은 어떤 역할을 하는 가? 식물의 화밀 (nectar)은 주로 단당류나 이당류로 구성된 액체로 식물체 지상부 어디에서든 발견될 수 있다. 꽃의 화밀 (floral nectar)은 수분자와의 상리공생의 관점에서 식물-곤충간의 이로운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Pyke 1991). 반면 꽃 이외의 장소에서 생산되는 화밀 (extrafloral nectar)는 개미나 기생벌 등을 유인하는 유인책으로 식물의 간접 방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Marazzi et al.
꽃외화밀은 무엇인가? 식물이 생산하는 꽃외화밀(extrafloral nectar)은 주로 단당류, 이당류로 구성되어 있는 액체로서, 개미나 기생벌 등 초식 곤충의 천적을 유인하는 식물의 간접 방어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봉선화를 이용하여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이 곤충의 초식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이 기계적 손상에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이 무엇을 시사하는 가? 실험 결과,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은 기계적 손상, 기계적 손상+유도물질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는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이 나비나 나방 애벌레 등 잎을 씹어먹는 방식으로 섭식하는 곤충의 초식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음을 시사한다. 반면에 진딧물 섭식에 의해서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량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진딧물 등의 체관 내용물을 빨아먹는 방식으로 섭식하는 곤충의 초식에는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음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jbory, Z and Chen, MS (2016). Indirect plant defense against insect herbivores: a review. Insect Science, 25(1), pp. 2-23. [DOI: 10.1111/1744-7917.12436] 

  2. Bixenmann, RJ, Coley, PD and Kursar, TA (2011). Is extrafloral nectar production induced by herbivores or ants in a tropical facultative ant-plant mutualism? Oecologia, 165(2), pp. 417-425. [DOI: 10.1007/s00442-010- 1787-x] 

  3. Bolton, AB, Bolten, AB, Feinsinger, P, Baker, HG, Baker, I and Freisinger, P (1979). On the calculation of sugar concentration in flower nectar. Oecologia, 41(3), pp. 301-304. [DOI: 10.1007/bf00377434] 

  4. Burquez, A and Corbet, SA (1991). Do Flowers Reabsorb Nectar? Functional Ecology, 5(3), pp. 369-379. [DOI: 10.2307/2389808] 

  5. Carrillo, J, Wang, Y, Ding, J and Siemann, E (2012). Induction of extrafloral nectar depends on herbivore type in invasive and native Chinese tallow seedlings. Basic and Applied Ecology, 13(5), pp. 449-457. [DOI: 10.1016/j.baae.2012. 07.006] 

  6. Choh, Y and Takabayashi, J (2006). Herbivore-induced extrafloral nectar production in Lima Bean plants enhanced by previous exposure to volatiles from infested conspecifics. J. of Chemical Ecology, 32(9), pp. 2073-2077. [DOI: 10.1007/s10886-006-9130-z] 

  7. Cynthia, MC, Domancar, OT and Heil, M (2014). Phloem Sugar Flux and Jasmonic Acid-Responsive Cell Wall Invertase Control Extrafloral Nectar Secretion in Ricinus communis. J. of Chemical Ecology, 40(7), pp. 760-769. [DOI: 10.1007/s10886-014-0476-3] 

  8. Escalante-Perez, M, Jaborsky, M, Lautner, S, Fromm, J, Muller, T (2012). Poplar extrafloral nectaries: two types, two strategies of indirect defenses against herbivores. Plant Physiology, 159(3), pp. 1176-1191. [DOI: 10.1104/ pp.112.196014] 

  9. Heil, M (2001). Extrafloral nectar production of the ant-associated plant, Macaranga tanarius, is an induced, indirect, defensive response elicited by jasmonic acid.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98(3), pp. 1083-1088. [DOI: 10.1073/pnas.031563398] 

  10. Heil, M, Greiner, S, Meimberg, H, Kruger, R and Noyer, JL, Heubl, G, Linsenmair, K and Boland, W (2004). Evolutionary change from induced to constitutive expression of an indirect plant resistance. Nature, 430(6996), pp. 205-208. [DOI: 10.1038/nature02703] 

  11. Heil, M (2015). Extrafloral Nectar at the Plant-Insect Interface: A Spotlight on Chemical Ecology, Phenotypic Plasticity, and Food Webs. Annual Review of Entomology, 60, pp. 213-32. [DOI: 10.1146/annurev-ento-010814-020753] 

  12. Holland, JN, Chamberlain, SA and Horn, KC (2009). Optimal defence theory predicts investment in extrafloral nectar resources in an ant-plant mutualism. Journal of Ecology, 97, pp. 89-96. [DOI: 10.1111/j.1365-2745.2008.01446.x] 

  13. Huang, W, Siemann, E, Carrillo, J and Ding, J (2015). Below-ground herbivory limits induction of extrafloral nectar by above-ground herbivores. Annals of Botany, 115(5), pp. 841-846. [DOI: 10.1093/aob/mcv011] 

  14. Marazzi, B, Bronstein, J and Koptur, S (2013). The diversity, ecology and evolution of extrafloral nectaries: current perspective and future challenges. Annals of Botany, 11(6), pp. 1243-1250. [DOI: 10.1093/aob/mct109] 

  15. Mondor, EB, Keiser, CN, Pendarvis, DE and Vaughn, MN (2013). Broad bean cultivars increase extrafloral nectary numbers, but not extrafloral nectar, in response to leaf damage. Open Journal of Ecology, 3(1), pp. 59-65. [DOI: 10.4236/oje.2013.31008] 

  16. Ness, J (2003). Catalpa bignonioides alters extrafloral nectar production after herbivory and attracts ant bodyguards. Oecologia, 134(2), pp. 210-218. [DOI: 10.1007/s00442- 002-1110-6] 

  17. Pulice, CE and Packer, AA (2008). Simulated herbivory induces extrafloral nectary production in Prunus avium. Functional Ecology, 22(5), pp. 801-807. [DOI: 10.1111/j.1365- 2435.2008.01440.x] 

  18. Pyke, GH (1991). What does it cost a plant to produce floral nectar? Nature, 350(6313), pp. 58-59. [DOI: 10.1038/ 350058a0] 

  19. Samocha, Y and Sternberg, M (2010). Herbivory by sucking mirid bugs can reduce nectar production in Asphodelus aestivus Brot. Arthropod-Plant Interactions, 4(3), pp. 153-158. [DOI: 10.1007/s11829-010-9091-6] 

  20. Smith, LL, Lanza, J and Smith, GC (1991). Amino acid concentration in extrafloral nectar of Impatiens sultani increase after simulated herbivory. Ecology, 71(1), pp. 107-115. [DOI: 10.2307/1940251] 

  21. Wacker, FL and Wunderlin, R (1999). Induction of cotton extrafloral nectar production in response to herbivory does not require a herbivore-specific elicitor. Entomologia Experimentalis et Applicata, 91, 149-154. [DOI: 10.1007/978-94-017-1890-5_18] 

  22. Wackers, FL, Zuber, D, Wunderlin, R and Keller, F (2001). The Effect of Herbivory on Temporal and Spatial Dynamics of Foliar Nectar Production in Cotton and Castor. Annals of Botany, 87(3), pp. 365-370. [DOI: 10.1006/anbo. 2000.1342] 

  23. War, AR, Paulraj, MG, Ahmad, T, Buhroo, AA, Hussain, B, Ignacimuthu, S and Sharma, HC (2012). Mechanisms of Plant Defense against Insect Herbivores. Plant Signaling & Behaviour, 7(10), pp. 1306-1320. [DOI: 10.4161/psb. 21663] 

  24. Xu, FF, Chen, J and Husson, J (2014). Leaf area lost, rather than herbivory type, determines the induction of extrafloral nectar secretion in a tropical plant (Clerodendrum Pilippinum). Arthropod-Plant Interactions, 8(6), pp. 513-518. 

  25. Yoshida, T, Kakuta, H and Choh, Y (2017). Pea aphids (Acyrthosiphon pisum Harris) reduce secretion of extrafloral nectar in broad bean (Vicia faba). Ecological Entomology, 43(1), pp. 134-136. [DOI: 10.1111/ een.124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