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시각적 다이어그램 구조화의 성별 및 추상적 사고 성향 차이 분석
Gender and Abstract Thinking Disposition Difference Analyses of Visual Diagram Structuring for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1 no.3, 2018년, pp.11 - 20  

박찬정 (제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현정석 (제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컴퓨팅 사고력을 학생들의 필수 역량으로 정한 것은 컴퓨터교육에서 중대한 변화이다. 컴퓨팅 사고력을 크게 추상화와 자동화, 창의융합으로 분류한 중등 정보교과는 문제해결과 프로그래밍 영역을 교육과정 안에 포함하였다. 또한 컴퓨팅 사고력의 하위요소들 중에서 자료 표현은 학습자들의 문제해결을 위한 자료와 정보의 구조화 능력을 중요시 하고 있다. 대학에서 정보 과목 중등 예비교사들도 다이어그램 작성을 통해 정보 구조화 과정을 배우고 있다. 학생 간에는 다이어그램 구조화 능력에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학생들의 구조화 능력 계발에 도움이 되는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어떤 학생들이 주어진 문제를 시각적 다이어그램으로 잘 구조화하는지 추상적 사고 성향과 성별 관점에서 차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구체적 사고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다이어그램의 특성에 따라 다른 사고가 요구되고 성별 차이가 있었다. 또한 추상적 사고 성향의 차이에 따라 다이어그램을 구조화하는데 차이를 보였다. 남녀 학생들의 사고 성향의 차이를 파악하여 이들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 찾는다면 컴퓨팅 사고력 향상이라는 교육목적을 달성하는데 유용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major change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that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is becoming an essential competency for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is divided into abstraction, automation, and creative convergence in the curriculum for secondary schools' Information subject.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 행동개념화 이론과 데이터베이스와 알고리즘 설계에서 많이 사용되는 시각적 다이어그램 구조화 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성별 간의 차이 분석을 통하여 수업 방법 개선에 목표를 두었다.
  • 본 논문은 컴퓨팅 사고력 요소 중에서 자료 표현 요소와 알고리즘과 절차 요소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의 시각적 다이어그램 구조화 능력에 대하여 어떠한 학습자들의 내면적 특성이 다이어그램 작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여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교육 방법을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가설을 검증하기 전에 성별 추상적/구체적 사고 성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의 설문대상인 남녀 대학생의 경우에 선행 연구와 동일하게 남학생들이 여학생보다 높은 추상적 사고 값을 가지고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표 2> 참고).
  • 이 절에서는 본 연구의 설문지에서 사용한 시각적 문해력, 개체관계도와 의사결정 트리의 개념과 의미를 소개한다. 시각적 문해력은 그림이 지닌 의미를 인식하는 능력으로 많은 연구에서 정의하고 있다[18][19].
  • 이 절에서는 추상적/구체적 사고 성향에 따라 문제해결력 차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추상적 사고 수준은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추상적 사고 값이 13.
  • 본 논문에서 행동개념화 이론과 데이터베이스와 알고리즘 설계에서 많이 사용되는 시각적 다이어그램 구조화 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성별 간의 차이 분석을 통하여 수업 방법 개선에 목표를 두었다. 컴퓨팅 사고력의 요소에는 자료 수집, 자료 분석, 자료 표현, 문제 분해, 추상화, 알고리즘과 절차화, 자동화, 시뮬레이션, 병렬화가 있다.
  • 하지만, 설명한 규칙으로부터 다진 관계 추론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 개체 간의 관계를 추론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문제에서 삼진(ternary) 관계를 정확하게 찾아내면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성별 추상적 사고 수준 차이로 다이어그램 구조화 능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의사결정 트리 문제는 세밀하게 문제 분석을 하는 구체적 사고 성향이 높은 학생이 잘 해결할 것이다.
  • (가설 3) 개체관계도는 학습된 규칙들을 추론하는 추상적 사고 성향이 높은 학생이 잘 해결할 것이다.
  • 한편, 기존의 연구[21]에 따르면 성별 추상적 사고력에 차이를 드러낸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다이어그램에 따라 성별 차이를 드러낼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논문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이어그램에 따라 성별 차이를 드러낼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기존의 연구[21]에 따르면 성별 추상적 사고력에 차이를 드러낸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다이어그램에 따라 성별 차이를 드러낼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무엇인가? 컴퓨팅 사고력 요소에서 다이어그램 구조화와 관련된 요소를 꼽으면 자료 표현과 알고리즘과 절차를 들 수 있다. 자료를 구조적으로 정의하고 통합하여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든 자료 저장소를 데이터베이스라 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생성하여 사용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필요한데,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개체관계도[12]가 있다.
추상적 사고 수준은 무엇을 기반으로 측정하였는가? 관련 문제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추상적 사고 수준은 행동개념화 척도(Behavioral Identification Form: BIF)[14][15]를 기반으로 측정하였다. 즉, 높은 추상적 사고 수준은 문제의 답을 왜(why)에서 찾으려는 추상적 사고 성향, 낮은 추상적 사고 수준은 문제의 답을 어떻게(how)에서 찾으려는 구체적 사고 성향으로 대응시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ttps://www. sktinsight.com/95994에서 인용. 

  2.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보도자료, http://www.moe.go.kr/web/100063/ko/board/view.do?bbsId316&boardSeq62381&modeview에서 인용. 

  3.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2015). 교육과정 원문 및 해설서 2015 개정 시기, http://ncic.go.kr/mobile.dwn.ogf.inventoryList.do#에서 인용. 

  4. CSTA (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5. Jeffery, C., Al-Gharaibeh, J. (2014). Writing Virtual Environments for Software Visualization. NY: Springer. 

  6. Carr, D. (1999). Guidelines for Designing Information Visualization Applications. Proceedings of the 1999 Ericsson Conference on Usability Engineering. 

  7. Kiper, A., Arslan, S., Kiyici, M., Akgun, O. E. (2012). Visual Literacy Scale: The Study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Online Journal of New Horizons in Education, 2(2), 73-83. 

  8. Koschke, R. (2003). Software Visualization in Software Maintenance, Reverse Engineering, and Re-engineering: A Research Survey. Journal of Software: Evolution and Process, 15(2), 87-109. 

  9. 조성욱 (2006). 지리교육에서 학습자 접근의 방향 모색. 한국지리환경학회지 14(2), 135-146. 

  10. DeMarco, T. (1979). Structure Analysis and System Specification. Pioneers and Their Contributions to Software Engineering, Springer, Berlin, Heidelberg, 255-288. 

  11. Fowler, M. (2004). UML Distilled: A Brief Guide to the Standard Object Modeling Language. Addison-Wesley Professional. 

  12. Chen, P. P. S. (1988). The Entity-Relationship Model - Toward a Unified View of Data. In Reading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atabases, 98-111. 

  13. Selby, R. W., Porter, A. A. (1988). Learning from Examples: Generation and Evaluation of Decision Trees for Software Resource Analysis. IEEE Transactions on Software Engineering, 14(12), 1743-1757. 

  14. Vallacher, R. R., Wegner, D. M. (1987). What Do People Think They're Doing? Action Identification and Human Behavior. Psychological Review, 94(1), 3-15. 

  15. Vallacher, R. R., Wegner, D. M. (1989). Levels of Personal Agency: Individual Variation in Action Iden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4), 660-671. 

  16. Trope, Y., Liberman, N. (2003). Temporal Construal. Psychological Review, 110(3), 403-421. 

  17. Trope, Y., Liberman, N. (2010). Construal-Level Theory of Psychological Distance. Psychological Review, 117(2), 440-463. 

  18. Alberto, P. A., Fredrick, L., Hughes, M., McIntosh, L., Cihak, D. (2007). Components of Visual Literacy: Teaching Logos.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22(4), 234-243. 

  19. Roman, G. C., Cox, K. C. (1992). Program Visualization: The Art of Mapping Programs to Pictures. Proceedings of the 14th International ACM Conference on Software engineering 412-420. 

  20. 최종후 . 서두성 (1999).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의 응용. 통계분석연구, 4(1), 61-83. 

  21. 박찬정 . 현정석 . 진희란 (2016). 문장구조 중심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이해력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성별 및 추상적 사고 수준별 차이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6), 69-80. 

  22. 유병건 . 김자미 . 이원규 (2012). 성별에 따른 프로그래밍 성취도와 문제해결과정의 관계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0(4), 27-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