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칼텐본 정형도수 물리치료와 에비안스-함베르크 뻗침 운동의 결합이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가동범위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altenborn Orthopedic Manual Therapy with Evjenth-hamberg Stretching on Range of Motion of Ankle Joint and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3 no.2, 2018년, pp.43 - 51  

박신준 (강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조균희 (용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재활복지대학원) ,  김순희 (용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troke patients have limited ankle range of motion and balanc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Kaltenborn orthopedic manual therapy, Evjenth-hamberg stretching, and combination of both on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and dynamic balance ability i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뇌졸중 환자는 경직에 의해 근육 뿐만 아니라 관절구축에 문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나타나므로 관절과 근육에 대한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칼텐본 정형도수물리 치료인 관절가동술과 에비안스 뻗침운동을 결합적용한 후 발등 굽힘 가동범위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 발목 중재에서 새로운 결합방법을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가 겪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는 발등굽힘근 약화나 발바닥 굽힘근 경직으로 인해 굽힘 상태로 처짐이나 구축 변형이 발생하고(Manca 등, 2014), 근육다발의 감소는 우상각의 감소, 근섬유의 긴장도 증가, 발목관절 뻣뻣함, 발등굽힘 감소를 일으켜(Gao 등, 2009), 결국엔 자세 흔들림이 증가하게 되는 균형 장애를 낳는다(Niam 등, 1999). 자세조절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발목관절은 바로 선 자세에서도 아주 작은 움직임이 나타나고(Suzuki 등, 2012), 발목관절의 가동범위 증가가 될수록 균형능력은 증가하기 때문에 발목의 움직임과 균형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중재 방법이 필요하다(Mecagni 등, 2000; Park과 Kim, 2014).
뇌졸중 환자의 관절가동범위 증가 및 균형 증진을 위한 물리치료로는 무엇이 있나? 뇌졸중 환자의 관절가동범위 증가 및 균형 증진을 위한 물리치료로는 관절가동술(Kim 등, 2014)과 뻗침운동이 있다(Park, 2014; Sim, 2015). 먼저 뻗침운동은 근육을 늘리기 위해 적용하는 중재 방법으로 동적 방법과 정적 방법 등 다양한 방법들로 나뉘는데(Im과 Jee, 2005; Yuk, 2012), 뻗침운동 방법 중 에비안스-함베르크 뻗침운동 방법은 정적 뻗침 운동에 주동근과 길항근의 수축을 더한 방법으로(Evjenth와 Hamberg, 2002), 발목의 관절가동 범위 증가 및 균형에 필요한 고유수용감각을 개선시키는 효과적인 중재 기법이다.
관절 가동술과 뻗침운동을 동시에 진행하였을 때 생기는 이점은? 뻗침운동 시 발목의 기계적 스트레스는 해당근육과 힘줄을 늘리고(Jung 등, 2009), 대항근을 수축하게 되었을 때 나타나는 통증의 조절은 관절가동범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킨다(Sharman 등, 2006). 여기에 관절가동술 적용했을 때 구축된 조직을 깨뜨리는 기계적 효과와 관절수용기의 활성을 통한 관절의 위치 및 각도 변화 인식이(Kim, 1996), 결합하여 적용되었을 때 신체 기능에 있어 단일적용 보다 나은 결과를 보인다(Na, 2012). 뇌졸중 환자는 경직에 의해 근육 뿐만 아니라 관절구축에 문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나타나므로 관절과 근육에 대한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erg K. Wood-Dauphine S, Williams JI, et al.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apy Canada. 1989;41(6):3 04-11. 

  2. Cho MS. The effect on ankle joint movement by FES application on tibialis anterior muscl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1;6(3):277-86. 

  3. Denegar CR, Hertel J, Fonseca J, et al. The effect of lateral ankle sprain on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posterior talar glide, and joint laxity.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2;32(4):166-73. 

  4. Evjenth O, Hamberg J. Muscle stretching in manual therapy: A clinical manual(5th ed). Sweden. Alfta rehab. 2002. 

  5. Gao F, Grant TH, Roth EJ, et al. Changes in passiv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gastrocnemius muscle at the muscle fascicle and joint levels in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2009;90(5):819-26. 

  6. Gracies JM. Pathophysiology of spastic paresis. I: Paresis and soft tissue changes. Muscle Nerve. 2005;31(5): 535-51. 

  7. Im JH, Jee YS. Muscle spindles and stretch reflex.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2005;7(1):3-11. 

  8. Jung DY, Koh EK, Kwon OY, et al. Effect of medial arch support on displacement of the myotendinous junction of the gastrocnemius during standing wall stretching.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9;39(12):867-74. 

  9. Kaltenborn FM, Evjenth O, Kaltenborn TB, et al. Manual mobilization of the Joints The Extremities(10th ed). Yeong Mun Publishing Company. 2007. 

  10. Kaltenborn FM, Evjenth O. Manual mobilizations of the joints: the Kaltenborn method of joint examination and treatment. Vol. 1, The Extremities (6th ed). Norway. 2002. 

  11. Kim SY. Effects of joint mobilization techniques on the joint receptors. Phys Ther Korea. 1996;3(2):95-105. 

  12. Kim YH, Jang HJ, Kim SY, et al. Effect of hip joint mobilization on hip mobility, balance and gait with stroke patients. Phys Ther Korea. 2014;21(2):8-17. 

  13. Kluding P, Santos M. Changes in sit to stand following ankle joint mobilizations in subjects with hemiplegia. J Neurol Phys Ther. 2005;29(4):210-1. 

  14. Koo JP, Kim NJ. The Effects of ankle exercise on balance in stroke patients. J Int Acad Phys Ther Res. 2016;7(1):915-8. 

  15. Landrum EL, Kelln BM, Parente WR, et al. Immediate effects of anterior-to-posterior talocrural joint mobilization after prolonged ankle immobilization: a preliminary study. J Man Manip Ther. 2008;16(2):100-5. 

  16. Lee HS. The effect of ankle joint mobilization and FES on hemiplegic patients' ankle movement and the quality of gait. Master's Degree. Yong-in University. 2014. 

  17. Lin PY, Yang YR, Cheng SJ, et al. The relation between ankle impairments and gait velocity and symmetry in people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4):562-8. 

  18. Liston RA, Brouwer BJ.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s obtained from stroke patients using the Balance Master. Arch Phys Med Rehabil. 1996;77(5):425-30. 

  19. Manca M, Ferraresi G, Cosma M, et al. Gait patterns in hemiplegic patients with equinus foot deformity. Biomed Res Int. 2014. 

  20. Manske RC, Meschke M, Porter A,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single-blinded comparison of stretching versus stretching and joint mobilization for posterior shoulder tightness measured by internal rotation motion loss. Sports Healt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2010;2(2):94-100. 

  21. Mecagni C, Smith JP, Roberts KE, et al. Balance and ankle range of motion in community-dwelling women aged 64 to 87 years: a correlational study. Phys Ther. 2000;80(10):1004-11. 

  22. Na HS, Her JG, Ko TS, et al. The effects of manual therapy and stretching on middle aged female balance and center of pressure. Hanyang University Journal of Aging Society. 2012;3(1):17-32. 

  23. Nashner LM. Fixed patterns of rapid postural responses among leg muscles during stance. Exp Brain Res. 1977; 30(1):13-24. 

  24. Niam S, Cheung W, Sullivan PE, et al. Balance and physical impairments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9;80(10):1227-33. 

  25. Nuyens GE, De Weerdt WJ, Spaepen AJ, et al. Reduction of spastic hypertonia during repeated passive knee movements in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7):930-5. 

  26. Park KH, Kim WB. The effects of ankle strategy exercise on balance of patients with hemiplegia. . J Korean Soc Phys Med. 2014;9(1):75-82. 

  27. Park YS. The effect of dynamic stretching and Evjenth-hamberg stretching at ankle joint on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stroke. Master's Degree. Yong-in University. 2014. 

  28. Perez Parra JE, Henao Lema CP. Effect of joint mobilization on the H Reflex amplitude in people with spasticity. Rev Cienc Salud. 2011;9(2):125-40. 

  29. Sharman MJ, Cresswell AG, Riek S, et al.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stretching. Sports Med. 2006;36(11):929-39. 

  30. Sim YB. The effect of combination with Evjenth-hamberg stretching and dynamic stretching on balance and gait in stoke patients. Doctor's Degree. Yong-in University. 2015. 

  31. Suzuki Y, Nomura T, Casadio M, et al. Intermittent control with ankle, hip, and mixed strategies during quiet standing: a theoretical proposal based on a double inverted pendulum model. J Theor Biol. 2012; 310:55-79. 

  32. Wang JS. The effect of thoracic cage mobilization and stretching on improvement of respiratory and spinal movement in the elderly with decreased respiratory function. Doctor's Degree. Yong-in University. 2016. 

  33. Williams CM, Caserta AJ, Haines TP, et al. The TiltMeter app is a novel and accurate measurement tool for the weight bearing lunge test. J Sci Med Sport. 2013;16(5):392-5. 

  34. Yuk GC. The acute effects of 15 minutes plantarflexor static stretch in quite stance. J Korean Soc Phys Med. 2012;7(2):19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