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머리들기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ead-lift Exercise on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3 no.2, 2018년, pp.89 - 95  

강태우 (원광대학교병원 물리치료실) ,  김범룡 (대자인병원 재활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aimed to study the effect of head-lift exercise on the neck strength and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Our study included 20 patients with stroke hemiparesis. All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the head-lift exercise or the conventional swallowing t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머리들기 운동의 이러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연하를 해결하기 위한 중재를 적용한 연구가 미흡하고, 비침습적인 운동치료적 방법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방법을 바탕으로 연하장애를 동반한 뇌졸중 환자에게 머리들기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과 경부 근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하곤란의 합병증에는 무엇이 있는가 연하곤란의 전형적인 합병증으로는 적당한 양의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어 발생하는 영양실조와 탈수증을 들 수 있으며,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는 경우 흡인성 폐렴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기도를 막는 경우 질식을 발생시켜 사망에 이룰 수도 있으므로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Smithard 등, 1996).
연하곤란을 다른말로 무엇이라 부르는가 뇌졸중 이후 연하곤란(deglutition dysfunction)의 발생율은 85%까지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임상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Martino 등, 2005). 연하곤란이란 연하장애(dysphagia) 또는 삼킴장애(swallowing disorder)라고 칭하기도 하며, 학자마다 다르게 정의하고 있다. Oh와 Lee (2007)는 연하장애란 외부로부터 음식물을 받아 인두와 식도를 거쳐 위에 보내는 과정에서 어딘가에 이상이 생긴 것이라고 정의하였으며, Leopold와 Kagel (1996)은 고형체나 액체를 입에서 위까지 이동시키는 활동에 어려움을 보이는 증상이라고 정의하였다.
설골상근을 강화시키는 훈련방법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설골상근의 충분한 근력은 설골과 후두를 상승시켜 상부식도 괄약근을 개방하는 역할을 하며, 정상 연하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기도 보호 기전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Antunes과 Lunet, 2012). 그러므로 임상의 연하치료는 설골상근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키는 교정적 방법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또한, Easterling 등 (2005)은 머리들기 운동의 제한적인 면에 대해 언급하 였는데, 머리들기 운동 시 목 근육의 통증과 어지럼증으로 인하여 운동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tunes EB, Lunet N. Effects of the head lift exercise on the swallow function: a systematic review. Gerodontology. 2012;29(4):247-57. 

  2. Beom JW, Han TR. Treatment of dysphagia in patients with brain disorders. J Korean Med Assoc. 2013;56(1): 7-15. 

  3. Chang MY. Related factors to dysphagia of home stayed stroke patient. Nurse Academy of Seoul University Seminar. 2005;28-32. 

  4. Clark HM, Shelton N. Training effects of the effortful swallow under three exercise conditions. Dysphagia. 2014; 29(5):553-63. 

  5. Cohen DL, Roffe C, Beavan B, et al. Post-stroke dysphagia: a review and design considerations for future trials. Int J Stroke. 2016;11(4):399-411. 

  6. Easterling C, Grande B, Kern M, et al. Attaining and maintaining isometric and isokinetic goals of the shaker exercise. Dysphagia. 2005;20(2):133-8. 

  7. Easterling C, Kern M, Nitchke T, et al. Restoration of oral feeding in 17 tube fed patients by the shaker exercise. Dysphagia. 2000;15(2):105-9. 

  8. Ferdjallah M, Wertsch JJ, Shaker R. Spectral analysis of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of upper esophageal sphincter-opeining muscle during head lift exercise. J Rehabil Res Dev. 2000;37(3):335-40. 

  9. Gong WT, Cheung HJ, Lee KM. The effect of cervical stabilized exercise and joint mobilization on maximum muscle strength and static muscle endurance of cervical region. J Korean Data Infor Sci Soc. 2010;21(1):33-42. 

  10. Hong DG, Kim SK, Yoo DH. Effect of a Shaker exercise on the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Occup Ther. 2012;20(3):55-66. 

  11. Hudswell S, Von Mengersen M, Lucas N. The craniocervical flexion test using pressure biofeedback: a useful measure of cervical dysfunction in the clinical setting? Int J Osteopath Med. 2005;8(3):98-105. 

  12. Kim HD. A study on the analysis of muscle fatigue of neck muscle in Shaker's exercise. Master's Degree. University of Seoul. 2010. 

  13. Kim HJ.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with nervous system disorders and methods for improving nutrition by supplying enteral nutririon. Master's Degree. Yonsei University. 2003. 

  14. Kim JC, Jeon HS, Yi CH, et al. Strength and endurance of the deep neck flexors of industrial workers with and without neck pain. J Ergonomics Soc Korea. 2007; 26(4):25-31. 

  15. Langmore SE, Pisegna JM. Efficacy of exercises to rehabilitate dysphagia: a critique of the literature. Int J Speech Lang Pathol. 2015;17(3):222-9. 

  16. Leopold NA, Kagel MA. Prepharyngeal dysphagia in Parkinson's disease. Dysphagia. 1996;11(1):14-22. 

  17. Logemann JA, Rademaker A, Pauloski BR, et al. A randomized study comparing the shaker exercise with traditional therapy: a preliminary study. Dysphagia. 2009;24(4): 403-11. 

  18. Martino R, Foley N, Bhogal S, et al. Dysphagia after stroke: incidence, diagnosis, and pulmonary complications. Stroke. 2005;36(12):2756-63. 

  19. McCullough GH, Kim Y. Effects of the Mendelsohn maneuver on extent of hyoid movement and UES opening post-stroke. Dysphagia. 2013;28(4):511-9. 

  20. Mepani R, Antonik S, Massey B, et al. Augmentation of delutitive thyrohyoid muscle shortening by the Shaker Exercisel. Dysphagia. 2009;24(1):26-31. 

  21. Mun TH. The effects of Shaker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therapy on the swallowing function: on the post-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Master's Degree. Inje University. 2013. 

  22. Nathadwarawala KM, McGroary A, Wiles CM. Swallowing in neurological outpatients: use of a timed test. Dysphagia. 1994;9(2):120-9. 

  23. Oh BM, Lee KJ. Rehabilitation of the swallowing disorders. Seoul. Pacific Books. 2007. 

  24. Palmer JB, Drennan JC, Baba M. Evaluation and treatment of swallowing impairments. Am Fam Physician. 2000;61(8):2453-62. 

  25. Park YG, Cha TH, Jung MY. Rehabilitation dysphagia therapy for individuals with dysphagia. J Korean Dysphagia Soc. 2011;1(1):31-8. 

  26. Pearson WG, Langmore SE, Zumwalt AC. Evaluating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suprahyoid muscles and their potential for moving the hyoid. Dysphagia. 2011; 26(4):345-51. 

  27. Shaker R, Easterling C, Kern M, et al. Rehabilitation of swallowing by exercise in tubefed patients with pharyngeal dysphagia secondary to abnormal UES opening. Gastroenterology. 2002;122(5):1314-21. 

  28. Smitard DG, O'Neill PA, England RE, et al.The natural history of dysphagia following a stroke.Dysphagia. 1997; 12(4):188-93. 

  29. Smithard DG, O'Neill PA, Parks C, et al. Complications and outcome after acute stroke. Does dysphagia matter? Stroke. 1996;27(7):1200-4. 

  30. Tan C, Liu Y, Li W, et al. Transcutaneous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can improve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dysphagia caused by non-stroke diseases: a meta-analysis. J Oral Rehabil. 2013;40(6):472-80. 

  31. White KR, Easterling C, Roberts N, et al. Fatigue analysis before and after shaker exercise: Physiologic tool for exercise design. Dysphagia. 2008;23(4):385-91. 

  32. Woo HS, Chang KY, Oh JC. The effects of eight-week tongue-holding maneuver program on activation of swallowing-related muscle. J Korean Soc Occup Ther. 2014;22(1):53-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