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사에 대한 의사의 "지도"의 목적론적 해석
A Teleological Interpretation of a Doctor's "Guidance" for Physical Therapist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3 no.2, 2018년, pp.147 - 156  

이주일 (신라대학교 공공인재학부 법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law pertaining to medical service technologists does not discuss the scope and limits of doctors' guidelines. My paper aims to discuss these topic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a review of literature and an analysis of judicial precedents. RESULTS: Physical therapists have often 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근대 시민혁명을 거치면서 법치주의 국가가 형성되었고, 이러한 법치주의 국가의 기본원리로 작동하는 것이 법에 의한 지배라는 점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따라서 법문은 시민혁명 이전에 있었던 왕을 비롯한 권력자들의 자의적인 통치로부터 시민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와 권력자의 자의적인 해석을 통제하고, 가능하면 몰가치적인 해석이 가능하도록 구체화하고 명확하게 만들어야 하며, 그 해석 역시 문리해석을 기본으로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의료기사법 제1조를 보면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지도” 아래에서 물리치료사가 직무를 행할 수 있다고 하고 있을 뿐, 이러한 지도의 의미와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주체인 의사 등에게 일임하고 있어, ‘의사의 지도’라는 개념을 어떻게 정의 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와 해석은 없는 실정이다.
  • 대법원 판례에서 지적 하고 있는 것처럼 의료행위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해석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지도’라는 규정에서 지도라는 의미가 사회통념상 용인될 수 있는 한계를 지녀야 함은 너무도 당연한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발생하고 있는 의사와 물리치료사의 지역 간의 다툼을 완화하고 이를 통하여 보건의료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의료기사법에서 규정한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지도’에 대한 법해석의 의도가 의료행위의 범주를 확대 혹은 축소하려는 것이 아니고 ‘지도’의 범위와 한계를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제시하여 현재 당면하고 있는 의사와 물리치료사 상호간의 업무 범위와 책임의 판단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행위란 무엇인가? 의료행위에 대한 사전적 의미를 소개하지 않더라도 의료행위에 대한 시민의 법감정 속에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기란 어렵지 않을 것이다.즉 의료행위란 국민의 생명과 신체 및 정신 건강을 증진 시켜 국민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인의 모든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동안 논쟁의 주된 방향은 의료행위를 규정한 의료관련 규범을 근거로 그 행위가 죄형법정주의 명확성의 원칙에 반하는가에 대한 것이었다는 점이 주지의 사실이다(헌법재판소 2009.
시민의 인식 속에서 의료의 개념은 어떤 추세인가? 2013도850). 오늘날 시민의 인식 속에서 의료의 개념 또한 질병 없는 건강한 삶을 넘어 아름다움, 삶의 질의 향상, 행복 등 사회적 웰빙이라는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다(Lee, 2008). 이러한 점에서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이하 의료기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지도’라는 규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인데도 불구하고 지도의 규범학적 의미와 한계 등에 대한 논의가 일천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의료행위가 의사의 전속적 권리라고 생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의료법상 의료행위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의 전속적 권리로 이해되는 측면이 아직도 강하다. 그것은 의료행위의 본질이 사람의 생명이나 신체, 일반적으로 공중위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적으로 방지 하여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사회적 인식에 기인한 것으로 의료행위에는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된다는 인식의 공유가 존재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대법원에서는 의료행 위로 인정할 수 있는 행위가 구체화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고, 그 개념 또한 의과학의 발달과 공동체의 발전, 의료서비스의 수요자의 인식과 요구에 수반하여 얼마든지 변화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따라서 대법원의 판단은 의료행위를 법률로 규정을 구체화하기 보다는 시대적 상황에 맞는 합리적인 법 해석에 맡기는 유연한 형태가 더 적절하다는 입법정책적 의지에 기인한 것이라 할 것이다(대법원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 Article 2. http://www.law.go.kr (2018. 04. 23). 

  2. Byun HC. New introduction to Law. Seoul: Samwoosa. 2006. 

  3. Ha TI. Unlicensed practice of medicine on the validity of the penalty. Law Review. 2010;51(3):187-220. 

  4. Han HW. New introduction to Law. Seoul: Samyoungsa. 2013. 

  5. Hong WP, Kim EG, Rhee JE, et al. Differences in awareness of betwee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nd Medical Doctor about situation requiring direct medical control. Conference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3;2:275-6. 

  6. Jung SJ. The new principle of Law. Seoul: Hyungseul. 2003. 

  7. Lee IY. The 19th symposium: A study on the modern significance and urgent problem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Journal of Law and Politics research. 2007;7(1):27-63. 

  8. Lee JW, Park EG. A study on the existing law and direction for revision in the physical therapist. Law Review. 2010;38:393-412. 

  9. Lee SD. Article: Legal sociological construction of the concept of medicine. Yeungnam Law Journal. 2008;27: 101-28. 

  10. Lee SM. The concept and practice of Administrative Guidance. Administrative Law journal. 2014;38:49-81. 

  11. Lee YG, Jeong SH, Park BS. A study on doctor's guidance of Medical Service Technologist. Research report of Korean Institute of Hospital Management. 2010. 

  12. Moon SJ, Lee KH, Won SA. A study on the theory of nurse liability. Kore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2004;12(1):21-38. 

  13. Sonn JC. The new principle of Law. Seoul: Parkyoungsa. 2004. 

  14. The Law Research Institute Yeungnam University. Introduction to Law. Seoul: Parkyoungsa. 2005. 

  15.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2003heonba86 decided May 26, 2005. 

  16.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2009heonma736 decided December 18, 2009. 

  17.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2011heonma552 decided May 29, 2014. 

  18. The Supreme Court Decision 72do243 decided March 28, 1972. 

  19. The Supreme Court Decision 74do1114 decided November 28, 1974. 

  20. The Supreme Court Decision 95do36466 decided April 23, 1998. 

  21.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02do2014 decided September 23, 2002. 

  22.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04do3405 decided October 23, 2002. 

  23.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3do850 decided July 21,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