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LIS Students about Public Library's Subject Special Services and Subject Special Libraria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2 no.2, 2018년, pp.5 - 25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의경 (상명대학교 인문콘텐츠학부 문헌정보학전공)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의 인식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연구이다. 전국의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지 수준, 필요성 인식 수준, 주제전문사서의 역량과 현재 학생들의 역량, 주제전문사서의 자격제도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수준, 주제전문사서로 일하고자 하는 의사, 주제전문사서 역량을 구비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인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전문사서의 역량은 학사제도와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을 통해서 구비하고 있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응답자 비율도 높았다.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화 필요성이 있다고 하였고, 주제전문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주제전문성이 가장 중요한데, 현재 학생들은 스스로 주제전문성 부분이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들의 현재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유능한 주제전문사서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방안 개발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broad examination researchon LIS students' perception about public library's subject special services and subject special librarian. Student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s respondents, it examined the recognition level of subject special services and subject spec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1 주제전문서비스 인지 정도

    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가 어떤 서비스인지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알고 있다가 64.

  • 본 연구에서는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의 인식 및 수요를 조사 위하여, 문헌정보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오프라인의 경우, 지역을 고려하여 14개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대학에 반송용 봉투와 함께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여 회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생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식,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자격요건과 자격증 취득의사, 그리고 주제전문사서로의 취업 의사, 주제전문사서의 역량 등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과정에서 제시된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로, 이 장은 전국의 문헌정보학생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지역 배분하여 표집한 방법과 데이터의 수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설문의 작성은 세 부분으로 분리하여 구성하였는데, 첫 번째는 개인적 배경, 두 번째는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문항들, 세 번째는 주제전문사서의 요건, 자격, 제도화 등에 관한 문항들이다.
  • 그들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하여 갖고 있는 인식 및 태도, 그리고 주제전문사서로의 준비 상태와 자격제도에 관한 의견 등을 조사한다면 앞으로 취업 준비생의 현황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교육과정, 자격제도화를 추진할 수 있는 배경적인 정보들을 얻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배경과 목적을 바탕으로 수행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 대상의 조사연구이다. 온라인 오프라인을 통하여 설문을 배포하여 최종 579명의 학생이 응답하였다.
  • 주제전문서비스나 도서관 특화에 관한 부분에서도 재학생들이 현황을 잘 이해하고 준비하는데 충분한 지식과 정보를 갖고 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이에 이 연구는 현재의 문헌정보학과 재학생들이 도서관 현안과 미래 진로에 대하여 충분한 이해를 갖고 준비를 해야 함이 당연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재학생들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지와 필요성 인식 수준, 주제전문사서 도입, 주제전문사서 역량, 교육 및 자격 제도화에 대한 태도와 의견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는 문헌정보학과 재학생들의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이해 수준과 준비 수준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향후 관련 교육과정이나 자격 요건을 마련하는데 현실성 있는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정사서 2급 자격증 이외에 추가적인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나 자격요건이 필요한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필요하다 77.

가설 설정

  • RQ 4: 학생들은 공공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이수할 의도가 있는가?
  •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연구는 조사 결과가 재학생들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이해 수준과 준비 수준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을 가정하였고, 향후 관련 교육과정이나 자격 요건을 마련함에 있어서 현실적인 데이터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을 예측하였다. 과연 예측된 바처럼 향후에 유용하게 사용될 가치가 있을지에 대한 다음과 같은 논의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제전문서비스와 도서관 특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주제전문서비스와 도서관 특화는 특정 주제영역에 대한 서비스라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전자는 학문 기반의 주제전문성을, 후자는 도서관 자체의 비교우위 주제에 대한 전문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공공도서관이 반드시 특화사업을 수행해야하는 것은 아닌 이유는 무엇인가? 공공도서관이 반드시 특화사업을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서관의 여건과 이용자 특성에 따라 전통적인 서비스만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기존의 서비스와 특화 주제의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필요가 있는 도서관도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이용자 및 지역의 요구가 명확하게 존재하고 예산, 인력 그리고 자원이 충분하게 지원된다면 공공 전문도서관으로 변신하는 도서관도 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어떤 경우라도 공공도서관이 대내외적 변화에 대응하고 준비해 나간다는 취지에서, 공공도서관들은 비교 우위를 갖는 주제를 발굴하고 특화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미리 검토하고 준비할 필요가 있다.
주제전문서비스란 무엇인가? 주제전문서비스는 문헌정보학 용어사전에 따르면 “주로 대학도서관과 전문도서관에서 수행되는 전문서비스”를 의미한다. 또한 “다양한 서비스 가운데 학문분야를 세분화하여 개별적으로 접근하는 정보서비스”이다(문헌정보학 용어사전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ang, mia-hye. 2002. "A Study on the Assignment of the Subject Bibliography Course for the Education of th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3): 49-68. 

  2. Nam, Young-Joon and Heo, Oun-Soon. 2005. "A Study on the Curriculum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Subject Specialis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3): 39-64. 

  3. Noh, Younghee. 2005. "A Study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pecialized Programs in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1): 59-80. 

  4. Park, Soo-Hee and Jeong, Dong-Youl. 2012. "A Study on Developing a Model of a Liaison Training Program for Academic Libraria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4): 311-339. 

  5. Shim, Wonsik. 2009. "Curriculum Development of Training Librarians for Subject Liaison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 541-560. 

  6. Ahn, In-Ja et al. 2009. "Competency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1): 333-361. 

  7. Oh, Eui-Kyung. 2016. "A Study on Improving Perception of Subject-Special Librarian and Subject-Special Services: Focusing on Survey Targeting Students Who Take 'Medical Terms and MeSH' and 'Health & Medical Information 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1): 437-456. 

  8. Yoon, Yung-Dai. 2003. "A Study of Education for Medical Librarianship."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4(1): 131-146. 

  9. Jeong, Dong-Youl. 2002. "A Study on the Role Model of Subject Specialization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3): 5-23. 

  10.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0. The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n Science.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1. Hong, myung-ja. 2001. "A Study on the Education of Specialized Law Libraria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2(3): 249-274. 

  12. Hong, hee-kyeong. 2008.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the Developmental Plans of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M.A.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3. Michael Levine-Clark and Toni, M. C. 2014. ALA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hicago, IL: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