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의 가치관과 공공도서관 이용간의 관계성 분석
Personal Valu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Public Library Use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2 no.2, 2018년, pp.143 - 164  

권나현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이 지향하는 가치관이 그들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용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다. 개인의 가치관은 Schwartz의 보편적 가치이론에서 개발된 PVQ-21의 총 21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법을 사용하여 전국의 18세 이상 성인 1,000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응답을 다차원척도법, t-검증, 다중상관관계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은 공동체나 자신을 둘러싼 사회 공동의 발전을 가치있게 생각하는 개인들 보다는 자기 자신의 개인적 흥미와 새로움을 발견하고 즐거움을 추구하려는 가치가 강한 개인들에 의해 이용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독서, 교육지원 등 개인적 성격이 강한 활동이 주류를 이루므로, 공동체적 성향보다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개인이 도서관을 더 활용하도록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그간 공공도서관 이용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연구된 바 없었던 개인의 가치관을 조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의 가치 지향성과의 상관성 속에서 파악된 공공도서관의 현재의 기능과 이용을 이해하는데 기여한 동시에, 본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약하게 드러난 공동체적 성격에 대해 더 세심히 살펴 볼 필요성을 제기해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library use and the individual's personal value system. The personal value system was measured by Schwartz's (1992) Theory of Basic Human Values. The theory includes ten universal value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목표 2. 개인의 가치관과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용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 지 고찰한다.
  • 먼저 Schwartz의 보편적 가치이론을 적용하였을 때, 한국 성인들의 보편적 가치관에 어떤 특성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Schwartz의 가치구조는 <그림 2>와 같이, 기본적으로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10개의 가치들이 동심원 속에 역동적으로 위치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한국 일반 성인들이 가진 가치관과 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쉽게 추론할 수 있는 결과와 또 그렇지 않은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 공공도서관은 세계 각국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기관인 동시에 한 나라의 문화적 특성과 수준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 공공도서관이 공동체나 자신을 둘러싼 공동체 발전을 가치있게 생각하는 개인들 보다는 자기 자신의 개인적 흥미와 새로움을 발견하고 즐거움을 추구하려는 가치가 강한 개인들에 의해 이용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다른 나라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본 연구 결과와 비교해 봄으로써 한국 공공도서관의 특성을 비교문화적으로 평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개인적 가치관의 특성을 Schwartz의 보편적 가치이론을 적용하여 파악하고, 개인이 지향하는 가치관과 공공도서관 이용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 지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수집된 자료 분석 결과로부터 파악된 연구 참여자들의 특성 분포를 소개한 후, 본 연구에서 설정한 4개의 구체적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순차로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표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개인적 가치관의 특성을 Schwartz 의 보편적 가치이론을 적용하여 파악하는 것으로, 연구문제 1과 2를 통해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이용자에게 나타나는 가치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우선 한국 성인 일반의 가치관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어서 공공도서관 이용자와 비이용자로 구분하여 두 집단간 가치관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비교하였다.
  • 셋째,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가치관과 공공도서관 이용간의 관계를 우리나라 성인들을 대상으로 살펴 보았다. 공공도서관은 세계 각국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기관인 동시에 한 나라의 문화적 특성과 수준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곳이다.
  • 본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 도서관 종합발전계획이 제시하는 공공도서관의 비전과 핵심목표에 비추어 볼 때 취약한 부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사회적으로 확산․발전되기 시작한 우리 공공도서관의 현재를 진단하면서, 나아가 공공도서관이 공동체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그 방향성을 고민하게 하는 단초를 제공해 준다. 즉, 공공도서관 이용에 나타난 현상적 특성을 보여줌으로써, 공공도서관 정책을 현 시점에서 재검토하여 도약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가치에 대한 다양한 이론(Hofstede 1980; Schwartz 1992)들 가운데 Schwartz(1992; 1994; 2012)의 보편적 가치이론(Theory of Basic Human Values)은 전 세계 82개 이상의 국가에서 다양한 문화, 언어, 인종, 연령, 직업군 등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온 가치이론이다(Schwartz 2012). 이 이론은 개인들이 보편적으로 갖고 있는 가치들의 내용과 구조에 대한 체계적 이론을 제시한 것으로, 여러 가치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Schwartz의 보편적 가치는 <표 1>과 같이 다양한 문화권에서 파악된 10개의 핵심가치 영역들로 구성되어 있다.
  • 국내외를 막론하고 개인의 가치관과 공공도서관 이용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증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아직 수행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chwartz(1992)의 보편적 가치 이론(Theory of Basic Human Values)을 통해 우리나라 성인들의 가치관 구조를 파악한 후, 개인의 가치관과 공공도서관 이용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공공도서관이 현재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목표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도서관의 역할은 무엇인가?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는 사회적 장치이다(Shera 1970).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는 공공도서관을 국민 개개인의 행복과 성장, 그리고 국가균형발전의 원동력으로 파악하고 이에 따라 도서관 정보정책과 비전을 제시해 왔다.
근대 공공도서관의 가치는 어떻게 나타나왔는가? 2011). 근대 공공도서관의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면 사회적 장치로서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책이 귀했던 18세기 중반 미국에서 “공공선을 지원하는 것은 신성한 것”(The Tree of Knowledge 2011, 11)을 모토로 Benjamin Franklin이 최초의 대출도서관을 설립하였다. 1833년에 미국 최초의 무료 공공도서관이 설립되었고, 1840년대에는 미국 전 지역 도시에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도서관을 설립하는 것이 입법화된다. 1919년까지 미국 전역 1,420개 지역에 Andrew Carnegie가 지원한 무료도서관이 건립된다. 이와 같은 공공도서관의 확산은 공공도서관 운동의 주창자들이 도서관을 지역사회 모든 구성원과 지역 발전에 필수 불가결한 사회문화 제도로 인식했때문이다(Jaeger et al. 2011).
현대의 공공도서관은 무슨 역할을 하는가? 이들 연구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예: 성별, 나이, 학력, 경제적 수준, 결혼여부, 자녀여부), 거주지 특성(예: 도농, 도서관과의 거리), 독서량, 심리학적 특성(예: 성격) 등이 고찰되어 왔다. 그러나 공공도서관 이용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더 많은 것이 밝혀져야 하는데, 그 중 하나는 어떤 가치를 지향하는 사람들이 공공도서관을 더 이용하는지를 설명하는 것일 것이다. 현대의 공공도서관은 도서관이 위치한 각 지역사회에서 교육, 여가활동, 문화센터, 보편적 복지기관 등으로 여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시민 개개인은 이러한 다양한 기능 중에서 자신의 가치 지향성에 따라 공공도서관의 각기 다른 기능을 활용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won, Nahyun and Song, Kyeong-Jin. 2014. "Extending the Validity of the Schwartz's Universal Value Theory: The Cas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4): 291-312. 

  2. Kim, Yeon-Shin and Choi, Han-Na. 2009. "A National Study Explaining the Public, Library Use among Korean Adults: Examining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Local Library Inputs, and Local Government Invest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3(1): 1-16. 

  3.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4. The Seco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14-2018. Seoul: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4. Park, Ok-Wha. 2007. "A Study on the Elderly of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375-396. 

  5. Shim, Mi-Seon, Kim, Eun-Mee and Rhee, June-Woong. 2008. "Lifestyle, Multiple Media Use, and Cross-media Genre 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and Journalism, 52(6): 189-216. 

  6. Lee, Kyeong-Ran. 2013. "A Study on Public Library Management Improvement with Use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2): 5-20. 

  7. Lee, HeuiSoo and Kim, Giyeong. 2014. "Study on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for Library Services based on Community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ree Types of Local Commun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1): 207-230. 

  8. Choi, Hee-Kon. 2009. "An Analysis of Impact Factors on the Number of User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4): 129-145. 

  9.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National Children Survey. [online] [cited 2018. 4. 15.] 

  10.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1. National Youth Survey. [online] [cited 2018. 4. 15.] 

  11.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2014. City Planning Survey. [online] [cited 2018. 4. 15.] 

  12. Republic of Korea. Statistics Korea. 2010.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port. [online] [cited 2018. 4. 15.] 

  13. Bertot, J. C. et al. 2011. 2010-2011 Public Library Funding and Technology Access Survey: Survey Findings and Report. College Park, Md: Information Policy & Access Center,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14. Davidov, E., Schmidt, P. and Schwartz, S. H. 2008. "Bringing Values Back In: The Adequacy of the European Social Survey to Measure Values in 20 Countries." Public Opinion Quarterly, 72(3): 420-445. 

  15. Hofstede, G. 1980.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Beverly Hills: Sage. 

  16.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 2001. The Public Library Service: The IFLA/UNESCO Guidelines for Development. Munchen: Saur. 

  17.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 2005. Alexandria Manifesto on Libraries. [online] [cited 2018. 4. 15.] 

  18.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 2013.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ISO/DIS 16439. Methods and Procedures for Assessing the Impact of Libraries. [online] [cited 2018. 4. 15.] 

  19. Jaeger, P. et al. 2011. "Describing and Measuring the Value of Public Libraries: The Growth of the Internet and the Evolution of Library Value." First Monday, 16(11). [online] [cited 2018. 4. 15.] 

  20. Kwon, N. and Zweizig, D. 2006. "Use of Communit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Explaining the Use of Community Networks with Demographic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Alternative Service Accessibility." Library Quarterly, 76(1): 81-106. 

  21. Lance, K. C. et al. 2001. Counting on Results: New Tools for Outcome-based Evaluation of Public Libraries. Aorora: Bibliographic Center for Research. [online] [cited 2018. 4. 15.] 

  22. Linley, R. and Usherwood, B. 1998. New Measures for the New Library: A Social Audit of Public Libraries. London: British Library Board. [online] [cited 2018. 4. 15.] 

  23. McClure, C. and Bertot, J. 1998. Public Library Use in Pennsylvania: Identifying Uses, Benefits and Impacts. Harrisburg, PA: Pennsylvania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24. Schrader, A. M. and Brundin, M. R. 2012. National Values Profile of Canadian Libraries: Report to CLA Executive Council. [online] [cited 2018. 4. 15.] 

  25. Schwartz, S. H. 1992. "Universals i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Values: Theory and Empirical Tests in 20 Countrie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5: 1-65. 

  26. Schwartz, S. H. 1994. "Are There Universal Aspects i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Values?" Journal of Social Issues, 50: 19-45. 

  27. Schwartz, S. H. 2012. "An Overview of the Schwartz Theory of Basic Values." Online Readings in Psychology and Culture, 2(1). [online] [cited 2018. 4. 15.] 

  28. Shera, J. 1970. Sociological Foundations of Librarianship. New York: Asia Publication. 

  29. Sin, Sei-Ching J. 2014. "Demographic Differences in Perceived Outcomes of U.S. Public Libraries." In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n Libraries International Conference, Tuesday 27-Friday 30 May 2014, Kadir Has Campus. Kadir Has Caddesi, Istanbul. [online] [cited 2018. 4. 15.] 

  30. "The Tree of Knowledge," 2011. American History, 46(1). 11. Quoted in Jaeger, P. et al. 2011. "Describing and Measuring the Value of Public Libraries: The Growth of the Internet and the Evolution of Library Value." First Monday, 16(11). [online] [cited 2018. 4. 15.] 

  31. Vakkari, P. and Serola, S. 2012.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1): 37-44. 

  32. Zweizig, D. and Dervin, B. 1977. "Public Library Use, Users, Uses: Advances in Knowledge of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Adult Clientele of American Public Libraries." Advances in Librarianship, 7: 232-2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