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에 대한 사서와 이용자 인식 비교 연구- 서울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ceptions on Public Libraries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A Survey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2 no.2, 2018년, pp.221 - 244  

표순희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  차미경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와 이용자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발전방안 수립 및 서비스 방향 설정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의 사서와 이용자 각각 270명, 820명을 대상으로 현재 도서관의 환경, 미래 도서관의 역할 및 위상, 도서관 정책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사서들은 오랜 역사와 축적된 자원을 가장 큰 강점으로 인식하는 반면, 이용자들은 인적자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미래의 위상에 대해서는 사서와 이용자 모두 독서와 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두 집단이 공공도서관에 대한 공통된 기대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래 도서관의 정책 방안으로 사서는 노후시설의 개선과 사서의 재교육을 제시한 반면, 이용자는 장서 확충과 열람실 이용 확대를 원하는 등 두 집단 사이의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인식 차이를 고려한 공공도서관 정책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establishing library development plan and service direc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librarian and user's public library.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70 librarians and 820 p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인식 및 요구조사가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인식 및 요구조사는 도서관 서비스 평가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해 일상적으로 만족도 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기도 하지만 도서관의 중장기발전계획 혹은 발전방안의 도출과 제안을 위해서 필수적이다. 대표적으로 서울시공공도서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2004), 정동열 외(2008)의 연구가 이러한 요구 조사의 일반적인 형태를 보여주는데, 주로 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며, 장서, 시설, 서비스, 문화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하여 도서관 운영 전반에 걸친 이용자들의 만족도, 향후 추진 정책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다.
도서관 정책 수립 방향은 어떠하여야 하는가? 우선, 이용자별로 특화된 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된다. 첫째, 10대 이용자들은 만족도, 역할 및 위상에 대한 인식도, 정책 지지도가 다른 연령대 이용자에 비해 높다. 또한, 10대는 도서관을 업무지원기관과 공연, 창작, 체험, 동아리 활동을 할 수 있는 여가 및 문화 지원기관으로써 인식을 하고 있고 복합문화공간, 스마트서비스 환경과 관련된 정책에 대한 요구가 높다. 이와 같이 10대 이용자는 서울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을 최신의 정보기술 환경에서 다양한 청소년 문화 향유 기관으로서의 도서관을 원하고 있다. 서울 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은 10대 청소년을 위해 입시경쟁의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교육 및 문화 활동을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기관으로의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10대 이용자와는 달리 60대 이상 이용자들은 도서관 만족도, 역할 및 위상에 대한 인식도, 정책 지지도가 다른 연령대 이용자에 비해 대체적으로 낮다. 이들은 정규교육, 생애(평생)교육, 건강정보, 여행과 휴가정보 지원 기관으로 도서관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는 고령화 서비스라는 도서관 정책 선호로 나타나고 있다. 고령화 사회로의 진행이 가속화됨에 따라 60세 이상 이용자들이 자신들의 삶을 능동적으로 살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도서관의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은 노년층 이용자를 위한 도서관 서비스 개발을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독립적으로 선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영업에 종사하는 이용자들이 다른 직종의 이용자에 비해 도서관 정책에 높은 지지도를 갖고 있다. 이들은 학생, 취업준비생, 주부와 달리 시간적으로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하는 이용 자이다. 이들은 주로 도서관에서 새로운 친구를 만나며 여유시간을 보내고 업무와 관련된 새로운 아이디어 등을 얻기를 원한다(차미경, 표순희 2008). 최근 근무시간의 단축과 탄력적인 출퇴근 시간 정책의 도입으로 직장인 이용자의 증가가 예측된다. 경제활동을 하는 이용자들의 정보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다음은 사서와 관련한 정책 방향이다. 도서관 서비스는 사서에서 시작된다. 본 연구에서 설문에 응답한 사서들의 50% 이상이 20년 이상 근무한 경력 사서들로, 전문 인력이라는 자부심이 높은 인적 자원이었고, 이들이 제공하는 도서관 서비스에 이용자들은 높은 만족을 느끼고 있다. 특히, 도서관을 자주 이용하는 핵심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은 사서와의 교류를 통한 도서관 이용이 핵심 이용자를 만드는 요인이 되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서, 도서관 서비스의 핵심이 인적자원에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경력사서들은 향후 5년 에서 10년 사이 퇴직과 함께 세대교체를 하여, 이후 ‘전문적인력’이라는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낸 경력 10년 미만의 사서들(<표 9> 참조)이나 현재 서울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의 강점을 높이 평가하지 않는 5년 미만의 젊은 사서들이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좌우할 주체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급변하는 정보환경과 다양한 이용자의 요구를 도서관이 수용하기 위해서는 축적된 전문 사서들의 노하우를 전수할 수 있는 교육 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 시대가 필요로 하는 미래교육의 방향에 맞춘 역량과 인성을 키울수 있도록 사서들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재교육이 시급하다. 이러한 사서 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도서관 정책에 대한 설문항목에서 20대의 사서들이 ‘재교육강화’에 높은 중요도(<표 14> 참조)를 부여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체계적인 서울시교육청 공공도서관 사서의 역량 강화 정책이 이용자 서비스 정책과 함께 병행 되어야 할 것이다.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 경영 패러다임의 의의는?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 경영 패러다임은 도서관 서비스에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이용자 만족도를 평가하는 수준을 넘어 도서관 발전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한다. 많은 도서관들은 급변하는 사회와 이에 따른 다양한 이용자 요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도서관 건립단계에서 또는 정기적으로 이용자 만족도, 인식 및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서비스에 반영하거나 도서관 발전계획 수립을 통하여 중장기적인 정책과 서비스 방안을 설계하는데 활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Gang, Ju-Yeon et al. 2018. "A Study on the Users Perception about the Future of Librar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ring with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9(1): 125-152. 

  2. Lee, Jiyoung, Kim, Giyeong and Park, Young-sook. 2016.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Citizens' Information Nee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2): 245-269. 

  3. Lee, Hee-soo and Kim, Giyeong. 2014. "Study on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for Library Services Based on Community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ree Types of Local Commun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1): 207-230. 

  4. Jeon, Dong-Youl et al. 2008. The Middle-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Seoul: Jungdok Public Library. 

  5. Joeng, Mi-Yeon et al. 2013. "The Master Plan of Publick Library and Life Long Learning Center.2014-2018." The Research of Library, 30: 55-95. 

  6. Choi, Kwon-Jung and Choi, Hyun-Jae.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s for Public Libraries in Seoul.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7. Cha, Mi-Kyeong and Pyo, Soon-Hee.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joyment Indicator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329-354. 

  8. Noh, Y. H. 2013. "Differing Perceptions of Public Librarians and Users in Assessing and Developing Korean Consumer Health." Reference and User Services Quarterly, 52(3): 231-242. 

  9. Involve, Dialogue by Design. 2013. Envisioning the Library of the Future Phase 3: Understanding What People Value about Libraries. London: Arts Council England. [online] [cited 2018. 3. 22.] 

  10. Jochumsen, H., Rasmussen, C. H. and Skot-Hansen, D. 2011. "The Four Spaces: A New Model for the Public Library." New Library World, 113(11/12): 586-597. 

  11. Mainka, A. et al. 2013. "Public Libraries in the Knowledge Society: Core Services of Libraries in Informational World Cities." Libri, 63(4): 295-319. 

  12. Vakkari, P. et al. 2014.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in Finland, Norway and the Netherlands." Journal of Documentation, 70(5): 927-9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