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고고학 데이터 디지털 아카이브 개발을 위한 연구
Developing the Korean National Archaeological Data Digital Archive: An Exploratory Study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8 no.2, 2018년, pp.1 - 28  

이혜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고학은 현재에 직접 관찰할 수 없는 과거의 인간 행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과거의 물질문화와 정황을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는 고고학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고고학 데이터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주장하는 사람들은 별로 없다. 본 논문은 고고학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국가 고고학 데이터 디지털 아카이브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기회가 마련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고고학의 학문, 데이터, 디지털 아카이브의 성격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다음 부분에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고고학 데이터의 디지털 아카이빙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마지막으로 앞의 내용들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국가 고고학 데이터 디지털 아카이브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archaeological artifacts are often destroyed during physical excavation, the data archaeologists gather in the field is rich with research potential. Few in Korea have paid attention to digital archives for archaeological data or argued for their development. This paper considers the signif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고학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고고학의 주요 목적 가운데 하나는 “과거 인간 행위를 설명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어난 사회 및 문화의 변화들을 설명하는 일”이다. 또한 인간 사회의 구성요소들(환경, 기술, 경제, 조직, 이데올로기)은 “서로 다르지만 과거 문화 및 인간 생활에서 상호 연관된 측면들이며 이것은 고고학 조사 연구에서 중요한 핵심사항들”이다(Price, 2007/2013, p.
고고학 데이터 아카이브 프로젝트는 어떤 목적으로 시작되었는가? 고고학 데이터 아카이브 프로젝트(Archaeological Data Archive Project: ADAP)는 급속하게 증가하는 디지털 고고학 데이터를 장기간 안전하게 보존하고 그것들을 접근 가능하게 만들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생산된 고고학 데이터를 문화적, 연대적, 지리적 영역, 혹은 데이터 유형(텍스트 파일, CAD 파일, GIS 파일, 도면 등)에 상관없이 아카이빙하는 것이었다(Eiteljorg, [1996]).
고고학 데이터 아카이브 프로젝트의 핵심은 무엇인가? 고고학 데이터 아카이브 프로젝트(Archaeological Data Archive Project: ADAP)는 급속하게 증가하는 디지털 고고학 데이터를 장기간 안전하게 보존하고 그것들을 접근 가능하게 만들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생산된 고고학 데이터를 문화적, 연대적, 지리적 영역, 혹은 데이터 유형(텍스트 파일, CAD 파일, GIS 파일, 도면 등)에 상관없이 아카이빙하는 것이었다(Eiteljorg, [1996]). 그러나 수집된 디지털 고고학 데이터는 소량이었고, 기금 지원이 중단되어 이 프로젝트는 2002년에 중단되었다(Eiteljorg,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i, Sung Rak (2005). Introduction to Archaeology: How do we research past cultures? Seoul: Hakyeonmunhwasa.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0). Guides to cultural heritage documentation standard data: Seoul: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3. Archaeology Data Service & Digital Antiquity (2009). Guides to Good Practice. Retrieved April 5, 2017, from http://guides.archaeologydataservice.ac.uk/g2gp/GuideAim 

  4. Archaeology Data Service & University of York. Depositing Data at ADS. Retrieved April 10, 2017, from http://archaeologydataservice.ac.uk/deposit.xhtml 

  5. Archaeology Data Service & University of York. Preservation and Digital Archiving. Retrieved April 10, 2017, from http://archaeologydataservice.ac.uk/advice/preservation.xhtml 

  6. Archaeology Data Service & University of York. Strategies for Digital Data. Retrieved April 10, 2017, from http://ads.ahds.ac.uk/project/strategies/index.html 

  7. Archaeology Data Service & University of York. What is the ADS, and what do we do? Retrieved April 5, 2017, from http://archaeologydataservice.ac.uk/about/background.xhtml 

  8. Childs, S. T. & Kagan, S. (2008). A Decade of Study into Repository Fees for Archeological Collections. Studies in Archeology and Ethnography, Number 6. Archeology Program, National Park Service, Washington, DC. Retrieved July 28, 2017, from https://www.nps.gov/archeology/PUBS/studies/STUDY06A.htm 

  9. Condron, F., Richards, J., Robinson, D., & Wise, A. (1999). Strategies for Digital Data - A Survey of User Needs. Archaeology Data Service. York, UK: ADS. [online] http://ads.ahds.ac.uk/project/strategies/ 

  10. Data Seal of Approval. Data Seal of Approval Benefits. Retrieved April 12, 2017, from https://www.datasealofapproval.org/en/assessment/benefits/ 

  11. Digital Antiquity ([2017a]). Compliance. Retrieved April 9, 2017, from https://www.tdar.org/about/why-tdar/compliance/ 

  12. Digital Antiquity ([2017b]). Preservation. Retrieved April 9, 2017, from https://www.tdar.org/about/why-tdar/preservation/ 

  13. Digital Antiquity ([2017c]). Research. Retrieved April 9, 2017, from https://www.tdar.org/about/why-tdar/research 

  14. Digital Antiquity ([2017d]). Upload & Contribute to tDAR. Retrieved April 9, 2017, from https://www.tdar.org/about/why-tdar/contribute/ 

  15. Eiteljorg, H. II. (1996). The Archaeological Data Archive Project. Retrieved June 15, 2017, from http://csanet.org/archive/adap/adaplond.html 

  16. Eiteljorg, H. II. (2002). The archaeological data archive project ceases operation. CSA Newsletter, 15(2) Retrieved June 15, 2017, from http://csanet.org/newsletter/fall02/nlf0201.html 

  17. Eiteljorg, H. II. (2004). Archiving digital archaeological records. Chiles, S.T. (Ed). Our collective responsibility: The ethics and practice of archaeological collections stewardship (pp. 67-73). Washington, DC: Society of American Archaeology. 

  18. Faniel, I., Kansa, E., Kansa, S. W., Barrera-Gomez, J., & Yakel, E. (2013, July). The challenges of digging data: A study of context in archaeological data reus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13th ACM/IEEE-CS Joint Conference on Digital Libraries, Indianapolis: ACM. Retrieved July 1, 2017, from http://www.oclc.org/content/dam/research/publications/library/2013/faniel-archae-data.pdf 

  19. Huvila I. (2014). Archaeologists and their information sources. Huvila, I. (Ed). Perspectives to archeological information in the digital society (pp.25-54). Uppsala, Sweden: Department of ALM, Uppsala University. 

  20. Kintigh, K. (2006). The promise and challenge of archaeological data integration. American Antiquity, 71(3), 567-578. 

  21. Kintigh, K. W. & Altschul, J. H. (2010). Sustaining the digital archaeological record. Heritage Management, 3(2), 264-274. 

  22. McManamon, F. P. & Kintigh, K. W. (2010). Digital antiquity: Transforming archaeological data into knowledge. The SAA Archaeological Record, 10(2), 37-40. 

  23. McManamon, F. P., Kintigh, K. W., & Brin, A. (2010). Digital antiquity and the Digital Archaeological Record (tDAR): Broadening access and ensuring long-term preservation for digital archaeological data. The CSA Newsletter, 23(2). Retrieved August 9, 2017, from http://csanet.org/newsletter/fall10/nlf1002.html 

  24. Patrik, L. E. (1985). "Is There an Archaeological Record?" 8, 27-62. 

  25. Price, T. D. (2013). 고고학의 방법과 실제. (이희준 역). 서울: (주)사회평론아카데미 (원전 발행년 2007). 

  26. Renfrew, C. & Bahn, P. (2006). 현대 고고학의 이해. (이희준 역). 서울: (주)사회평론 (원전 발행년 2004). 

  27. Renfrew, C. & Bahn, P. (Eds.). (2005). Archaeology: The key concept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8. Richards, J. D. (1997). "Preservation and Re-use of Digital Data: The Role of the Archaeology Data Service." Antiquity, 71, 1057-1059. 

  29. Sharer, R. J. & Ashmore, W. (1993). Archaeology: Discovering Our Past. Mayfield.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