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세대 기록관리시스템 재설계 모형 연구
A Study on Designing a Next-Generation Records Management System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8 no.2, 2018년, pp.163 - 188  

오진관 (알엠소프트 기획팀) ,  임진희 (서울특별시 정보공개정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차세대 기록관리시스템은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급변하는 시스템 개발 환경하에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시스템은 지난 10여 년간 답보 상태로 머물러 있었다. 이런 이유에는 사용자 요구사항 수용, 기록관리 신기술 적용을 하기 어렵게 만들어진 기록관리시스템 구조적 문제가 핵심 원인이라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기록관리 현황 분석을 통한 차세대 기록관리시스템 재설계 모형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격인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프로세스 재설계 연구(주현미, 임진희, 2017)' 결과와 선진 기록관리시스템의 기록관리 기술과 해외 시스템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록관리시스템 개선방향을 기능적 측면, 소프트웨어 설계 측면, 소프트웨어 배포 측면으로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기록관리기관 유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기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SS) 지향의 기록관리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차세대 기록관리의 지향점이라고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w do we create a next generation Records Management System? Under a rapidly changing system development environment,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has remained stable for the past 10 years. For this reason, it seems to be the key cause of the structural problem of the Recor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료관시스템의 정의는 무엇인가? 자료관시스템은 공공기관의 각종 기록물에 대한 수집․보존․폐기․활용․정보공개 등 자료관의 기록물관리 업무처리를 위한 정보화 시스템이다. 자료관시스템은 전자문서시스템으로부터 전자문서, 종이문서 등 모든 기록물을 이관 받아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개발되었다(정부기록보존소, 2004).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한계는 무엇인가?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은 기록화 대상을 과제관리카드, 문서관리카드, 메모, 지시, 회의록 등으로 확대하고 업무 기반의 기능분류체계를 적용하여 업무과정 기반의 기록생산과 통합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하지만 인수, 검색, 전자기록 보존, 접근관리, 기준관리, 평가․폐기 등 여러 기능상의 한계1)로 인해 오히려 기록관리의 제약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중앙 개발및 배포 방식으로 인한 유연성과 확장성 부족의한계가 지적되고 있는 상황이다(안대진, 임진희, 2016).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을 모놀리식으로 개발할 경우 문제는 무엇인가? 모놀리식(Monolithic)으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을 설계․개발하여 시스템 유지관리와 시스템 배포 측면에서도 큰 문제점이 있다. 모놀리식 개발은 단일 업무프로세스에 모든 기능을 포함하여 개발하는 방식으로 특정 기능을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전반을 수정해야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 D. J., & Yim, J. H. (2016). A Study on Utilization of Open Software for Digital Archiv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3), 345-370. 

  2. Chung, S. H. (2013). Function and Use Evaluation of 'Classification & Disposal Schedule Management' in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7, 189-237. 

  3. Hwang, J. H. (2013). A Study on the Records Production Report of Public Institution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7, 145-188. 

  4. Hyun, M. S. (2013). A Study on Electronic Recordkeeping Function Evaluation of Standard Record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cord Management, 13(2), 115-147. 

  5. Ju, H. M., & Yim, J. H. (2017). A Study on the Redesign of the Next-Generatio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cords Management, 17(4), 201-223. 

  6. Kim, J. H., & Lee, E. B.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Record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5(2), 103-136. 

  7. Kwag, J. (2006). Analysis of Reform Model to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Public Institution - from Reform to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2006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4, 153-190. 

  8. Lee, B. R. (2013). Evaluation of Appraisal and Disposal Function of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8, 37-73. 

  9. Lee, K. N. (2013). Evaluation of Search Functions of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7, 273-305. 

  10. Lee, S. E. (2017). A Study on Redesign of Next Generatio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Record policy forum statement. 

  11. Lee, S. Y. (2015a). A Survey on Usage of Korean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3, 71-102. 

  12. Lee, S. Y. (2015b). Improvement Strategies for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5(1), 29-52. 

  13. National Archives (2007). Guidance on transition to records management system. Daejeon: National Archives. 

  14. National Archives (2010). National Archives of Korea White Paper 2010. Daejeon: National Archives. 

  15. National Archives (2015). National Archives of Korea White Paper 2014. Daejeon: National Archives. 

  16. National Archives (2017). National Archives of Korea White Paper 2016. Daejeon: National Archives. 

  17.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4). Library system overview and functions. 

  18.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5). Records Management Innovation Practical Manual. Daejeon: National Archives. 

  19.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6). Establishing information strategy plan for record management innovation. Results report. Daejeon: National Archives. 

  20. Oh, J. K. (2017). A Study on the Functional Design of Classification Management System of Public Organization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53, 201-228. 

  21. Oh, S. L., Jung, M. R., & Yim, J. H. (2016). Redesigning Electronic Records Preservation Formats Based on Open Forma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6(4), 79-120. 

  22. Park, B. K. (2006). A Study on Workflow Application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Public Organizations. Master Thesis. Myongji University School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of Records Management. 

  23. Park, J. Y. (2013). Evaluation of Accession Function of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7, 239-271. 

  24. Park, M. Y. (2013). Evaluation of Access Control Function of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8, 3-35. 

  25. Park, S. H. (2008). Establishment of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System. Record IN, 2, 56-61. 

  26. Seoul City Hall (2016). Strategic Planning Service for Information of Seoul Archives. Completion report.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7. Song, B. H. (2009). Current State and Future Prospect of Korean Record Management System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1, 385-411. 

  28. Yim, J. H. (2013).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How should information systems that produce and manage electronic records be created?. Seoul: Asian Cultural History, 292-340. 

  29. Yim, J. H. (2017).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Redesign Model. Record IN, 41, 22-29. 

  30.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8. 5. 7. http://www.archives.go.kr 

  31.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8. 5. 7. http://www.tta.or.kr/data/weeklyNoticeView.jsp?pk_num5193 

  32. Archivematica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8. 5. 7. http://archivematica.org 

  33. Martinfowler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8. 5. 7. https://martinfowler.com/articles/microservices.html 

  34.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2844호).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