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리듬 중재 연구의 중재 구성 및 논거에 대한 고찰
Review of Studies Using a Rhythm Task Intervention and the Rationale for its Formulation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5 no.1, 2018년, pp.95 - 118  

정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이화뮤직웰니스연구센터) ,  임정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  황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근거중심의 연구와 실제가 강조되면서 중재 연구들이 보다 엄격한 논거를 토대로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리듬 과제를 사용한 중재 연구의 특성과 치료 목표별 리듬 과제를 고찰한 후 중재 구성 및 논거를 분석하였다. 선정 기준에 부합한 총 4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7개의 중재 항목 및 논거 제시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재제공자 전문성과 중재 구성틀, 중재 기간, 중재 형태, 중재 절차, 활동 및 음악에 대한 논거 제시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총 7개 중재 관련 항목 중 4개 이상 항목에 논거를 제시한 연구는 10편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논거에 대한 추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10편 모두 중재제공자, 중재 구성틀, 활동 논거 및 음악 논거를 제시하였으나 중재 유형(개별 또는 집단)과 구성된 중재 기간에 대한 논거는 동일한 수준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리듬 중재 유형에 따른 논거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존의 프로토콜을 활용한 4편의 연구는 활동 논거와 음악 논거가 명료하게 제시된 반면 연구자가 구성한 중재를 활용한 6편의 연구는 음악 논거보다는 활동 논거를 중점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음악치료가 근거 중심의 학문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중재 항목의 타당성과 중재 구성에 대한 논거를 더욱 충실히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recent emphasis on evidence-based research and practice, the field of music therapy has called for rigorous reviews of the scientific data and for therapeutic rationales for research proced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tudies that used a rhythm task as a therapy interven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리듬 과제를 음악중재에 활용한 연구를 대상으로 대상군, 목표 영역, 중재 활동, 세션 시간, 횟수, 제공자 전문성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 연구에서 리듬 과제를 적용한 음악 활동, 선곡 및 리듬 요소에 대한 치료적 논거 제시 여부와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 연구 리스트는 [Appendix 1]에 제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근거 중심의 중재 연구 동향에 따라 리듬 과제를 중재 활동으로 활용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중재 구성 및 논거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 중재 연구의 질적 평가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분석 틀을 구성하여 리듬 과제를 사용한 중재 연구의 논거 수준을 분석하였다.
  • 국내 연구에도 다양한 수준의 고찰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리듬 과제를 활용한 중재 연구들의 논거 고찰은 미비하다. 중재 연구가 바탕을 두고 있는 논거의 수준과 타당성은 중재 전문성과 임상 근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고려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음악중재 연구 중 리듬 과제 또는 리듬 중재를 제공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중재 구성 항목과 중재 논거를 고찰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거 중심의 기본개념은 무엇인가? ‘근거 중심’의 기본 개념은 연구자의 주관적인 신념과 판단이 아닌 과학적 지식을 근거로 이루어진 실제와 평가를 의미한다(Davidson et al., 2003).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되는 음악치료 중재 전문성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음악치료 근거의 수준과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음악치료 중재 전문성은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되고 있는데 이에는 중재 효과성을 분석하는 체계적 고찰(Systematic Review, 이하 SR)과 메타분석(Meta-analysis)이 주로 적용된다. 한 예로 의료환경 음악적용 연구를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에서는 포함된 연구들의 방법론상의 취약점으로 인해 비뚤림(bias) 고위험 수준의 연구가 84%를 차지하고 있음이 밝혀졌고 이를 근거로 보다 엄격한 음악치료 중재 절차와 근거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Yinger & Gooding, 2015).
음악적용 연구를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무엇인가? 한 예로 의료환경 음악적용 연구를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에서는 포함된 연구들의 방법론상의 취약점으로 인해 비뚤림(bias) 고위험 수준의 연구가 84%를 차지하고 있음이 밝혀졌고 이를 근거로 보다 엄격한 음악치료 중재 절차와 근거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Yinger & Gooding, 2015). 또한 음악치료 중재 연구들에서 중재 효과가 긍정적으로 보고된 것에 비해 중재 절차의 타당성이나 음악사용에 대한 논거 제시 등이 부족함을 지적하였다(Hurkmans et al., 2012). 동시에 음악치료 중재 연구의 환경 및 대상자 특성으로 인한 연구 설계의 한계, 변인 설정의 어려움 등과 같이 임상 기반 연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적 측면의 공통적인 문제점들이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Bae, I. L., & Kim, M. W. (2017).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on the anxie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음악중재가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5(2), 86-92. 

  2. Baxter, H. T., Berghofer, J. A., MacEwan, L., Nelson, J., Peters, K., & Roberts, P. (2007). The individualized music therapy assessment profile (IMTAP).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3. Bernardi, L., Porta, C., Casucci, G., Balsamo, R., Bernardi, N. F., Fogari, R., & Sleight, P. (2009).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musical, cardiovascular, and cerebral rhythms in humans. Circulation, 119(25), 3171-3180. 

  4. Biasutti, M., & Mangiacotti, A. (2018). Assessing a cognitive music training for older participant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33(2), 271-278. 

  5. Booth, A., Sutton, A., & Papaioannou, D. (2016). Systematic approaches to a successful literature review (2nd ed.). London, UK: Sage Publications. 

  6. Bradt, J., Magee, W. L., Dileo, C., Wheeler, B. L., & McGilloway, E. (2010). Music therapy for acquired brain injury.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0(7), CD006787. 

  7. Burns, D. S. (2012). Theoretical rationale for music selection in oncology intervention research: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Music Therapy, 49(1), 7-22. 

  8. Cason, N., Astesano, C., & Schon, D. (2015). Bridging music and speech rhythm: Rhythmic priming and audio-motor training affect speech perception. Acta Psychologica, 155, 43-50. 

  9. Chen, X. J., Leith, H., Aaro, L. E., Manger, T., & Gold, C. (2016). Music therapy for improving mental health problems of offenders in correctional setting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Experimental Criminology, 12(2), 209-228. 

  10. Cho, H. A. (2013). Analysis of music therapy research in Korean professional peer-reviewed journals(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 연구 현황 분석).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0(2), 55-77. 

  11. Choi, D. I. (2017). Review of music interventions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in medical settings(국내?외 의료 환경 내 가족 참여 음악중재 연구 고찰).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4(1), 17-39. 

  12. Clark, I. N., Baker, F. A., & Taylor, N. F. (2016). The modulating effects of music listening on health-related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narrative synthesis.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25(1), 76-104. 

  13. Davidson, K. W., Goldstein, M., Kaplan, R. M., Kaufmann, P. G., Knatterud, G. L., Orleans, C. T., ... Whitlock, E. P. (2003). Evidence-based behavioral medicine: What is it and how do we achieve it?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6(3), 161-171. 

  14. Davis, J. A., & Gamble, K. L. (2016). Synchronized time-keeping is key to healthy mood regulation. 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 43(10), 1307-1308. 

  15. Evans, D. (2002). The effectiveness of music as an intervention for hospital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7(1), 8-18. 

  16. Fujii, S., & Wan, C. Y. (2014). The role of rhythm in speech and language rehabilitation: The SEP hypothesis.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8, 777. 1-10. 

  17. Gfeller, K. (2016). Music-based training for pediatric CI recipients: A systematic analysis of published studies. European Annals of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Diseases, 133, S50-S56. 

  18. Gold, C., Voracek, M., & Wigram, T. (2004). Effects of music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sychopathology: A meta-analysi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5(6), 1054-1063. 

  19. Ho, P., Tsao, J., Bloch, L., & Zeltzer, L. (2011). The impact of group drumming on social-emotional behavior in low-income children.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1(1), 1-16. 

  20. Hurkmans, J., De Bruijn, M., Boonstra, A. M., Jonkers, R., Bastiaanse, R., Arendzen, H., & Reinders-Messelink, H. A. (2012). Music in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language and speech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Aphasiology, 26(1), 1-19. 

  21. Jeong, S. H. (2013).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s on music intervention for neurological patients in Korea(신경계 질환자 대상의 국내 음악중재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5(2), 65-73. 

  22. Kim, Y. S. (2015). Music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ystematic review(조현병 환자 대상 음악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2(2), 37-60. 

  23. LaGasse, A. B. (2013). Influence of an external rhythm on oral motor control in children and adults. Journal of Music Therapy, 50(1), 6-24. 

  24. Lee, Y. B. N., & Kim, S. J. (2016). Use of music for healthy elderly: Literature review(건강한 노화를 위한 음악활용: 국내?외 연구 고찰).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4), 335-346. 

  25. Leman, M., Moelants, D., Varewyck, M., Styns, F., van Noorden, L., & Martens, J. P. (2013). Activating and relaxing music entrains the speed of beat synchronized walking. PloS One, 8(7), e67932. 

  26. Magee, W. L., Clark, I., Tamplin, J., & Bradt, J. (2017). Music interventions for acquired braininjury.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1), CD006787. 

  27. McConnell, T., Scott, D., & Porter, S. (2016). Music therapy for end-of-life care: An updatedsystematic review. Palliative Medicine, 30(9), 877-833. 

  28. Moore, K. S. (2013). A systematic review of the neural effect of music on emotion regulation:Implications for music therapy practice. Journal of Music Therapy, 50(3), 198-242. 

  29. Park, S. Y. (2012). The trends of music therapy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Analysis onKorean music therapy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from 2002 to 2011(특수교육 음악치료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2002년부터 2011년까지의 전문학술지를 중심으로). Journal ofSpecial Education, 19(1), 97-117. 

  30. Peterson, S. J., & Bredow, T. S. (2009). Middle range theories: Application to nursing research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1. Petrovsky, D., Cacchione, P. Z., & George, M. (2015). Review of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s on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International Psychogeriatics, 27(10), 1661-1670. 

  32. Pothoulaki, M., MacDonald, R., & Flowers, P. (2006). Methodological issues in music interventions in oncology setting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e Arts in Psychotherapy, 33(5), 446-455. 

  33. Robb, S. L., & Carpenter, J. S. (2009). A review of music-based intervention reporting in pediatric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4), 490-501. 

  34. Robb, S. L., Carpenter, J. S., & Burns, D. S. (2011). Reporting guidelines for music-based intervention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2), 342-352. 

  35. Shannon, K. (2010). Neurologic music therapy: A scientific paradigm for clinical practice. Music and Medicine, 2(2), 78-84. 

  36. Sidani, S., & Braden, C. J. (2011). Design, evaluation, and translation of nursing interventions. Chichester WS, UK: Wiley-Blackwell. 

  37. Thaut, M. H., & Abiru, M. (2010).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in rehabilitation of movement disorders: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Music Perception: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27(4), 263-269. 

  38. Toyomura, A., Fujii, T., & Kuriki, S. (2011). Effect of external auditory pacing on the neural activity of stuttering speakers. NeuroImage, 57(4), 1507-1516. 

  39. Weller, C. M., & Baker, F. A. (2011). The role of music therapy in physical rehabilita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20(1), 43-61. 

  40. Williams, K. E. (2018). Moving to the beat: Using music, rhythm, and movement to enhance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50(1), 85-100. 

  41. Wittwer, J. E., Webster, K. E., & Hill, K. (2013). Rhythmic auditory cueing to improve walking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conditions other than Parkinson's disease: What is the evidenc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5(2), 164-176. 

  42. Won, J. L., & Ju, Y. S. (2008).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07(장애 유아를 위한 음악활동 중재 연구 동향 분석: 2000-2007년까지의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8(1), 93-115. 

  43. Yinger, O. S., & Gooding, L. F. (2015). A systematic review of music-based interventions for procedural support. Journal of Music Therapy, 52(1), 1-77. 

  44. Yoo, G. E. (2016). Analysis of social communication measurement in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literatur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중재 문헌 내 사회적 의사소통 측정 도구 분석).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3(1), 61-87. 

  45. Yoo. G. E., & Kim, S. J. (2016). Rhythmic auditory cueing in motor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Music Therapy, 53(2), 149-177. 

  46. Zhang, Y., Cai, J., An, L., Hui, F., Ren, T., Ma, H., & Zhao, Q. (2017). Does music therapy enhance behavioral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dementia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geing Research Reviews, 35(2017), 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