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대기 서양인들의 조선견문기를 통해 본 19세기 말 조선의 경관 - 경관 관련 어휘와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A Landscape of Joseon Dynasty in Late 19th Century through Experience Record of Modern Westerners - Focused on Landscape Vocabulary and Content Analysis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1, 2018년, pp.20 - 33  

김동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신현실 (북경대학세계유산연구중심)

초록

본 연구는 서양인들의 시각에서 조선이 근대화되기 시작한 19세기말 조선의 경관을 조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서양인들의 경관 관련 기록의 역사적 의미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경관의 유형화 및 그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시 조선을 방문했던 서양인들은 조선의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 개입되거나 오랜 기간 여행을 통해 조선의 문화를 이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이 여러 저서에서 공통으로 확인되는 점은 그들의 기록을 통해 당시의 경관을 조명하는 과정이 유의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서양인들의 기록에 나타나는 조선의 경관은 소도시 및 마을, 자연환경, 명승 고적, 근대시설, 경작지 등이 주로 언급되었다. 소도시 및 마을은 허름한 뒷골목과 빼곡히 들어선 가옥들이 주로 언급되고 있으며, 자연경관은 산악경관과 해안 및 하천을 따라 펼쳐지는 다양한 지형경관과 주변식생이 확인되었다. 궁궐과 산성, 사찰 등은 명승 고적의 주요 대상으로 기록되었으며 근대화된 시설에는 외국인 공사관 및 거류지, 교회나 학교 등의 서양식 건축이 언급되고 있었다. 경작지는 낙후되고 방치된 모습이 확인되었으나, 조망구도가 넓어질수록 평화롭고 번창한 분위기의 농촌경관으로 비춰지고 있었다. 셋째, 조선에 대한 당시 서양인들의 인식은 비위생적이고 낙후된 주거환경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빼어난 산수와 수려한 명승고적, 상류층의 주택정원을 대상으로 하는 긍정적 인식이 나타났다. 근대화된 경관에 대해서는 문명화된 경관 개선이라는 점에서 긍정적 인식이 형성되었으며, 전통경관의 훼손 및 이질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d landscape of Joseon Dynasty in the end of 19th century when Joseon dynasty began to modernize through the perspective of Westerners. Historical meaning to Western people's landscape records has been preceded. And landscape typology and their perception were analyz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선이 근대화되기 이전인 19세기 말 서양인들의 시각에서 당시 조선의 경관을 조명하고자 관련 기록에서 확인되는 경관을 유형화하고 그 모습과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게일은 어떠한 인물인가? 게일은 미국의 선교사로 1888년 부산을 통해 조선으로 들어 왔으며, 1890년 이후 한양, 송도, 평양, 의주, 봉천, 원산 일대에서 선교활동을 하였다. 연구의 제재로 삼은 그의 저서 외에도 Korean Sketches(1898)에는 ‘나는 이 은인(隱人)들이 지금 어떻게 살고 있는가를 바르게 그려내고, 또 앵글로색슨 민족이 출현하기 오래 전부터 그들이 어떻게 살아왔는가를 바르게 그려내고자 한다[4]’는 집필 목적2) 을 밝히고 있어 그의 기술에 대한 신뢰성을 엿볼 수 있다.
서양인의 기록을 제재로 하는 2차 사료로서의 직접적인 활용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대한 연구로는 민속학, 영문학, 정치학, 역사학 등의 분야에서 개항기 서양인들의 기록을 통해 당시의 모습을 살펴보고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 관습과 제도, 복식, 민속 등 생활상 전반에 걸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7-10], 경관분석 분야에서는 한반도 전역을 대상으로 서양인 기록에 나타나는 지역정보의 분석[6][11], 17-19세기 서양에 소개된 한국정원의 형태 조명[12] 연구 외에 서양인의 기록을 제재로 하는 근대 경관의 종합적 연구는 초기단계에 그치고 있다. 또한 서양인들의 기록은 전통경관 규명을 위해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고문헌과 달리 조선의 모습은 낯선 세계였으며, 서양우월주의에 따른 사고방식으로 인해 텍스트에 내재된 다중적인 표현이나 저자의 인식 속에 내재된 경험과 지식들이 우리와 다르므로 2차 사료로서의 직접적인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그들의 기록은 ‘무엇을 보았는가’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어떻게 보았는가’에 대한 논의가 동시에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당시에는 기술의 대상, 범위, 수준에서 상당한 변 이상을 지니는 저작들의 비교와 이에 따른 일반화의 어려움이 발생함에 따라[4] 특정 문헌에서 나타나는 객관적 사실의 발견이나 텍스트의 특징을 조명하는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1860년대부터 서양인이 조선에 방문하고 당시의 모습과 이에 대한 느낀 점을 보고서, 일기 등으로 기록한 것의 특징은 무엇인가? 1860년대부터 서양인들은 조선 국왕의 요청으로 고빙(雇聘)되어 오거나, 각 국에서 이권을 위해 파견하거나, 선교사, 외교관, 의사 등의 신분으로 본격적인 방문이 시작되었다[5]. 이들은 조선을 방문하고 당시의 모습과 이에 대한 느낀 점을 저서나 보고서, 일기 등으로 기록한 바 있는데, 이는 서술자의 관점에 의해 경관에 대한 평가나 기술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텍스트 자료의 특성상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과 자연환경을 지닌 시각 이라는 점에서 당시의 모습을 새롭게 조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6]. 이에 대한 연구로는 민속학, 영문학, 정치학, 역사학 등의 분야에서 개항기 서양인들의 기록을 통해 당시의 모습을 살펴보고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 관습과 제도, 복식, 민속 등 생활상 전반에 걸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7-10], 경관분석 분야에서는 한반도 전역을 대상으로 서양인 기록에 나타나는 지역정보의 분석[6][11], 17-19세기 서양에 소개된 한국정원의 형태 조명[12] 연구 외에 서양인의 기록을 제재로 하는 근대 경관의 종합적 연구는 초기단계에 그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ang, S. Y.(1995). History of Korean Modern City Park. Publishing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2. Kim, H. G. and Yu, J. E.(2011). The Yongsan Governor General Official Residence in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Histo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2): 118-129. 

  3. Kim, H. G. and Yu, J. E.(2012). A Study on Keijo Imperial University's Landscaping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on Proces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3): 1-11. 

  4. Wang, H. S.(1988) Korean culture seen by Westerners at the time of Opening Port, Journal of Comparative Culture Studies. 4: 3-33. 

  5. Choi, J. Y.(2007) Approach to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Images of Joseon Dynasty During Open-Door Period through Publications by Westerners. Master's thesis of Konyang University, Daejeon, Korea. 

  6. Yeon, U., Bae, H. J., Lee, S. M. and Lee, W. H.(2013). Korea's Landscapes from the Viewpoint of Foreigners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sis of the Spring Symposium of The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7. Kim, B. Y.(2006). At the time of Opening, Western Intellectuals Recognized Seoul, Journal of Seoul and History. 68: 99-149. 

  8. Michael C. E. Finch.(2012). Impressions of Korea and Koreans in the Writings of Westerners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Korean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49: 27-68. 

  9. Kang, J. G.(2016). Self-contradiction and Ambivalence of the Discourse of Imperialism in Writings by Western Visitors to Korea. Korean Ideology and Culture. 82: 211-234. 

  10. Kim, H. J.(2009). Chosun as Seen by Westerners (Series No.2): From the Opening of Korea to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Journal of Korean Politics. 18(2): 247-314. 

  11. Chung, H. S., Lee, M. H., Song, H. S. and Kim, H. S.(2016). Analyzing Geographical Inform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Collected by English Diplomat W. R. Carles of the Late 19th Century in 'Life in Corea'.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28(2): 34-50. 

  12. Yoon, S. J. and Park, E. Y.(2013). Korean Gardens Seen through Westerners' Ey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1: 10-20. 

  13. Kim, H. Y.(2007). Orientalism and the Westerner' Recognition of Joseon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Kyong-Ju Sa Hak. 26: 165-181. 

  14. Lee, B. Y.(2002). Westerners' View of Korean Women in Modern Period: Centering on Analyzing Westerners' Books. The Society for Study of Korean History of Thoughts. 19: 539-569. 

  15. Kim, B. R.(2013). A Study on the Western Residents' Daily Lives and the Differenciation of their Perception on Korean Culture in the Period of Port Opening.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Review. 125: 1-35. 

  16. Yeo, D. C.(1987). View of the Korea in France missionaries at the time of enlightenment.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5: 401-423. 

  17. Lee, J. S. and Kim, J. H.(2011). Study of Vocabulary Structure by Image Evaluation of Streetscap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12): 27-35. 

  18. Ahn, G. B. and Park, J. W.(2015). Characteristics of National Landscape Image in Dokdo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4): 1-9. 

  19. Suh, J. H., Park, T. H. and Hoe, J.(2004). An Analysis on the Image and Visual Preference of the Environmental Sculpture in Urban Streetscap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1): 57-68. 

  20. Joo, S. H.(2012). The Study on the Landscape Prefer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gricultural Aqueduct Brid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8(3): 67-76. 

  21. Yi, Y. K.(2004). Characteristic Analysis of Natural Landscap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6): 1-14. 

  22. Sands, W. F. and (Translator)Shin, B. R.(1999). Undiplomatic Memories. Publishing Jipmoondang: Seoul. 

  23. Jeong T. I. and Oh, D. S.(2003). An Classification of the Landscape Types and Control Factors in the Plan and Regulation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4(10): 111-120. 

  24. Bishop, I. B. and (Translator)Shin, B. R.(1999). Corea and Her neighbors. Publishing Jipmoondang: Seoul. 

  25. Griffis, W. E. and (Translator)Shin, B. R.(1999). Corea: The Hermit Nation. Publishing Jipmoondang: Seoul. 

  26. National Museum of Korea(2017). Journals from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Korea through Western Eyes. Publishing Nulwa: Seoul. 

  27. Shi Jian Guo, and Woo, S. M.(2012). A Study on the Western Missionaries' Perception and Observation of Chosu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hinese Recorder and Missionary Journal, The Review of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11(1): 99-117. 

  28. James Scarth Gale, and (Translator)Shin, B. R.(1999). Korea in Transition. Publishing Jipmoondang: Seoul. 

  29. Arnold H. Savage Landor, and (Translator)Shin, B. R.(1999). Corea: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Publishing Jipmoondang: Seoul. 

  30. Homer Bezaleel Hulbert and (Translator)Shin, B. R.(1999). Docoments by P. & R. Mollendorff. Publishing Jipmoondang; Seoul 

  31. Underwood, L. H. and (Translator)Shin, B. R.(1999). Fifteen Tears among the Topknots. Publishing Jipmoondang: Seoul. 

  32. Mollendorff, P. G. and (Translator)Shin, B. R.(1999). The Face of Manchuria, Korea, Russian Turkestan. Publishing Jipmoondang: Seoul. 

  33. Kang, J. M.(2007). Walk to Korean Modern History. Publishing Inmul & Sasangsa: Seoul. 

  34. Lee, G. T.(2013). A Study on the Factors of Urban Landscape Formation and Change in Seoul. Doctorate thesis of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35. Asian Economy Newspaper Published January 15, 2018,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11523235187353 

  36. Kemp, E. G. and (Translator)Shin, B. R.(1999). The Face of Manchuria, Korea, Russian Turkestan. Publishing Jipmoondang;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