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강댐 상류유역 수질관리를 위한 BMPs의 다목적 최적화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BMPs for Controlling Water Quality in Upper Basin of Namgang Dam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4 no.6, 2018년, pp.591 - 601  

박윤경 (딥클라우드 기업부설연구소) ,  이재관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  김정숙 (동서대학교 화학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전공) ,  김상단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ptimized BMP plans for controlling water quality using the Pareto trade-off surface curve in upper basin of Namgang Dam is proposed. The proposed alternatives consist of BMP installation scenarios in which the reduction efficiency of non-point pollutants is maximized in a given budget. The multi-ob...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WAT를 이용하여 수질오염저감관리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SWAT 내에서 남강댐 상류유역 토지이용에 적용할 수 있는 BMPs를 조사하였다. 남강댐 상류유역은 도시지역보다 농촌지역이 수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농촌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BMPs 중 비료 투입량 조절과 식생여과대를 적용하고자 하였다(Fig. 2).
  • 남강댐 상류유역의 수질관리를 위한 BMP의 다목적 최적화를 위하여 BMPs Database를 먼저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81년부터 2005년까지 BMP를 적용하지 않은 유역의 TP 부하량 평균을 Scenario 1로 설정하고 Table 4에 서술한 BMP를 적용하여 TP 부하량의 저감효율을 산정하였다.
  • 이는 곧 HRU 개수와 적용할 수 있는 BMP 시나리오의 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모의회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의회수 및 시간을 절약하고자 유역에 적용할 수 있는 BMPs 시나리오에 대한 TP 부하량 저감효율이 Database화하여 SWAT의 모의결과를 이용하여 다목적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Fig. 3),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BMPs 시나리오에 대한 TP 부하량 저감효율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산정되어 Database화 된다.
  • 2013). 본 연구는 SWAT 모형을 이용해 유역의 비점관리를 위한 비용대비 최대효과를 발휘하는 BMPs의 최적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당 최적안은 다목적 최적화를 통해 탐색되는데, 이는 SWAT 모형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는 최적안을 탐색하는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 남상댐 상류유역의 유역관리를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BMP 종류에 대해서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SWAT를 이용하여 수질오염저감관리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SWAT 내에서 남강댐 상류유역 토지이용에 적용할 수 있는 BMPs를 조사하였다. 남강댐 상류유역은 도시지역보다 농촌지역이 수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농촌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BMPs 중 비료 투입량 조절과 식생여과대를 적용하고자 하였다(Fig.
  • 본 연구는 유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BMPs를 적용함에 있어서 비용대비 최대효과를 낼 수 있는 적용안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비용대비 최대효과를 낼 수 있는 BMPs 적용안은 다목적 최적화를 통해 탐색되는데, SWAT을 이용한 다목적 최적화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그 활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 SWAT모형은 유역의 토양과 토지이용특성을 고려한 모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점오염관리에 적용되는 BMPs의 모의모듈을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목적에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되어 남강댐 상류유역의 SWAT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연구적용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4개의 기상관측지점(거창, 남원, 산청, 진주)의 기상자료를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수집하였다.
  • 토지계 및 축산계 비점오염물질은 토지이용에 따라 그 발생양상이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NIER (2014)에서 제시한 토지계 지목별 총 인 연평균 발생부하원단위를 SWAT 내 토양 내 초기 무기인 농도로 고려하고자 하였다. SWAT은 일반적인 식생지에서 토양 1 kg 당 5 mg의 초기 인이 존재한다고 제시하고 있다(Neitsch et al.
  • 본 연구에서는 논과 밭에 적용될 수 있는 BMP를 탐색하여 BMPs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논의 경우에는 적용되는 시나리오가 총 3가지로 비료 량을 기존 투입량 그대로, 10 % 저감, 20 % 저감하는 것으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 비용대비 최대효과를 낼 수 있는 BMPs 적용안은 다목적 최적화를 통해 탐색되는데, SWAT을 이용한 다목적 최적화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그 활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BMPs Database를 구축하여 SWAT의 직접적인 모의 없이 다목적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모의시간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었으며, 또한 유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관리하기 위해 BMPs를 적용하는 위치를 지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유역 수질관리에 그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 2016). 비용대비 비점오염물질 저감효과에 최대화에 대한 연구는 한정적인 자원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수질관리를 수행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이를 위해 남강댐 상류유역에 해당하는 3개 지점(Namgang A, Namgang B, Upper basin of Namgang Dam)의 유량 및 수질 관측 자료를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수집하였다. 유역의 토지이용 및 토양특성을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지점에서 유량 및 수질 매개변수 보정 과정이 수행되어야 하나 장기간(10년 이상)의 관측자료가 존재하는 지점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매개변수 보정 과정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에 Namgang A와 Namgang B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해 유량 및 수질을 관측하고 있는 총량측정망의 8일 간격 자료를 활용하였다(http://water.
  • 해당 최적안은 다목적 최적화를 통해 탐색되는데, 이는 SWAT 모형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는 최적안을 탐색하는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SWAT-MATLAB을 연동한 최적안 탐색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때, 저감을 목표로 하는 비점오염물질은 총인(Total Phosphorus, 이하 TP)으로 한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BMPs Database를 구축하여 SWAT의 직접적인 모의 없이 다목적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모의시간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었으며, 또한 유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관리하기 위해 BMPs를 적용하는 위치를 지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유역 수질관리에 그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SWAT 모형 내에 해당 값을 고려하기 위하여 토지지목 중 기타재배지에서 축산계 비점오염물질이 발생하여 전량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남강댐 상류 단위유역별로 축산 비점 부하량을 기타재배지 면적을 나누어 그 평균값을 축산계 비점 발생부하원단위로 고려하였다.
  • 이 때 사용되는 홍보비용은 환경부에서 사용되는 정책홍보비용을 참조하였다. 비점오염원 10 % 저감을 위하여 연간 1 억 원이 소요되는데(ME, 2006), 이를 참조하여 비료 투입량 10 % 저감에 연간 1억 원의 홍보 비용이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비료 투입량 20 % 저감에는 연간 2 억 원의 홍보비용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가정). 연간 홍보비용을 적용되는 토지 이용면적으로 나누어 비료투입량 저감을 위한 단위면적 당 소요비용으로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점오염원의 특성은? 환경부에서는 하천의 수질관리를 위하여 오염물질 발생원을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하여 관리하였다. 점오염원은 환경기초시설의 방류수처럼 그 발생경로와 양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그 관리가 용이하다. 이와 반대로 비점오염원은 오염물질 유출 및 배출 경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며, 최근 기후변화 등과 같이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비점오염원이 가지는 문제점은? 점오염원은 환경기초시설의 방류수처럼 그 발생경로와 양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그 관리가 용이하다. 이와 반대로 비점오염원은 오염물질 유출 및 배출 경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며, 최근 기후변화 등과 같이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NIER (2010)에 따르면, 1998년에는 전체 오염물질 중 비점오염물질이 차지하는 비율이 27.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는 기법들에 대한 연구의 예는? 이 뿐만 아니라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는 기법들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Choi et al. (2011)은 지표면의 시공간적 변화를 고려한 비점오염물질 저감 저류지의 최적용량을 산정하는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Cho et al. (2013)은 EPA-SWMM을 이용하여 식생저류지, 옥상녹화, 침투 트렌치, 투수성 포장, 빗물 통, 식생수로를 적용함에 따라 비점오염물질의 저감효과를 강우사상 규모 등급별로 비교분석하였다. Lee et al. (2017)는 도시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도로청소에 대한 삭감량 산정방법을 연구하여 도로청소가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적용방안에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에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함에 따라 소요되는 비용까지 고려하여 비용대비 비점오염물질 저감효과를 최대로 낼 수 있는 설치안 제시에 대한 연구도 진행된 바 있다(Lee et al, 2013; Lee et al., 2018;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rabi, M., Frankenberger, J. R., Engel, B. A., and Arnold, J. G. (2007). Representation of agricultural conservation practices with SWAT, Hydrological Processes: An International Journal, 22(16), 3042-3055. 

  2. Basnyat, P., Teeter, L. D., Flynn, K. M., and Lockaby, B. G. (1999). Relationships between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inputs to coastal estuaries, Environmental Management, 23(4), 1743-1757. 

  3. Bosch, N. S., Evans, M. A., Scavia, D., and Allan, J. D. (2014). Interacting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agricultural BMPs on nutrient runoff entering lake Erie, Journal of Great Lakes Research, 40(3), 581-589. 

  4. Cho, S., Kang, M., Kwon, H., Lee, J., and Kim, S. (2013).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low impact development practices in an urban area: non-point pollutants removal measures using EPA-SWMM,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4), 466-475. [Korean Literature] 

  5. Choi, D., Kim, J. K., Lee, J. K., and Kim, S. (2011). Optimal volume estimation for non-point source control retention considering spatio-temporal variation of land surfa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7(1), 9-18. [Korean Literature] 

  6. Galbraith, L. M. and Burns, C. W. (2007). Linking land-use, water body type and water quality in Southern New Zealand, Land Scape Ecology, 22(2), 231-241. 

  7. Gupta, H. V., Kling, H., Vilmaz, K. K., and Martinez, G. F. (2009) Decomposition of the mean squared error and NSE performance criteria: implications for improving hydrological modelling, Journal of Hydrology, 337, 80-91. 

  8. Gyeongsangnam-do. (2015). Phase 3 Gyeongsangnam-do total maximum daily load basic plan, Gyeongsangnam-do. 

  9. Harrell, L. J. and Ranjithan, S. R. (2003). Detention pond design and land use planning for watershed management,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129(2), 98-106. 

  10. Jordan, T. E., Correll, D. L., and Weller, D. E. (1997). Relating nutrient discharges from watersheds to land use and streamflow variability, Water Resources Research, 33(11), 2579-2590. 

  11. Jung, S., Eum, J., Jang, C., Choi, Y., and Kim, B. (2012).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and nutrient concentration in the Han river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2), 255-268. [Korean Literature] 

  12. Kaini, P., Artita, K., and Nicklow, J. W. (2012). Optimizing structural best management practices using SWAT and genetic algorithm to improve water quality goals, Water Resources Management, 26, 1827-1845. 

  13. Kalcic, M. M., Frankenberger, J., and Chaubey, I. (2015). Spatial optimization of six conservation practices using SWAT in tile-drained agricultural watershed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1(4), 956- 972. 

  14. Lee, J., Kim, J., Lee, J. K., Kang, L., and Kim, S. (2012). Current status of refractory dissolved organic carbon in the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4), 538-550. [Korean Literature] 

  15. Lee, J., Park, Y., Shin, H. S., Kim, J., and Kim, S. (2013). A study on applicability of SUSTAIN in a Korean urban catch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6), 730-738. [Korean Literature] 

  16. Lee, O., Kim, S., Lee, J., and Park, Y. (2018). Optimal design of bioretention cells using multi-objective optimization technique, Desalination and Water Treatment, 102, 134-140. 

  17. Lee, T., Cho, H. L., Jeong, E., Koo, B. K., Park, B., and Kim, Y. (2017). A study on estimating diffuse pllution loads removal by road vacuum clea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3(2), 123-129. [Korean Literature] 

  18. Liu, Y., Shen, H., Yang, W., and Yang, J. (2013). Optimization of agricultural BMPs using a parallel computing based multiojective optimization algorithm, Environmental Resources Research, 1(1), 39-50. 

  19. Maringanti, C., Chaubey, I., and Popp, J. (2009). Development of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tool for the selection and placement of best management practivec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Water Resources Research, 45(6), 1821-1862. 

  20. Maringanti, C., Chaubey, I., Arabi, M., and Engel, B. (2011). Application of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ethod to provide last cost alternatives for NPS pollution control, Environmental Management, 48(3), 448-461. 

  21.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06). Environmental policy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22.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4). BMP facility installation and administration manual,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2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0). Optimum management guideline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for TMDL,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2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4). Results of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load) source and basic unit of land source, Expert Forum about Investigating Business of Non-point Long-term Monitoring and Basic Unit. [Korean Literature] 

  25. Neitsch, S. L., Arnold, J. G., Kiniry, J. R., and Williams, J. R. (2009).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9. 

  26. Ouyang, W., Hao, F. H., Wang, X. I., and Cheng, H. G. (2008). Nonpoint source pollution responses simulation for conversion cropland to forest in mountains by SWAT in China, Environmental Management, 41, 79-89. 

  27. Park, J. Y., Yu, Y. S., Hwang, S. J., Kim, C., and Kim, S. J. (2014). SWAT modeling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Chungju Dam watershed in South Korea under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Paddy and Water Environment, 12(1), 65-75. 

  28. Park, Y., Jang, S. H., and Kim, S. (2016). Optimum installation of permeable pavement using multi-objective optimization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6(4), 313-321. [Korean Literature] 

  29. Rhodes, A. L., Newton, R. M., and Fufall, A. (2001). Influences of land use on water quality of a diverse New England watershed,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5(18), 3640-3645. 

  3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0). Criteria for prescribing fertilizers according to crop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31. Shah, V. G., Dunstan, R. H., Geary, P. M., Coombes, P., Roberts, T. K., and Rothkirch, T. (2007). Comparison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from diverse catchments during dry periods and following rain events, Water Research, 41(16), 3655-3666. 

  32. Statistics Korea (SK) (2016). Major crop production trends in 2015, Statistics Korea. [Korean Literature] 

  33. Wallace, C. W., Flanagan, D. C., and Engel, B. A. (2017). Quantifying the effects of conservation practice implementation on predicted runoff and chemical losses under climate chang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186, 51-65. 

  34. Zhang, G., Hamlett, J. M., Peed, P., and Tang, Y. (2013).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low impact development designs in an urbanizing watershed, Open Journal of Optimization, 2, 95-1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