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4 no.2, 2018년, pp.43 - 52  

송미숙 (경북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박경민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 경험의 의미와 그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결혼이주여성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5월 15일부터 7월13일까지 9명씩 2개의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은 한 집단 당 1회씩 시행하였다. 1회당 인터뷰는 1시간 30분에서 2시간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로 수집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범주와 11개의 주제모음(theme clusters)으로 도출되었다. 본질적 구조로는 '물과 기름', '자녀교육에 대한 욕심', '설상가상', '해결의 길을 따라 튼튼해지는 가족건강'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 경험을 이해하는 것은 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The study was conducted on 18 immigrant wome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two focus groups of nine from May 15 to July 13, 2017,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 건강성에 관한 경험의 구조를 파악하여 서술함으로서 경험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그를 바탕으로 가족건강성을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본 연구의 질문은 ‘결혼이주여성의 가족 건강성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 마지막 단계로 연구자가 구성한 의미들을 참여자의 반응과 느낌에 초점을 맞추어 주제 및 주제모음으로 범주화하고 이들 주제가 원 자료와 맥락적으로 일치하는지, 주제들 간에 차별화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모든 분석결과를 본질적 주제에 따라 그 체험의 의미중심으로 하나의 기술로 통합하고 경험의 의미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 참여자 18명에게 그들의 경험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민 여성의 가족건강성 경험의 본질과 그 구조를 이들의 관점에서 탐색, 기술함으로써 결혼이주민 여성의 가족건강성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민여성의 가족건강성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결혼이주민 여성의 가족건강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 건강성에 관한 경험의 구조를 파악하여 서술함으로서 경험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그를 바탕으로 가족건강성을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은 어떠한 경험인지를 알아보고자 질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연구자료는 결혼이주여성 1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하였고, Colaizzi 자료 분석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 결혼이주 여성들이 가족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위해요인을 극복하고 자기성찰을 통해 가족건강성 증진을 위해 노력하려는 의지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이 가족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국사회의 구조와 문화에 빨리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Lincoln과 Guba [15]가 제시한 평가 기준을 따라 질적 연구결과의 엄정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엄밀성 평가기준에 따라 ‘사실적 가치’, ‘적용성’, ‘일관성’, ‘중립성’의 측면에서 평가하고 이를 통해 연구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그 경험의 구조를 확인, 서술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 참여자의 가족건강성 경험은 ‘물과 기름’, ‘자녀교육에 대한 욕심’, ‘설상가상’, ‘해결의 길을 따라 튼튼해지는 가족건강’ 의 4개의 범주와 11개의 주제모음(theme clusters) 및 30개의 주제로 확인할 수 있었다.
  • 또한 질적 연구 논문게재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외국인 무료진료센터에서 활력증후를 측정하는 자원봉사자로 참여하면서 결혼이주민여성의 가족건강성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 엄밀성 평가기준에 따라 ‘사실적 가치’, ‘적용성’, ‘일관성’, ‘중립성’의 측면에서 평가하고 이를 통해 연구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연구자는 연구결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질문하고 창조적인 사고과정을 통해 반추한 후 참여자의 원래 진술과의 일치도를 확인하였고, 참여자의 진술을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면서 연구자 2인이 서로 검토하였다. 적용성은 양적 연구의 외적타당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연구결과를 다양한 맥락에서 적용할 수 있느냐에 관한 것인데,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진술이 포화상태에 이를 때까지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이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양적 연구의 신뢰도에 해당하는 일관성은 유사한 질문에 대한 참여자의 일관된 진술을 확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료에서 발견된 주제에 대한 분석적 사고를 위해 지속적 비교방법을 실시하고 질적 연구 경험이 있는 교수와 토론을 통해 이를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마무리 질문 : 말씀해주신 내용들은 간략하게 요약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이외에도 추가로 하시고 싶으신 얘기가 있으시면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의 건강성은 무엇인가? 가족의 건강성이란 정서적 유대감을 적절한 수준으로 잘 유지하는 가족이 가족 내에서의 감정, 사랑, 경계,의식, 패러다임, 규칙, 일상생활, 의사결정, 자원관리와같은 가족 과정과 관계를 기능적으로 실행하여 가족 구성원이 행복하고 가족이라는 체계로서 각 가족의 상태나 생활주기 등에 맞는 적절한 기능을 잘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5]. 그런데 다문화 가정의 이혼율이 전체 한국가정 이혼율의 9.
한국에 결혼시장에 혼란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와 혼인기피, 성비불균형의 심화, 사회전체의 고학력화 추세로 도시와 농촌 간의 격차, 초혼연령의 상승과 저 출산 등이 결합하여 결혼시장에 혼란현상이 일어났다. 그 결과 결혼조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농, 어촌지역이나 도시 저소득층 남성의 혼인에 어려움을 초래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 경험으로 파악되는 범주는 무엇인가? 연구 결과 4개의 범주와 11개의 주제모음(theme clusters)으로 도출되었다. 본질적 구조로는 '물과 기름', '자녀교육에 대한 욕심', '설상가상', '해결의 길을 따라 튼튼해지는 가족건강'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 경험을 이해하는 것은 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 H. Park,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Korea Academy of Welfare Practice., Vol.5, No.1, pp. 87-110, 2013. 

  2. Statistics Korea, Married migrant present condition. http://www.index.go.kr. 2016. 

  3. S. J. Yoon, "Structural Model on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doctoral dissertation, G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2016. 

  4. H. S. Chung, Y. S. Kim, T. M. Yee, K.H. Ma, Y. J. Choi, G. P. Park, C. J. Tong, J. M .Hwang ,E. A. Lee. "An Analysis o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6. 

  5. Y. G. Yoo, I. S. Lee, S. K. Kim, H. J. Choi ,"Development of Korea Family Strengths Scale(KFSS-II)".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 Vol. 31, No.4, pp. 113-129, 2013. 

  6. H. S. Kim, K. S. Kim, "A Study of Related Variables to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Korean Men Coupl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16, No.2, pp. 59-86, 2011. 

  7. H. Y. Seo ,"Study on marriage migrant women's social support networt, affect of family health to quality of life", master's dissertation, Hannam University, Daejeon, 2016. 

  8. S. K. Lee,"A Study on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Prediction Model for Marriage-Migrant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2011. 

  9. J. H, Choi ," A Study of Stress and Family Strength of Immigrant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6, No.4, pp.29-46, 2011. 

  10. K. H. Kim, J. H. Choi, "A Study on Stress, Coping Style and Family Strength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Vol.23, pp. 29-49. 2011. 

  11. J. H. Lee, S. J. Jin, H. J. Ju, Y. S. Cho, "The Impact of Marriage Migrant Women's Korean Language Ability, Self-esteem, and Acculturative Stress on Their Family Health: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Adjus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4, No. 1, pp. 87-98, 2013. 

  12. S. S. Seo, J. A. Back,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Ego-Resilience, and Gender Role Attitudes on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9, pp 301-310, 2017. 

  13.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phenomenological alternative for psycholog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1978. 

  14. D. L. Morgan,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 1997. 

  15. Y. S. Lincoln and E. G. Guba,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1985. 

  16. S. K .Kim, Y. K. Kim, E. J. Joe, H. R. Kim, H. K. Lee, D.H. Sul, K .S. Jung, I. .S. Sim, "A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2009", Ministry of Health & Welfare/Justice /Gender Equality & Famil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http://repository.kihasa.re.kr:8080/handle/201002/1759 

  17. O. N. Kim,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arital Conflicts of Immigrant Women", Family and Culture, Vol.18, No.3 pp. 63-106, 2006. 

  18. J. H. Lee, "Study on marriage migrant women's satisfaction with marital relations", master's dissert 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19. H. J. Jeon, S. H. Min, M. Y. Lee, H. Y. Choi,"Path of the Variables to Migrant Women's Families'Health,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14, No.2, pp. 5-27, 2009. 

  20. J. H. Yang, H. J. Park, S. S. Kim, E . J. Kang, S. H. Byun, J. S. Bang, "Adaptation experience to family of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42, No.1, pp. 36-47, 2012. 

  21. M. Y. Cho, Mothers' Stories about Their Experiences on the Child's Character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yoman,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3, No. 4, pp.93-100, 2017. 

  22. B. K. Park,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of Family Adjustment Process Experience in Married Immigr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 2, pp. 277-295,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