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행론의 관점에서 본 전통 스토리텔링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Storytelling in the sense of Performance Theor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4 no.2, 2018년, pp.123 - 130  

김경섭 (을지대학교 교양학부) ,  김정래 (을지대학교 의료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토리텔링 연구에서 그동안 '스토리'의 정태적 측면만이 고려되고, '텔링'의 동적이고 구체적인 현장이 등한시 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스토리텔링 논의에 있어서, 스토리 중심에서 탈피하여 말하기와 상호 작용성을 중심으로 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이런 점을 적극 수용하여 이 글에서 거론하는 '전통 스토리텔링'이란 설화 구연상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용어이다. 스토리텔링이 구연화자에 의해 표현될 경우가 바로 구술 연행이라는 '전통 스토리텔링'이라 할 수 있다. 사실상 스토리텔링의 오랜 역사는 이야기 연행과 같은 구연 스토리텔링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물론 현 시대의 스토리텔링이 구술 시대의 스토리텔링과 같은 것일 수는 없겠지만, 전통스토리텔링의 구연상황은 텔링이 중요한 이 시대에 새로운 시사점을 던져 준다. 우선 전통 스토리텔링의 형식에서 주목할 것이 바로 연행의 '반성성'이다. 이는 연행 형식 내에 자기 자신을 점검하고 되돌아보는 일종의 자기-참조의 양식이다. 이를 통해 전통 스토리텔링은 텔링의 현장성과 일회성을 수시로 의식하는 면모를 보이고 있다. 두 번째는 전통 스토리텔링의 '틀'이다. 틀을 통해 전통 스토리텔링은 연행의 시간과 공간을 확보한다. 틀은 일종의 연행 분위기를 조장하고 형성하는 일련의 발화와 행위를 포괄하는 것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전통 스토리텔링의 틀에 대한 일반적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orytelling is a compound of two words, 'story' and 'telling'. While the static aspect of 'story' has been emphasized, the dynamic and specific aspect of telling has been ignored. So, in the argument of 'storytelling', it is necessary to break from talking about 'story' and discuss the matter in 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의는 이야기 구연을 연행론의 관점에서 다룰 때, 스토리의 정태적 측면만이 고려되고 텔링의 동적이고 구체적인 현장이 상대적으로 등한시 되어온 것을 염두에 둔 논의였다. 여기서 거론된 ‘틀짜기’나 ‘틀풀기’,‘반성성’ 등의 개념은 그러므로 연행의 형식적 표지들을 재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 여기서 거론된 ‘틀짜기’나 ‘틀풀기’,‘반성성’ 등의 개념은 그러므로 연행의 형식적 표지들을 재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 물론 현 시대의 스토리텔링이 구술 시대의 스토리텔링과 같은 것일 수는 없겠지만, 전통 스토리텔링의 구연상황은 텔링이 중요한 이 시대에 새로운 시사점을 던져 줄 것이다. 이제 전통 스토리텔링의 연행적 측면을 검토하여 그 의의를 살피도록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 스토리텔링이란 무엇인가?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이 글에서 거론하는 ‘전통 스토리텔링’이란 설화 구연상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용어이다. 또한 여기서 거론하는 전통 스토리텔링이란 이야기 구연상황을 반영하는 범위로 한정한다는 점을 미리 밝힌다.
전통 스토리텔링이 지니고 있는 디지털 시대의 매체특성은 무엇인가? 옷과 그림,도구, 악기 등 다양한 것들이 연행 상황에 양념처럼 등장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구연자 특유의 얼굴 표정과 어조, 노래, 춤 등까지 어울리게 된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비선형적이고도 多매체적 속성을 내포한, 디지털 시대의 매체특성을 이미 지니고 있었음을 강조할 수 있다. 구비문학은 멀티미디어적 속성을 다분히 지니고 있었으나, 구술적 요소가 문자로 환원되면서 그 풍부한연행적 요소들이 사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매체의 환경의 어떤 면이 스토리텔링에서 '스토리'의 측면이 더욱 중요해지게 만들겠는가? 스토리텔링의 오랜 역사는 사실 이야기 연행과 같은 구연 스토리텔링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매체의 환경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빠르게 변하는 현시대의 상황에서, 하드웨어적인 것들의 격차는 점점 줄어들고 소프트웨어적인 것들의 변별이 콘텐츠의 질을 결정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런 면에서 ‘스토리’의 측면은 앞으로 더욱 중요해 질 것이 분명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S Park, Approaches for Productive Discussion on Storytelling of Cultural Contents,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32;5-26, 2007. 

  2. HS Song, A Narratological Significance of Storytelling Today, The Society of Poetics & Linguistics, 18;163-180, 2010. 

  3. HS Choi, Theory of digital storytelling,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21(2);12-15, 2003. 

  4. HZ Kim, The Orality of Experience story and Folktales, Journal of Korean Oral Literature, 4;113-142, 1997. 

  5. Barbara A. Babcock, Reflexivity : Definition and Discriminations, Semiotica 30(1/2);2-10, 1980. 

  6. Harris M. Berger & Giovanna P. Del Negro, "Bauman's Verbal Art and the Social Organization of Attention : The Role of Reflexivity in the Aesthetics of Performanc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115;62-73, 2002. 

  7. Beverly Stoeltje & Richard Bauman, "The Semiotics of Folkloric Performance", A. Sebeok and Jean Umike-Sebeok eds., The Semiotic Web, Mouton de Gunyter, 1-439, 1987. 

  8. Richard Bauman, Verbal Art as Performance, Waveland Press, 1-150, 1984. 

  9. M. L. Pratt, Toward a Speech Act Theory of Literary Discourse, Indiana University Press, 1-256, 1977. 

  10. KS Kim, JLKim, The Significance of Korean Proverb and Riddle in the sense of Bias.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3(4);35-42, 2017. 

  11. KS Kim, JLKim, Analysis on the special quantitative variation of dot model by the position transform,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5(3);67-72,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