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녀 노인의 건강수준과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Subjective Health and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Haenyo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2, 2018년, pp.105 - 115  

채명아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김증임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최경숙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한기혜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Haenyo. Methods: Subjects were 100 elderly Haenyo in Jeju island who belonged to a fishing-village society. Main variables wer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strumental ADL (IADL), the HRQoL, subject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녀는 산소공급 장치의 도움 없이 숨을 참은 상태에서 바다 속으로 잠수하여 해산물을 직접적으로 채취하는 여성 잠수부들을 가리킨다[1,2]. 본 연구에서는 현재 어촌계에 등록이 되어 잠수어업인증을 발급받아 물질을 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해녀 노인을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남부 지역에 살고 있는 65세 이상의 해녀노인을 대상으로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 결과는 해녀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의 근거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제주도 서귀포시 서남부 지역 어촌계에 소속되어 있는 65세 이상 해녀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 관련 삶의 질과 관련 요인들을 파악하고 영향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 연구는 제주도 서귀포시 서남부 지역에서 물질을 해온 해녀노인들의 건강실태 파악과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대상자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정도를 증진시키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많이 연구되지 않은 해녀노인의 건강 문제를 조사하고 이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녀란 무엇인가? 해녀는 산소공급 장비 없이 바다 속에서 해산물을 채취하는 사람으로 제주도에만 존재하는 아주 특별한 문화유산이다[1]. 우리나라의 해녀는 한반도 각 해변과 여러 섬에 존재하지만 대부분 제주도에 거주하고 있다.
해녀들의 건강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포함해야하는 증상은 무엇인가? 그런데 해녀는 대부분 고령으로 매우 강도 높은 노동을 몇 십 년 동안 계속하여 근 ‧골격질환이 많고[6] 잠수하는 동안 안압이 상승하여 두통을 유발하고 난청과 어지럼증이 동반된다[7]. 그러므로 해녀들의 건강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물질 작업과 관련된 증상, 특히 수압 차이로 인한 증상인 난청, 두통, 어지럼증[7]을 포함하여야 한다.
2014년 조사에서 고혈압, 당뇨 유병률에서 보이는 일반 노인과 해녀노인의 건강문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한편 본 연구결과 일반 여성노인보다 해녀노인에서 유병률이 낮았던 건강문제는 고혈압(31.0%), 당뇨(5.0%)로 2014년 조사결과인 전체 노인여성의 고혈압 유병율 60.2%의 1/2수준 이었고, 당뇨의 유병률 22.8%의 1/4 수준에 미치는 결과였다 [3]. 이는 고혈압과 당뇨는 생활습관 관련 질환이라는 점에서 [23] 한 달에 20일 이상 물속에서 신체활동을 하는 해녀들의 (6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ulture of Jeju Haenyeo (women divers) [Internet]. Geneva: Author; 2014 [cited 2016 January 07]. Available from: https://ich.unesco.org/en/RL/culture-of-jeju-haenyeo-women-divers-01068#identificationNominationfileNo.01068 

  2. Haenyo Museum. A review of the Korean woman diver in Jeju [internet]. Jeju: Author; 2016 [cited 2018 Jan 23]. Available from: http://www.jeju.go.kr/haenyeo/haenyeo/statistics.htm 

  3. Statistics Korea. Statistics for the elderly 2014 [Internet]. Daejeon: Author; 2015 [cited 2016 January 07]. Available from: https://meta.narastat.kr/metasvc/index.do?confmNo117071&inputYear2014 

  4. Lee HH, Kang K, Kwon M, Kwon J, Lee JY. P-44 physiological implications and life styles of Korean female divers, Haenyeo: A questionnaire study. Symposium on Human-Environment System. 2014;38:241-244. 

  5. Lee JY, Lee HH, Kim S, Jang YJ, Baek YJ, Kang KY. Diving bradycardia of elderly Korean women divers, Haenyeo, in cold seawater: A field report. Industrial Health. 2016;54:183-190. https://doi.org/10.2486/indhealth.2015-0043 

  6. Koh HW, Cho SH, Yang YH, Kim CY. Effect of a fact-finding survey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hell-fishing work and farm work, musculo-skeletal pain and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Jeju women diver.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5;5(4): 235-250. https://doi.org/10.14257/AJMAHS.2015.08.17 

  7. Choi JC, Lee JS, Kang SY, Kang JH, Bae JM. Chronic daily headache with analgesics overuse in professional women breathhold divers. Headache: The Journal of Head and Face Pain. 2008;48:1037-1043. https://doi.org/10.1111/j.1526-4610.2007.01017.x 

  8. Park KE, Kwon MH, Kwon YE. Correlation among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3;27(3):527-538. https://doi.org/10.5932/JKPHN.2013.27.3.527 

  9. Group The EuroQol. EuroQol-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990;16(3): 199-208. 

  10.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11. Katz S, Amasa B, Ford MD, Roland W, Moskowitz MD, Jackson BA, et al.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 and psychologic fun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63;185(12):914-919. https://doi.org/10.1001/jama.1963.03060120024016 

  12. Won CW, Yang KY, Rho YG, Kim SY, Lee EJ, Yang JL, et al.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DL (K-IADL)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2;6(2):107-120. 

  13. Kang SJ, Choi SH, Lee BH, Kwon JC, Na DL, Han SH. Korean Dementia Research Group.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02;20(1):8-14. 

  14. Nam HS, Kim GY, Kwon SS, Ko KW, Kind P.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Q-5D survey tools in Korea. 2007 KCDC. 

  15. Lee YH, Choi JS, Rhee JA, Ryu SY, Shin MH, Kim JH.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Korea valuation weight for EuroQoL-5 dimens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9;26(1):1-13. 

  16. Cho MJ, Nam JJ, Suh GH. Prevalence of symptoms of depression in a nationwide sample of Korean adults. Psychiatry Research. 1998;81(3):341-352. https://doi.org/10.1016/S0165-1781(98)00122-X 

  17. Lee JC, Park JA, Bae NK, Cho YC. Factors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2008;33(2):204-220. https://doi.org/10.5393/JAMCH.2008.33.2.204 

  18. Farmer MM, Ferraro KF. Distress and perceived health: Mechanisms of health declin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97;38(3):298-311. https://doi.org/10.2307/2955372 

  19. Oak JW. Review on quality of life scales in nursing science.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Review. 2012;10(2):31-36. 

  20.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Seoul: Author; 2016 [cited 2017 July 21].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menu/boardRetriveMenuSet.xx?menuIdF3323# 

  21. Hwang HS, Bae JM, Hwang SW, Park HK, Kim IY. Effects of breath-hold diving on bone mineral density of women divers. Joint Bone Spine. 2006;73:419-423. https://doi.org/:10.1016/j.jbspin.2005.07.005 

  22. Lim HW, Chae SW. The current state of aged-related hearing los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9):910-917. https://doi.org/10.5124/jkma.2011.54.9.910 

  23. Kang JK. Lifestyle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4;47(3):188-194. https://doi.org/10.5124/jkma.2004.47.3.188 

  24. Koh BS, Yoo YS. A study on the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Jeju.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02;18(0):49-72. http://210.101.116.28/W_files/kiss6/46300317_pv.pdf 

  25. Kim SK. A study for raising the quality of the rural old aged men's liv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4;23:179-202. 

  26. Kim HR. Predicting factors fo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at senior cent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4;16(2):95-106. https://jkgn.2014.16.2.95 

  27. Jeon SN, Shin H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QoL of widowed elderly women: Mediation effect of physical-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14;34(1):87-101. 

  28. Lee CI, Hong SC.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in rural areas of Jeju Island.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2002;6(2):97-109. 

  29. Kim H, Park SM, Jang SN, Kwon S. Depressive symptoms, chronic medical illnes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findings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1;23(08):1285-1293. https://doi.org/10.1017/s1041610211000123 

  30. Lee JY, Park JH, Kim SY. Cold adaptation, aging, and Korean women divers haenyeo. Journal of Physiological Anthropology. 2017;36:33-46. https://doi.org/10.1186/s40101-017-014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