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혼모의 양육 스트레스 영향요인: 우울, 사회적 지지, 건강지각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Unmarried Mothers' Parenting Stress: Based on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Health Perceptio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2, 2018년, pp.116 - 125  

오은정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김혜영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arenting stress of unmarried moth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108 unmarried women who were parenting their children under the age of six. The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5, 2016 to March 5, 2017. The instruments consisted of self-reported questionna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혼모에 대한 선행연구는 임신, 출산, 양육의 경험[1,6]을 다루거나 사회적 차별이나 정책적 지원[1,3,10] 같은 사회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대부분이며 미혼모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 관련 요인을 고려한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간호학적 접근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혼모라는 상황적 특수성에서 경험하게 되는 양육 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고 미혼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 사회에서 미혼모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오늘날 우리 사회는 급속한 서구화, 미디어의 빠른 보급으로 인해 개방적인 성문화가 수용되기 시작하면서 전통적인 도덕 규범과 남녀의 혼전 성관계의 금기 완화 등으로 미혼모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과거 미혼모는 주로 입양을 선택하였지만 최근 미혼모는 입양 대신 자녀 양육을 선택하는 경우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1].
최근 가족 구조의 변화는 미혼모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최근 가족 구조의 변화는 자녀 양육에 대한 부모 책임과 양육자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강조하게 되면서 미혼모에게는 자녀의 주 양육과 경제활동을 홀로 책임져야 하는 스트레스를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3]. 특히 부모역할 수행에 중요한 배우자의 지지가 없고, 준비되지 않은 임신과 출산으로 열악한 건강상태와 사회적 차별과 편견으로 우울과 같은 정서 상태로 인하여 양육자로서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워 미혼모는 심한 양육 스트레스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4,5].
미혼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미혼모는 임신과 출산, 양육의 과정을 경험하면서 가족의 비난, 사회의 따가운 시선과 낙인으로 인해 주변 사람과의 관계가 단절되고 이로 인한 지지체계의 부족은 심리적 스트레스를 불러오게 된다[12,13]. 또한 이러한 낮은 사회적 지지와 경제적 어려움은 양육 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4]. 반면 사회적 지지가 높고 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미혼모의 경우 양육 행동을 덜 어려운 과제로 지각하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는 미혼모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HY. Teenage single mom's experience of childbirth and caring.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2010;26(4):101-131. 

  2. Statistics Korea. 2015 Population Census [Internet]. Daejeon: KOSIS; 2016 [cited 2016 September 9].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SI1501&conn_pathI2 

  3. BeLue R, Halgunseth LC, Abiero B, Bediako P. Maternal health status and parenting stress in low-income, ethnic-minority mothers of children with conduct disorder problems: The role of daily parenting hassles. Journal of Racial and Ethnic Health Disparities. 2015;2(4):501-509. https://doi.org/10.1007/s40615-015-0098-7 

  4. Moon YK, Min HS. The effects of infant's temperament, developmen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infant mother's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2; 21(1):59-70. https://doi.org/10.5934/KJHE.2012.21.1.59 

  5. Connolly J, Heifetz M, Bohr Y. Pregnancy and motherhood among adolescent girls in child protective services: A meta-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Public Child Welfare. 2012;6(5):614-635. https://doi.org/10.1080/15548732.2012.723970 

  6. Lee JI, Lee IS. Experiences of unmarried mothers. Family and Family Therapy. 2016;24(2):269-296. 

  7. Han JA, Kim JH, Cho YJ. Effects of preschool children's gender, age, temperament,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maternal depression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2014;18(4):525-544. 

  8. Kim MO, Lee AY, Nam HA.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mother with infancy and early childhood.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6;16(12):769-783. https://doi.org/10.22251/jlcci.2016.16.12.769 

  9. Atkins R. Self-efficacy and the promotion of health for depressed single mothers. Mental Health in Family Medicine. 2010;7 (3):155-168. 

  10. Lee MS, Jang SG, Shin GJ, Lee YS. The obstetrical study on pregnancy and delivery of unmarried mother.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007;18(3):222-232. 

  11. Norizan A, Shamsuddin K. Predictors of parenting stress among Malaysian mother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2010;54(11):992-1003. https://doi.org/10.1111/j.1365-2788.2010.01324.x 

  12. Kim HS, Lee MH.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ate anxiety in community-dwelling unmarried mother raising a child.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11):225-235. https://doi.org/10.5392/JKCA.2012.12.11.225 

  13. Kim HJ, Kwon JH, Choi HS. A case study on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unmarried mother.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12;36:121-155. 

  14. Raikes HA, Thompson RA.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parenting stress among families in poverty.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005;26(3):177-190. https://doi.org/10.1002/imhj.20044 

  15. Yune HS, Oh KJ.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among families in poverty: focused on children's age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010; 15(4):673-689. 

  16. Beck AT, Steer RA, Brown GK. Manual for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2nd ed.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1996. 1-38 p. 

  17. Sung HM, Kim JB, Park YN, Bai DS, Lee SH, Ahn HN.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08;14(2):201-212. 

  18.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127 p. 

  19. Moon TJ. Effect of social support reducing unmarried mother's stress on self-esteem [master's thesis]. Seoul: Dankook University; 2003. 102 p. 

  20. Ware Jr JE. Scales for measuring general health perceptions. Health Services Research. 1976;11(4):396-415. 

  21. Lee TH.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master of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1989. 61 p. 

  22. Abidin RR. Parenting Stress Index manual. 3rd e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5. 124 p. 

  23. Lee KS, Chung KM, Park JA, Kim HJ.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K-PSI-SF).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008;13(3): 363-377. 

  24. Kwon BH, Kim GS.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at doll making on affection and depression in unmarried mothers in facilities.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15;22(3): 985-1007. 

  25. Samuels-Dennis J. Relationship among employment status, stressful life events, and depression in single mothers. Canadi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6;38(1):58-80. 

  26. Lee YJ, Kim J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mong married women with young childre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stabilit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2;13(5):2229-2249. 

  27. Kim AH, Oh HE, Kim J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depression among unmarried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13(2):123-130. 

  28. Lee EJ, Kim HO. The effects of the health percept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18(1):152-164. 

  29. Rousou E, Kouta C, Middleton N, Karanikola M. Single mothers' self-assessment of health: A systematic exploration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13;60(4):425-434. https://doi.org/10.1111/inr.12044 

  30. Huang CY, Costeines J, Ayala C, Kaufman JS.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for ethnic minority adolescent mothers: Impact on child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014;23(2):255-262. https://doi.org/10.1007/s10826-013-980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