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만지지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A Concept Analysis of Labor Support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2, 2018년, pp.138 - 149  

채미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박호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dentify and clarify the concept of labor support. Methods: This study used Schwartz-Barcott & Kim's hybrid model to identify the main attributes and indicators. In the fieldwork stage, data were collected in Seoul and Chenmam, Korea. The participants were five nurses working in the de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자는 연구도구로써 자료수집후 분석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시행 전 대학원에서 ‘질적 연구방법론’을 수강하였다. 또 다른 연구자는 대학에서 수년간 질적 연구를 수행해 왔고, 다수의 질적 연구 워크숍에 참여 경험을 가짐으로써 연구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심층 인터뷰와 관련된 자질을 함양하기 위해 심층 면담과 관련된 도서를 정독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현 시점 임상현장의 상황을 토대로 분만지지간호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기 위해 Schwartz-Barcott와 Kim의 혼종모형(hybrid model)방법을[17] 사용하여 분만지지 간호의 차원과 속성 및 지표를 도출하고 분만지지간호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개념분석을 위한 방법들 중 혼종모형방법이 개념을 확인, 분석, 세련화하는 과정에서 이론적 분석과 실증적인 현장 분석을 함께 시행하여[17] 임상간호 현장을 분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혼종모형에서[17] 제시하고 있는 이론적 단계, 현장 작업 단계, 최종 분석 단계를 통해 분만지지간호의 차원과 속성 및 지표를 도출하는 개념분석 연구이며, 연구 절차는 Figure 1과 같다.
  • 이론적 단계에서는 개념을 선택하고 문헌고찰을 시작하며 분석을 통해 개념의 의미와 속성에 대해 비교하여 개념의 정의를 선택한다[17]. 본 연구에서는 분만지지간호에 대한 본질적 의미 고찰을 위한 개념의 정의와 속성을 도출하기 위해 사전적 의미와 국내외 학술문헌을 고찰하였다. 해당 문헌의 검색 기간은 1990-2017년으로 한정하였으며, 주제어는 ‘분만지지간호’, ‘labor support’, ‘labor care’, ‘intrapartum support’, ‘social support during labor’ 등으로 선택하였다.
  • 가족지지는 가족이 분만하는 산부를 지지하는 것과 간호사가 산부가족을 지지해야 하는 것의 두 가지 개념을 모두 포함한다. 이는 분만 과정에 산부의 분만지지간호를 위해 가족도 포함 시켜야 함을 의미하며, 낯설고 두려운 분만 과정에 가장 가까운 정서적 지지 체계인 가족이 함께 참여함으로써 환자의 안녕을 도모하고자 한다. 가족 지지는 가족이 산부의 분만지지간호를잘 행할 수 있도록 가족의 불안을 감소시키거나 교육하는 등의 행위도 포함한다.
  • 이는 개념분석을 위한 방법들 중 혼종모형방법이 개념을 확인, 분석, 세련화하는 과정에서 이론적 분석과 실증적인 현장 분석을 함께 시행하여[17] 임상간호 현장을 분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추후 분만지지간호에 대한 교육과 지식체계의 구축, 도구개발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듀라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외국에서는 산부 및 가족의 지지체계로 듀라(Doula)를 양성하고, 듀라를 분만 전 과정에 참여시키어 총체적 지지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자원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8]. 듀라는 임상적인 역할은 수행하지는 않지만, 최상의 만족스럽고 건강한 분만을 위해 전문적으로 훈련된 분만 동안 지지를 제공하는 사람 이다[9]. 그러나 이러한 듀라는 서구적인 모형 위주로 의료인이 아닌 비의료인에 의한 일반적인 중재의 개념이며, 간호사에 의해 제공되는 간호중재의 개념은 아니다.
분만실 간호인력 확충 같은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한 현실적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분만실 간호사가 전적으로 분만지지간호를 제공하기에 듀라의 역할까지도 분만실 간호사의 역할 범위 안으로 포함시켜야 한다. 그러나 분만실 간호사는 의학적 처치를 포함한 임상적인 간호 실무와 행정적 업무 등 과중한 업무들로 인한 시간부족, 인력부족, 불충분한 시설 등으로 산부에게 분만지지간호를 제공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산부가 최상의 분만지지간호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간호인력 확충과 같은 제도적 뒷받침이 되어져야 할 것이며, 이에 힘을 실어 줄 수 있는 분만지지간호 현황과 요구 그리고 그 단 ‧장기적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만지지간호의 긍정적인 효과는 무엇인가? 분만지지간호의 제공은 산모의 분만에 대한 스트레스와 진통제의 사용, 그리고 제왕절개 비율을 감소시키고, 분만 진통의 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산모의 분만에 대한 만족감을 주어 모성으로서의 장기적 대응 기술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산후 우울과 같은 분만의 부정적인 결과를 감소시킨다[6]. Hodnett 또한 분만지지간호를 분만을 경험하는 산모들을 돕기 위한 간호사들의 간호의 집합으로 정의하였다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hresheh R. Support in the first stage of labour from a female relative: the first step in improving the quality of maternity services. Midwifery. 2010;26(6):e21-e24. https://doi.org/10.1016/j.midw.2008.11.003 

  2. Hardin AM, Buckner EB. Characteristics of a positive experience for women who have unmedicated childbirth. The Journal of perinatal education. 2004;13(4):10-16. https://doi.org/10.1624/105812404X6180 

  3. Yeo JH, Chun NM. Influence of childbirth experienc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women after bir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1):11-19. https://doi.org/10.4040/jkan.2013.43.1.11 

  4. Rubavathy P, Jenifer J, Stellagracy G, Kumar K. Effectiveness of social support during labour on behavioral response among primi mot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5;7(4):142-146. https://doi.org/10.5958/0974-9357.2015.00208.1 

  5. Junge C, Soest T, Weidner K, Seidler A, Eberhard-Gran M, Garthus-Niegel S. Labor pain in women with and without severe fear of childbirth: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Birth. 2018;00:1-9. https://doi.org/10.1111/birt.12349 

  6. Hodnett ED, Gates S, Hofmeyr GJ, Sakala C. Continuous support for women during childbirth.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3(7).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3766.pub5 

  7. Hodnett ED. Nursing support of the laboring woma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1996;25(3):257-264. https://doi.org/10.1111/j.1552-6909.1996.tb02434.x 

  8. Park G, Choi J, Lee J, Jean B. Effects of doula support in LDR (Labor-Delivery-Recovery) on anxiety, labor pain, and perceived childbirth experience of primipara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3):87-97. 

  9. Middlemiss L. Doulas complementary or conflicting? Midwives. 2015;18(4):66-68. 

  10. AWHONN. Continuous labor support for every woma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18;47(1): 73-74. https://doi.org/10.1016/j.jogn.2017.11.010 

  11. Choi YS, Jung MS. Factors affecting women's satisfaction with hospital environment following childbirth.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2013;14(11):5627-5635. https://doi.org/10.5762/KAIS.2013.14.11.5627 

  12. Hur MH. Effects of one-to-one labor support on labor pain, labor stress response, childbirth experience and neonatal status for primipar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1; 7(2):188-202. 

  13. Eom SY, Kim ES, Kim HJ, Bang YO, Chun N. Effects of a one session spouse-support enhancement childbirth education on childbirth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in women and their husban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4):599-607. https://doi.org/10.4040/jkan.2012.42.4.599 

  14. Lee YJ, Kim SH. Influences of husband's supports for during childbirth and attitudes toward husband's childbirth presence on women's childbirth experienc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6):3345-3359. http://uci.or.kr/G704-000930.2014.16.6.012 

  15. Kim KS. The effects of aroma massage on stress and anxiety during delivery. Journal of International Un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1;7(1):17-26. 

  16. Mortazavi SH, Khaki S, Moradi R, Heidari K, Vasegh Rahimparvar SF. Effects of massage therapy and presence of attendant on pain, anxiety and satisfaction during labor. Archives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2012;286(1):19-23. https://doi.org/10.1007/s00404-012-2227-4 

  17. Schwartz-Barcott D, Kim HS.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In: Rogers BL, Knafl KA, editor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W.B. Sauders company; 2000. p. 129-159. 

  18.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 Language. Standard language dictionary [Internet]. Seoul: Author; 2015 [cited 2017 October 30], Available from: http://stdweb2.korean.go.kr 

  19. Burgess A.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labor sup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birth Education. 2014;29(2):64-72. 

  20. Barrett SJ, Stark MA. Factors associated with labor support behaviors of nurses. The Journal of perinatal education. 2010;19 (1):12-18. https://doi.org/10.1624/105812410X481528 

  21. Corbett CA, Callister LC. Nursing support during labor.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0;9(1):70-83. https://doi.org/10.1177/105477380000900106 

  22. Sleutel MR.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labor support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02;10(3):249-262. https://doi.org/10.1891/jnum.10.3.249.52561 

  23. Rosen P. Supporting women in labor: analysis of different types of caregivers.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2004; 49(1):24-31. https://doi.org/10.1016/j.jmwh.2003.10.013 

  24. Adams ED, Bianchi AL. A practical approach to labor support.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08;37 (1):106-115. https://doi.org/10.1111/j.1552-6909.2007.00213.x 

  25. Lee SH, Lee MO. Characteristics, motivation of choice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women who selected delivery at midwifery clinic.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3;16:1-10. 

  26. Im HM, Kim JH. Methods and estimates of the reimbursement for the nurse midwifery center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4):328-336. https://doi.org/10.4069/kjwhn.2011.17.4.328 

  27. Sosa G, Crozier K, Robinson J. What is meant by one-to-one support in labour: analysing the concept. Midwifery. 2012;28 (4):451-457. https://doi.org/10.1016/j.midw.2011.07.001 

  28. Ross-Davie M, Cheyne H. Intrapartum support: what do women want? A literature review. Evidence Based Midwifery. 2014; 12(2):52-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