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팀기반 학습을 적용한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지식,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ractical Delivery-nursing Simulation Education on Team-based Learning on the Nursing Knowledg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2, 2018년, pp.150 - 162  

이선희 (김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livery-nursing simulation education using team-based learning on the delivery nursing knowledg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team-based learn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에게 팀기반 학습을 적용한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분만 간호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을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실험 설계로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미국 Gaumard사의 ‘NOELLE’ 출산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팀기반 학습을 적용한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지식,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실험 설계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최근 교육 패러다임이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이며 능동적인 교수학습 전략으로 전환됨에 따라 팀기반 학습을 적용하여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모성간호학에서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임상실습교육의 제한적인 상황을 보완하고 경험하지 못하는 사례에 대한 교육의 하나로 자리 매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본 연구는 팀기반 학습법을 적용하여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팀기반 학습을 적용한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간호지식,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간호 대학에서는 임상실습의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을 확대하고 있으며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인 다양한 교수법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도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팀기반 학습을 적용하여 보고자 하였으며 팀기반 학습을 적용한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임상수행능력 중 간호술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임상실습에서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간호술기에 대한 역량을 강화시키는 한 방법으로 팀기반 학습법을 적용한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보인 연구는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2], 통합(모성-아동) 시뮬레이션[3], 시뮬레이션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7], 시뮬레이션기반 산후출혈[11], 임상실습 전후 시뮬기반 분만교육[12], 임상실습 전후 수술실 환자간호[14], 분만 시뮬레이션 교육[15], 통합시뮬레이션(분만-수술-신생아 간호) 실습 프로그램[16],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17], 국내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교육효과 메타분석[20] 등으로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와 동일하게 술기부분에서만 향상된 결과를 보인 연구는 시뮬레이션기반 산후출혈[11]인데, 이 연구에서는 실험군이 불분명한 반응을 보이는 모형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의료인과 보호자 간의 의사소통과 존중을 중요하게 강조하여 두 군 모두 상승된 결과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의사소통이나 태도에 유의한 상승이 없는 결과를 보인것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시뮬레이터가 질문에 명확한 반응을 보이지 않아 이를 인간으로 인식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 실험군과 대조군 전체에게 이론주간 수업 2주차에 각각 2시간 동안 ‘분만 산부 사정 및 간호’ 에 대한 시나리오별 orientation을 동일하게 진행하였는데, 수업진행 방식, 실습실의 물품위치, 기계 작동 방법 및 선행학습에 관한 내용 소개이었다.
  • 그러므로 간호대학생들이 팀기반 학습 과정을 적용하여 실무현장에서 필요한 비판적 사고를 통한 대상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25]. 이에 본 연구는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시에 팀기반 학습법을 적용하여 간호지식,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의 효과를 비교하여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의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가설 3. 팀기반 학습을 적용한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임상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2. 팀기반 학습을 적용한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1. 팀기반 학습을 적용한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지식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에서의 임상실습 교육의 목적은? 간호대학에서의 임상실습 교육은 학생들이 대학에서 배운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간호술기를 통합 적용하여 간호사로서의 기본적 역량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임상실습교육 환경은 환자들의 권리의식의 고취와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간호학생들이 직접 간호수행보다는 관찰을 통해 교육을 받는다[1].
분만실 실습에 존재하는 제한점은? 따라서 간호대학에서는 임상실습교육을 통해 지식과 술기를 통합하여 임상수행능력과 간호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도록 교육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으며[1] 이러한 임상실습 교육 환경에서 교육과정을 마친 간호학생들은 졸업 후에 간호사로서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간호문제를 해결하거나 간호술기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2]. 특히 분만실 실습은 출산율 감소에 따른 실습사례 부족과 대상자의 사생활 보호라는 측면에서 관찰의 기회가 매우 제한적이어서[3,4] 간호학생들이 전체적인 분만단계에 따른 간호를 관찰하거나 학습하기에는 많은 제한점이 있다[5]. 그리하여 간호학생들이 분만실 실습에서 태아전자감시장치의 결과를 해석하고 응급상황에 대처해야 하는 경우를 접할 기회가 부족하여 분만실에서의 간호문제 해결 및 술기를 수행하는 임상수행능력을 기르기에는 부족하다.
간호대학에서 실제 임상실습교육 환경에서 겪는 어려움은? 그러나 실제 임상실습교육 환경은 환자들의 권리의식의 고취와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간호학생들이 직접 간호수행보다는 관찰을 통해 교육을 받는다[1]. 따라서 간호대학에서는 임상실습교육을 통해 지식과 술기를 통합하여 임상수행능력과 간호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도록 교육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으며[1] 이러한 임상실습 교육 환경에서 교육과정을 마친 간호학생들은 졸업 후에 간호사로서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간호문제를 해결하거나 간호술기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2]. 특히 분만실 실습은 출산율 감소에 따른 실습사례 부족과 대상자의 사생활 보호라는 측면에서 관찰의 기회가 매우 제한적이어서[3,4] 간호학생들이 전체적인 분만단계에 따른 간호를 관찰하거나 학습하기에는 많은 제한점이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DW.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experiences on the essential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2):184-191.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184 

  2. Kim EH, Jang KS. Effect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2):245-255. https://doi.org/10.4040/jkan.2011.41.2.245 

  3. Park HJ, Lee SH.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tegrated simulation program (maternal-child) on nursing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4):293-301. https://doi.org/10.4094/chnr.2015.21.4.293 

  4. Lee WS, Kim MO. Effects and adequacy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obstetrical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4):433-443.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203 

  5. Yang SH, Hong SH. Development and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program about family centered delivery car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7;23(1):52-61. https://doi.org/10.4069/kjwhn.2017.23.1.52 

  6. Chung KS. RN of this year, 'Man licence' 2,344 people [Interne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8 [cited 2018 May 04]. Available from http://www.nursenews.co.kr/main/ArticleDetailView.asp?sSection61&idx22522&intPage1 

  7. Kim DH, Lee YJ, Hwang MS, Park JH, Kim HS, Cha HG.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 (SICPP)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in a nursing student.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8(3):499-509.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3.499 

  8. Seomun GA. Revision standards by area (2). In: Yang S, editors. Three-cycle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evaluation presentation.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16. 86 p. 

  9. Cooper S, Cant R, Porter J, Bogossian F, McKenna L, Brady S, et al. Simulation based learning in midwifery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Women and Birth. 2011;25(2):64-78. https://doi.org/10.1016/j.wombi.2011.03.004. 

  10. Lee JO.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underwent before or after the clinical practice for th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20(2):203-211. https://doi.org/10.21896/jksmch.2014.18.1.125 

  11. Kim SH.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the care of women with postpartum hemorrhage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deposition.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2012;15(2):71-79. 

  12. Shim CS, Park MK, Kim JH. Effects of simulation-based delivery education regarding to obstetric clinical practice before and afte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18(1):125-133. https://doi.org/10.21896/jksmch.2014.18.1.125 

  13. Song YA, Son YJ.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by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process, self-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and nursing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4): 246-254. https://doi.org/10.4069/kjwhn.2014.20.4.246 

  14. Lee SK. The effect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n the clinical judgment, self-confid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stud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2017; 17(17):577-58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1.577 

  15. Kim KA.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labor education program on skill competence, knowledge, and satisfaction for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dissertation].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4. 55 p. 

  16. Lee SH, Chun YE, Kim KM, Park HJ. Effects of integrated simulation (delivery-operation-newborn) practice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5;15(9):577-599. 

  17. Yang JJ.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clinic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14-23.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014 

  18. Kim JS, Kim YH.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12):203-212.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203 

  19. Lee WS, Cho KC, Yang SH, Roh YS, Lee GY.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 of Nursing. 2009;16(1):64-72. 

  20. Kim MN, Chung HI, Kim YA.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for delivery nursing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6;20(3):297-309. https://doi.org/10.21896/jksmch.2016.20.3.297 

  21. Michaelsen LK, Parmelee DX, McMahon K, Levine RE. Team based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terling: Stylus Publishing; 2007. 256 p. 

  22. Kim HR, Choi EY, Kang HY. Simulation module development and team competency evaluation.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3):392-400. 

  23. Roh YS, Ryoo EN, Choi DW, Baek SS, Kim SS.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eam based learning in a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2):239-247.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2.239 

  24. Clark MC, Nguyen HT, Bray C, Levine RE. Team-based learning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ours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8;47(3):111-117. https://doi.org/10.3928/01484834-20080301-02 

  25. Choi KO, Park YM.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4;20(2):154-159. https://doi.org/10.14370/jewnr.2014.20.2.154 

  26. Jeffries PR. A frame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005;26(2):96-103. https://doi.org/10.5480/1536-5026-26.2.96 

  27. Levine AI, DeMaria JrS, Schwartz AD, Sim AJ. The comprehensive textbook of healthcare simulaion. 2nd ed. New York: Springer; 2014. 697 p. 

  28. Marken PA, Zimmerman C, Kennedy C, Schremmer R, Smith KV. Human simulators and standardized patients to teach difficult conversations to inter professional health care teams.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2010;74(7):120. 

  29. Taekman JM, Shelley K. Virtual environments in healthcare: Immersion, disruption, and flow. International Anesthesiology Clinics. 2010;48(3):101-121. https://doi.org/10.1097/AIA.0b013e3181eace73 

  30. Weaver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011;32(1):37-40. https://doi.org/10.5480/1536-5026-32.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