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성 성숙, 성 성숙 태도 및 신체 자존감
Sexual Maturation, Attitudes towards Sexual Maturity, and Body Esteem in Elementary-School Childr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2, 2018년, pp.219 - 228  

박선아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  최은영 (경동대학교 간호대학) ,  이은희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  변미경 (송호대학교 간호학과) ,  이병주 (안동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정계아 (송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sexual maturation, attitudes toward sexual maturity, and body esteem in the sexual development of Korean elementary-school boys and girl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399 fifth and sixth graders (192 boys and 207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있다[2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상 중 자신의 신체외모에 대한 주관적 평가인 신체 자존감과 성 성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초등학생 대상 성 성숙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대부분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남학생의 후)용이 하나">용이하나 남아의 경우는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남학생과 여학생들에 대한 성 성숙도에 대한 실태, 성 성숙에 대한 태도와 신체자존감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남 ‧ 여학생의 성 성숙 정도를 알 아보고, 이에 따른 성 성숙 태도와 신체자존감 차이, 성별에 따 른 성 성숙 정도 및 태도, 신체 자존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 성숙 정도, 성 성숙 태도, 신체 자존감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조숙증이란 무엇인가 6세 에서 시작된다[7]. 그러나 여아에서 8세 이전에 가슴 발달이 시작되거나, 남아는 9세 이전에 고환의 용적이 4 mL 이상 커지는 경우를 성조숙증이라고 하며[8], 여아 8.0~9.
성 조숙증은 아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남아의 성 성숙 정도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외래차트를 분석한 연구[11]에서 고환용적이 4 mL에 도달하는 연령이 약 11세경으로 나타났으며, 이후 추가적인 관찰이나 후속연구의 부족으로 남아의 성 성숙 정도에 관한 최근 정보는 미흡한 실정이다. 사춘기 진행이 빠른 경우 아동들은 급격한 신체변화를 경험하게 되며, 또래와 다른 외형, 정신적 성숙과 육체적 성숙의 불일치로 인해 심리적, 정서적인 스트레스를 받는다[12]. 특히 초등학교 여학생은 자신의 성 성숙 속도가 또래보다 빠르다고 느낄 때 성 성숙에 대해 부정적인 느낌을 가지며[13], 신체변화에 대한 걱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14].
성 성숙 시기가 빠를수록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특히 초등학교 여학생은 자신의 성 성숙 속도가 또래보다 빠르다고 느낄 때 성 성숙에 대해 부정적인 느낌을 가지며[13], 신체변화에 대한 걱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14]. 또한 성 성숙 시기가 빠를수록 공격적 성향[15]과 성숙불안, 우울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16-18], 이러한 심리적 특성은 조기 성 성숙으로 인한 신체변화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8,19]. 신체 자존감은 자기 신체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태도로서, 외모에 대한 주관적 평가이다[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MJ, Lee IS, Shin EK, Joung HJ, Cho SI. The timing of sexual maturation and secular trends of menarchial age in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6;49(6):610-616. https://doi.org/10.3345/kjp.2006.49.6.610 

  2. Jaruratanasirikul S, Sriplung H. Secular trends of growth and pubertal maturation of school children in Southern Thailand. Annals of Human Biology. 2015;42(5):447-454. https://doi.org/10.3109/03014460.2014.955057 

  3. Zhou X, Zhang L. The trends of puberty onset among Chinese children. Iranian Journal Public Health. 2015;44(1):134-135. 

  4. Tanner JM. Growth and maturation during adolescence. Nutrition Reviews. 1981;39(2):43-55. https://doi.org/10.1111/j.1753-4887.1981.tb06734.x 

  5. Han DL, Lee JU, Kim SH. Secular trend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the early menarche among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n Contents Society. 2016;16(3): 319-327.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319 

  6.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6 medical benefit statistics[Internet]. Seoul: Author;2017[cited 2017 December 6].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co/search.do?searchWord 

  7. Marshall WA, Tanner JM. Variations in the pattern of pubertal changes in boy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1970;45 (239):13-23. 

  8. Kim HS. Update of precocious puberty.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08;23(3):165-173. https://doi.org/10.3803/jkes.2008.23.3.165 

  9. Mul D, Hughes IA. The use of GnRH agonists in precocious puberty. 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2008;159(S1):3-8. 

  10. Lee MH. Abnormal pubertal development in Korean adolescent girls.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09;52(12):1197-1203. 

  11. Song JE, Yi YY, Hwang IT, Lee HR, Lim JS, Yang S. Testicular volume in Korean boy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2010;15(1):14-18. 

  12. Moon WJ, Kwon HJ, Hwang MK. The comparison of psycho-social behavior characteristics between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and normal gir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8;19(2):357-369. https://doi.org/10.5762/KAIS.2018.19.2.357 

  13. Lee HJ, Shin HW. The effect of sexual maturity and self-concept on interest in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or female studen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11;23(3):185-200. 

  14. Jackson, PL, Ott MJ. Perceived self-esteem among children diagnosed with precocious puberty.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990;5(3):190-203. 

  15. Kim YS, Ahn JJ. The impact of pubertal timing on the adjustment of adolescent girls: Focusing on aggression and school rule compliance. Forum for Youth Culture. 2015;41:39-63. https://doi.org/10.17854/ffyc.2015.01.41.39 

  16. Roh SY, Kim KH. Sexual maturation, body image, and self-esteem among girls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2;23(4):405-414. https://doi.org/10.12799/jkachn.2012.23.4.405 

  17. Chung KM, Shin SH, Lee SA, Park MJ, Kim S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12;17(2);461-477. https://doi.org/10.17315/kjhp.2012.17.2.012 

  18. Cho HH, Moon SH. Association of sexual matur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maturity fears in elementary school girl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6;22(2):137-144. https://doi.org/10.4094/chnr.2016.22.2.137 

  19. Hamlat EJ, Shapero BG, Hamilton JL, Stange JP, Abramson LY, Alloy LB. Pubertal timing, peer victimization, and body esteem differentially predict depressive symptoms in african american and caucasian girls.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015;35(3):378-402. 

  20. Mendelson BK, White DR, Mendelson MJ. Self-esteem and body esteem: Effects of gender, age, and weight.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1996;17(3):321-346. https://doi.org/10.1016/S0193-3973(96)90030-1 

  21. Park HJ, Kim NH. A study in the body image and the levels of anxiety in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6;6(5):39-51. https://doi.org/10.14257/AJMAHS.2016.05.04 

  22. Wright M. Body image satisfaction in adolescent girls and boy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989;18:71-84. 

  23. Wee EH. Body comparison and body satisfaction influence on adapt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mong adolescent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15;53(2):209-218. https://doi.org/10.6115/fer.2015.016 

  24. Davis C.(1997). Body image, exercise and eating behaviors. In Fox KR. The physical-self: From motivation to well-being. Champaign, IL: Human Kinetics;1997. p. 3-26. 

  25. Skorek M, Song AV, Dunham Y. Self-esteem as a mediator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body esteem: path analyses across gender and race/ethnicity. PloS One. 2014;9(11):1-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12086 

  26. Oh SA. Sexual maturity,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in lat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8;14(3):305-314. 

  27. Min YK. Menstrual attitude structure of postmenarcheal girls.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003;14:69-88. 

  28. Kim SJ, Kim SS, Yang SO, Jeong GH, Hong SB, Yeom MJ.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0;6(2):186-198. 

  29. Lee YS, Lee SY. Comparisons of dietary behaviors and growth development with different sexual maturation velocities in children of pubertal ag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013;23(5):519-532. 

  30. Lee MI, Kim SH, Kim HR, Park SH. Characteristics related to depression in adolescent conduct disorder an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011;22(3):156-161. https://doi.org/10.5765/jkacap.2011.22.3.1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