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능이버섯과 미강 혼합 추출물의 β-Glucan 함량 및 항산화 활성
β-Gluca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ixed Extract from Sarcodon aspratus and Rice Bran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3 no.3, 2018년, pp.200 - 206  

심완섭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최선일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정태동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조봉연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최승현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한웅호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진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서유리 (강원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김혜빈 (강원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임기택 (강원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능이버섯과 미강이 혼합된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해 혼합 비율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유용성분 분석 및 항산화능 평가에 앞서 소재별 추출 시간에 따른 $^{\circ}Brix$를 측정함으로써 $95^{\circ}C$ 열수 조건에서 1시간 추출법의 최적의 추출 조건을 확립하였고, 혼합 비율 별 추출물을 제조 한 후 추출 수율, ${\beta}-glucan$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FRAP value,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추출 수율의 범위는 24.3%~35.3%였으며, 100% 미강이 함유된 S-5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추출물에서는 모두 30% 이상의 높은 추출 수율을 획득하였다. ${\beta}-glucan$ 함량은 능이버섯이 100% 함유된 S-1 추출물보다 능이버섯이 30% 함유된 S-4 추출물에서 $1.73{\pm}0.11%$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 값을 나타내었다. 혼합물들의 항산화능을 평가한 DPPH radical 소거능, FRAP value 측정,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 결과 혼합물 내 미강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그 항산화력이 우수하였다. 이는 추출 과정에서 혼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능이버섯과 미강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능이버섯과 미강 따라서 30% 이상의 우수한 추출 수율, 가장 높은 ${\beta}-glucan$ 함량 및 우수한 항산화력을 바탕으로 능이버섯과 미강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한 그들의 혼합비는 능이버섯과 미강의 3:7의 비율(S-4)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 of mixture ratio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 from Sarcodon aspratus and rice bran. First, $^{\circ}Brix$ was measured along with extraction time. Five kinds of mixtures of Sarcodon aspratus and rice bran (10:0, 7:3, 5: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강원도 철원 지역은 오대쌀의 주요 생산지로 쌀 부산물인 미강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연구가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대쌀 미강과 철원군 특산물인 능이버섯을 혼합하여 건강기능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능이버섯과 미강이 혼합된 추출물 제조를 위한 최적 혼합 비율 설정을 위하여 추출 시간 별 oBrix 측정실험을 하였고 추출 수율을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능이버섯의 주요 대사산물 및 유용 성분에 무엇이 있는가?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은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의 굴뚝버섯과(Telephoracea Sarcodon)에 속하는 식용 버섯으로 그 맛과 향이 뛰어나다4,5). 선행 연구로 밝혀진 능이버섯의 주요 대사산물 및 유용성분으로는 높은 활성의 protease6)와 향기 성분으로 1-octen-3-ol benzenaldehyde 등이 알려져 있고7), cyclopropyl-valyl 등의 항산화 물질8),유리당과 아미노산 등의 영양성분 등이 보고 되어있다9). 또한 버섯에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다당류인 β-glucan 은 면역활성체의 기능, 항산화능, 생체조직 재생과 치유기능, 항생제, 항균, 항바이러스 및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돌연변이 세포를 인식하고 공격하는 항종양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10,11,12).
능이버섯에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인 β-glucan의 효과는? 선행 연구로 밝혀진 능이버섯의 주요 대사산물 및 유용성분으로는 높은 활성의 protease6)와 향기 성분으로 1-octen-3-ol benzenaldehyde 등이 알려져 있고7), cyclopropyl-valyl 등의 항산화 물질8),유리당과 아미노산 등의 영양성분 등이 보고 되어있다9). 또한 버섯에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다당류인 β-glucan 은 면역활성체의 기능, 항산화능, 생체조직 재생과 치유기능, 항생제, 항균, 항바이러스 및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돌연변이 세포를 인식하고 공격하는 항종양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10,11,12).
능이버섯이란?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은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의 굴뚝버섯과(Telephoracea Sarcodon)에 속하는 식용 버섯으로 그 맛과 향이 뛰어나다4,5). 선행 연구로 밝혀진 능이버섯의 주요 대사산물 및 유용성분으로는 높은 활성의 protease6)와 향기 성분으로 1-octen-3-ol benzenaldehyde 등이 알려져 있고7), cyclopropyl-valyl 등의 항산화 물질8),유리당과 아미노산 등의 영양성분 등이 보고 되어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ang Y.S., Jeong J.M.: Effects of phyto-extract mixture on adipos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39-1445 (2010). 

  2. Kim J.W., Kim S.D., Youn K.S.: Antioxidant activity of Hwangki and Beni-Koji extracts and mix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 (2011). 

  3. Oh H.S., Kim J.H.: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hot water extract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some medicinal materials, and their mixtures.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8, 407-415 (2007). 

  4. Lee K.S., Kim J.B.: Effects of the Sarcodon aspratus on the high level of blood lipid and obesity induced by high fat-diet in rat. J. Life Sci., 19, 1265-1270 (2009). 

  5. Joo O.S.: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Neungee Mushroom (Sarcodon aspratus). Korean J. Food Preserv., 15, 864-871 (2008). 

  6. Eun J.S., Yang J.H., Cho D.Y., Lee T.K.: Studies on higher fungi in Korea (I) Activity of proteolytic enzyme from Sarcodon aspratus (Berk) S. Ito. JPI., 18, 125-131 (1988). 

  7. Jeong O.J., Yoon H.S., Min Y.K.: Aroma characteristics of Neungee (Sarcodon aspra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07-312 (2001). 

  8. Kim J.W., Moon B.S., Park Y.M., Yoo N.H., Ryoo I.J., Chinh., Yoo I.D., Kim J.P.: Structur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ketopiperazines isolated from the mushroom Sarcodon aspratu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93-97 (2005). 

  9. Kang M.G., Bolormaa., Lee J.S., Seo G.S., Lee J.S.: Antihypertensive activity and anti-gout activity of mushroom Sarcodon aspratus. Kor. J. Mycol., 39, 53-56 (2011). 

  10. Choi S.J., Lee Y.S., Kim J.K., Kim J.K., Lim S.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edible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87-1096 (2010). 

  11. Nakajima A., Ishida T., Koga M., Takeuchi T., Mazda O., Takeuchi M.: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Agaricus blazei murill on antibody-producing cells in mice. Int Immunopharmacol., 2, 1205-1211 (2002). 

  12. Song J.H., Lee H.S., Hwang J.K., Han J.W., Ro J.G., Keum D.H., Park K.M.: Physiological activity of Sarcodon aspratus extracts.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23, 172-179 (2003). 

  13. Lee J.H., Oh S.K., Kim D.J., Yoon M.R., Chun A.R., Choi, I.S., Lee J.S., Kim Y.G.: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by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of some commercially available cultivars of rice bran in Korea. J. Food Nutr., 26, 1-7 (2013). 

  14. Kim Y.S., Ha T.Y., Lee S.H., Lee H.Y.: Effect of rice bran dietary fiber on flour rheology and quality of wet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95 (1997). 

  15. Lee J.H., Park J.S.: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 bran extracts for wellness conver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 401-406 (2015). 

  16. Oh S.K., Kim D.J., Chun A.R., Yoon M.R., Kim K.J., Lee J.S., Hong H.C., Kim Y.K.: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milling by-products of rice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624-630 (2010). 

  17. Lin Sheng-Dun., Mau Jeng-Leun., Hsu Ching-An.: Bio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GABA tea leaves.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6, 64-70 (2012). 

  18. Jeong S.J., Shin M.J., Jeong S.Y., Yang H.J., Jeong D.Y.: Aracteristic analysis and production of short-ripened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dded with rice br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550-556 (2014). 

  19. Shin S.H., Kim K.H., Kang C.S., Cho K.M., Park C.S., Choo B.G., Park J.C.: Analysis of grain and malting quality during storage period of 2-row barley. J. Agric. Life Sci., 45, 1-5 (2014). 

  20. Kim Y.H., Lee Y.J., Park S.O., Lee S.J., Lee O.H.: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black rice and its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262-266 (2013). 

  21. Kim H.Y., Hwang I.G., Kim T.M., Park D.S., Kim J.H., Kim D.J., Lee J.S., Jeong H.S.: Antioxidan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inhibitory activity on different parts of germinated rough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775-780 (2011). 

  22. Chun A.R., Lee Y.Y., Kim D.J., Yoon M.R., Oh S.K., Choi I.S., Hong H.C.: Cultivar comparison on tocopherols, tocotrienols, and antioxidant compounds in rice bran. KSCS., 58, 367-375 (2013). 

  23. Woo K.S., Seo M.C., Kang J.R., Ko J.Y., Song S.B., Lee J.S., Oh B.G., Park G.D., Lee Y.H., Nam M.H., Jeong H.S.: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95-1699 (2010). 

  24. Kim Y.H., Kim W.S., Kim J.M., Choi S.I., Jung T.D., Lee J.H., Kim J.D., Lim J.K., Lee O.H.: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mixture of Camellia sinensis L. and Artemisia argyi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Food Hyg. Saf., 31, 278-285 (2016). 

  25. Ballance G.M., Manners D.J.: Structural analysis and enzymic solubilization of barley endosperm cell walls. Carbohydr Res., 61, 107-113 (1978). 

  26. Cho B.Y., Lee J.H., Choi S.I., Jung T.D., Choi S.H., Ra M.J., Kim S.Y., Kang I.J., Han K.C., Lee O.H.: Changes in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Cirsium setidens Nakai ethanolic extract depending on different harvest time. J. Food Hyg. Saf., 32, 234-242 (2017). 

  27. Jung Y.T., Lee I.S., Key Whang., Yu M.H.: Antioxidant effects of Picrasma quassioides and Chamaecyparis obtusa (S. etZ.) ENDL extracts. J. Life Sci., 22, 354-359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