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봇 활용 SW 교육에서 보조 교사 유무에 따른 컴퓨팅사고력, 로봇에 대한 태도의 차이
The Difference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Attitudes toward Robots according to Assistant Teacher in SW Education Using Robot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2 no.3, 2018년, pp.307 - 316  

노지예 (광운대학교 로봇SW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로봇 활용 SW 교육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CT, 로봇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보조 교사 유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A 청소년수련관의 로봇 활용 SW 교육에 참여한 초등학생 29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로봇 활용 SW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대응 표본 t검정, 공분산분석을 통해 평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로봇 활용 SW 교육을 실시한 후 학생들의 CT와 로봇에 대한 태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통제집단의 CT는 유의하게 향상되지 않았다. 또한 보조 교사 유무에 따른 사후 CT의 차이는 유의하였으며, 로봇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로봇 활용 SW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 보조 교사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여 로봇 활용 SW 교육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nduct SW education using robot in elementary school, to examine the effects of SW education using robot and identify differences dependeing on the presence of assistance teach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W education using robot was conducted to 29 stud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강사, 수업 내용, 강의 장소 등은 모두 동일하였으나, 실험집단에만 보조 교사를 배정하였다. 공동으로 제작하는 형태의 보조 교사보다는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질문에 대답해 주는 형태의 보조 교사가 학습성과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는 선행연구[28]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의 보조 교사가 학습자들을 관찰하며 질문에 답변해 주거나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로봇 활용 SW 교육이 효과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보조 교사의 지원이 필수적이며,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로봇 활용 SW 교육을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증하고, 보조 교사 유무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로봇 활용 SW 교육이 초등학생의 CT와 로봇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고, 보조 교사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여, 로봇 활용 SW 교육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소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 본 연구는 로봇 활용 SW 교육이 학생들의 CT와 로봇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고, 보조 교사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UMC 모델은 지식, 기능, 태도 영역 중 기능 영역을 중심으로 수업 모델이 개발되었으나, 반드시 기능 영역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능 영역과 관련된 수업 과정에서 동반되는 정의적인 영역으로 태도 영역의 학습이 가능하다[17]. 본 연구에서는 UMC 모델의 3단계 중 재구성단계에서, 협력학습을 통해 정의적인 영역의 신장이 이루어지도록 활동 내용을 구성하였으므로, 이러한 협력학습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가 신장된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W 교육이 의무적으로 시행될 때, 보조 교사의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한편, SW 교육은 실습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다른 과목과 큰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9년부터 초등학교에서 SW 교육이 의무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나[30], 학교에는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이 모두 한 학급에 편성되어 학생들의 개인차가 발생하므로, 교사 한 명으로는 원활한 수업 진행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28].
학교 현장의 SW 교육의 목적은? 학교 현장의 SW 교육의 목적은 컴퓨팅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이하 CT)을 향상시켜 문제해결을 위한 역량을 기르고자 하는 것이다[29]. 따라서 SW 교육은 프로그래밍 자체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CT의 신장에 중점을 두어야 하므로, CT는 SW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SW 교육에 로봇을 사용함에 따라 기대되는 효과는? 학교 현장에서 SW 교육이 활성화되면서, SW 교육에 로봇을 사용하는 시도가 확산되고 있다[32]. 로봇은 미래 사회와 기술을 이해하는 데 적합한 소재로[2], 학습자들이 직접 로봇을 조작하여 수업에 몰두할 수 있으므로, SW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kinola, S. O. (2015). Computer programming skill and gender difference: An empirical study. American Journa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7(1), 1-9. 

  2. Bae, S. A., (2014). Effect of Technology Contents-Based Robot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toward Technolog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 34(1), 183-203. 

  3. Baek, S. H., & Keum. J. H. (2014). The Effects of After School Robot Program on the Attitudes Toward Robot and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f Childre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2), 183-201. 

  4. Bebras (2018). http://www.bebras.org/ accessed 10 April. 2018. 

  5. Bers, M. U., Flannery, L., Kazakoff, E. R., & Sullivan, A. (2014). Computational thinking and tinkering: Exploration of an early childhood robotics curriculum. Computers & Education, 72, 145-157. 

  6.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Proceedings of the 2012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Vancouver, Canada. 

  7. Choi, H. S., (2014). Developing lessons and rubrics to promote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8(1), 57-64. 

  8. Han. S, K., & Ryu, M. Y. (2016). Software Education for Computational Thinking. 

  9. Jeon, Y. J., & Kim, T. Y. (2016). The Fundamental Study to Develop Evaluation Rubric of the CT-CPS Instructional Model. Proceedings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2). 49-54. 

  10. Jeong, Y. S., Yu, J. S., Lim, J. S., & Seon, Y. K. (2016). Sofrware Education. Seoul: Simath. 

  11. Jung, U. Y., & Lee. Y. J., (2017). The applicability and related issues of bebras challenge in informatics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5), 1-14. 

  12. Kang, M. H., Park, J. H., Yoon, S. H., Kang, M. J., & Jang, J. E.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Affective Outcomes in Software Education Using Gam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5), 475-486. 

  13. KERIS (2017). SW Education Using Robot Training by Level. 

  14. Kim, B. S. (2014). Programm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PPS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Jeju University doctorate thesis. 

  15. Kim, E. J., & Lee, T. W. (2018). Correlation between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Beaver Challenge as a Tool for Computing Thinking. Korea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26(1). 113-116. 

  16. Kim, G. H., & Yoo, I. H. (2017). Effects of SW Education Using App Inventor on Computational Thinking and Attitude towards Comput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1(4), 371-380. 

  17. Kim, J. S., Han, S. G., Kim, S. H., Jung, S. W., Yang, J. M., Jang, E. D., & Kim, J. N. (2015). A Study on Development of SW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odel. KEDI, CR 2015-35. 

  18. Kim, S. W., & Lee. Y, J. (2016). The Effects of Robot Programming on the Attitudes toward Robot of Pre-service Teachers', 19(6), 91-103. 

  19. Lawhead, P. B., Duncan, M. E., Bland, C. G., Goldweber, M., Schep, M., Barnes, D. J., & Hollingsworth, R. G. (2002). A road map for teaching introductory programming using LEGO mindstorms robots. ACM SIGCSE Bulletin, 35(2). 191-201. 

  20. Lee, C. S. (2013). Korean Students' Attitude Scale Towards Robot.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9(2), 151-168. 

  21. Lim, J. H., Woo, Y. H., Kim, B. W., Lee, G. J., & Yang, Y. J.,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Support System by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utor System.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16-06. 

  22. Lee, J. M., Park, H. K., & Choi, H. S. (2018). Effects of SW Education Using Robots on Computational Thinking, Creativity, Academic Interest and Collaborative Skil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1), 9-21. 

  23. Nomura, T., Suz uki, T., Kanda, T. , & Kato, K. (2006). Altered attitudes of people toward robots: Investigation through the Negative Attitude s toward Robots Scale. In Proc. AAAI-06 Workshop on Human Implications of Human- Robot Interaction, 29-35. 

  24. Park, J. M., & Kim, H. C. (2011). The effects of "Game-Maker" programm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roceedings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5(2). 45-50. 

  25. Saez-Lopez, J. M., Roman-Gonzalez, M., & Vazquez-Cano, E. (2016). Visual programming languages integrated across th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A two year case study using "Scratch" in five schools. Computers & Education, 97, 129-141. 

  26. Seo, J. Y. (2017). A Case Study on Programming Learning of Non-SW Majors for SW Convergence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123-132. 

  27. Seo, Y. H., & Um, M. R. (2016). Analysis of Effect that Pair Programming Develope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ity in Elementary Softwar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3), 219-234. 

  28. Song, J. B., Kwon, O. S., Koh, B. O., Yang, K. W., & Shin. S. B. (2011). The Effect of the Learner's Creativity and Self-Efficacy on the Support Type of the Assistant Teacher in Robot Education. 14(1). 35-43. 

  29. The Department of Education (2014). Revitaliz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W education. 

  30. The Department of Education (2015). Guidelines for preparing software education. 

  31.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32. Yoo, S. H., & Moon, O. S. (2007).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relating to robot programming for excellence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7(5), 59-6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